한-캄보디아 관계 | |||
---|---|---|---|
국가 | 캄보디아 | 등록일 | 2024-06-24 |
양국은 1970년 수교했으나, 크메르 루주가 정권을 잡은 1975년 양국 외교 관계가 중단되었음. 1997년 재수교 이후 양국은 정상 외교를 포함해 교류와 협력을 지속하고 있음. 양국은 한 아세안 정상회의, 아세안+3 정상회의, 동아시아 정상회의(East Asia Summit), 아세안지역안보포럼(ASEAN Regional Forum) 등을 통해 지역 현안에 대해서도 협력을 지속하고 있음. 의회 및 의원 간 인사교류가 활발하며, 캄보디아 의회 전산 시스템 지원 등 캄보디아의 입법 및 정책재정에 필요한 관련 정보 교류를 지속하고 있음. 양국 내 각각 의원친선협회 구성하여 활동 중임. □ 정무관계(최근) ○ 캄보디아 인사 방한 06.03 훈 센 총리 공식방한 07.08 헹 삼린 국회의장 08.02 훈 센 총리(이명박 대통령 취임식) 09.06 훈 센 총리 공식방한(한 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계기) 14.12 훈 센 총리 공식방한(한 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계기) 19.11 쁘락 소콘 부총리 겸 외교장관 방한(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20.02 훈센 총리(비공식 방한) 21.09 쁘락 소콘 부총리 겸 외교장관(한 캄 외교장관회담 겸 제11차 메콩외교장관회의) 22.02 훈 센 총리(비공식) 22.04 사이 춤 상원의장 24.05 훈 마넷 총리 공식 방한 ○ 한국 인사 방문 06.07 노무현 대통령 국빈방문 09.10 이명박 대통령 국빈방문 11.03 박희태 국회의장 12.11 이명박 대통령(아세안 관련 회의) 15.05 정의화 국회의장 19.03 문재인 대통령 국빈방문 22.11 윤석열 대통령(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23.09 김진표 국회의장 □ 군사관계 ○ 한국과 캄보디아는 1970년 수교 이래, 긴밀한 군사적 협력을 맺고 있지는 않음. ○ 캄보디아는 국가 스스로의 중립성을 해하는 군사동맹 및 군사협정을 맺고 있지 않음. 또한 자국 영토 내 다른 국가의 군사기지가 허락되지 않고 있으며, 유엔의 틀 내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자국 군대의 해외 파병을 금지하고 있음. □ 영사관계 ○ 수교 70.05.18. 외교관계 수립 75.04.05. 공산화에 따른 대사관 철수 96.05.15. 대표부 설치 합의 97.10.30. 외교관계 재개 ○ 공관 : 상주대사관 1997.10. 설치 박정욱 대사(2023.1. 부임) 찌릉 보톰랑세이(Chring Botumransay) 대사(2021.09. 부임) ○ 양국은 경제, 과학기술, 무역, 문화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음. ○ 교민현황 : 캄보디아 내 한국인 : 7,800명 (2023년 기준, 외교부) ※ 실제 15,000여 명 체류 추정 □ 비고 : FTA 정보 ○ 협상개시 : 2005년 2월 ○ 진행상황 : 2007년 6월 FTA 발효 ○ 2006년 한 ASEAN FTA 상품무역협정 타결, 2008년 FTA 상품협정 캄보디아 발효 ○ 2013년 5월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협상개시, 2022년 1월 1일부로 발효 ○ 한 캄보디아 FTA 2020년 7월 협상개시, 2021년 2월 3일 한 캄보디아 FTA 타결공동선언, 2021년 10월 26일 타결 출처 : 외교부, 관세청 FTA 포탈 www.mofa.go.kr https://www.customs.go.kr/ftaportalkor/main.do (*) 2024년 6월 30일 기준 |
|||
첨부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