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지식 및 교육 허브 개발: 싱가포르의 사례

싱가포르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과 부교수 2012/02/14

■세계경제 속 싱가포르
 
 - 인민행동당(PAP) 정부의 경제정책
 ○산업 생산기반 구축, 취업기회 제공, 빈곤과 질병 해소 등을 통해 싱가포르를 제3세계에서 제1세계로 도약시킴.
 ○해외자본의 투자유치를 통한 산업화 추구
 ○한계: 싱가포르를 해외 다국적 기업의 가치고리 내에 위치 지음으로써 일본, 한국의 경우(예: 삼성, 토요타, 소니)와 달리 세계적 수준의 외형과 경쟁력 갖춘 토착적 기업 개발에 실패함.
 - 1997년 경제 위기의 영향
 ○1970년대 이래 정부는 싱가포르의 비교우위를 재정립하고, 부가 가치적 생산력을 높이려는 계획 모색함.
 ○1997년 경제위기는 위 계획 실현 필요성 촉진
 ○새 경제정책의 2대 목표: 클러스터 기반 산업 개발과 싱가포르 국민의 세계시민 정체성 구축
 ○경제 검토위원회(Economic Review Committee)는 서비스산업 강화를 정부에 조언. 이에, 정부는 금융서비스분야 개방과 생명과학 분야 발전계획을 핵심과제로 설정
 ○싱가포르 21세기 위원회(Singapore 21 Committee)는 기업가 정신에 기초한 새로운 싱가포르인 정체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외국으로부터의 인적자원 쇄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구축 필요성을 제시함.

 

■싱가포르의 교육정책
 
 - 국가의 경제정책을 보조함.
 ○다문화주의와 능력주의(meritocracy)를 교육의 근간으로 함.
 ○ldquo;아시아적 가치”를 통해 서구자유주의의 급격한 유입을 제어함.
 ○1990년대 들어 대학을 미래 지식기반 사회 건설의 주역으로 인식함에 따라 정치경제적 담론 내 교육의 중요성 상승.
 ○대학은 이에 창조성, 세계시민의식,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는 교육목표 도입
 - 싱가포르를 지식과 교육의 허브로 개발하기 위한 정책의 3대 핵심목표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 대학의 싱가포르 유치
 ○2015년까지 15만 명의 유학생 유치
 ○창조성, 세계시민의식, 기업가정신 고취를 핵심으로 하는 각급 학교 커리큘럼의 개정

 

■“글로벌 스쿨하우스”(Global Schoolhouse) 프로젝트
 
 - 목표
 ○세계 최고수준 대학과의 파트너 관계를 통해 기존 싱가포르 대학의 한계(학부중심 교육, 창조적 연구 능력 결여)를 선도적으로 개선하여 연구 집약적 대학문화를 구축함.
 ○특히, 테크노과학 등 지식의 상업화가 가능한 분야에 대한 집중 지원
 - 시행 초기에는 미국의 연구중심 대학에 집중함
 ○MIT, 조지아텍, 듀크대학의 싱가포르 내 대학원 프로그램 개설 지원
 ○존스홉킨스대학의 싱가포르 내 바이오의학 연구와 박사과정 수련 지원
 ○시카고 대학 경영대학원과 와튼 스쿨의 분교 유치
 ○이후 파트너대학을 점진적으로 다각화하여, 2007학년도부터는 뉴욕대학교 티쉬예술대학(학부) 유치 및 인시아드(INSEAD) 등 유럽 소재 경영대학원 유치
 - 프로젝트 관련한 홍보의 필요
 ○대내적으로는 외국 인적자원에 대한 특혜시비 불식 필요
 ○대외적으로는 학문 자유가 보장된 곳으로서의 싱가포르 이미지 제고 필요
 - 글로벌 스쿨하우스 프로젝트의 대표적 사례로서 싱가포르-MIT 협정과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 검토 필요성 제기됨.

 

■싱가포르-MIT 협정 (Singapore-MIT Alliance. SMA)

 - 경과:
 ○1997년, 싱가포르의 공대생들은 기업가 정신이 부족하다는 연구보고서 제출됨.
 ○이에, 싱가포르 정부는 1998년에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와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싱가포르국립대(NUS) 및 난양공대(NTU)와 MIT 간의 제휴관계 시작함.
 - 내용:
 ○싱가포르 양 대학의 공대 대학원 프로그램을 MIT가 설계, 감수
 ○MIT와 싱가포르 대학들 간에 공동연구 프로젝트, 교수 교환, 공동 세미나 개최
 ○2005년부터는 공학 외에 바이오메디컬 분야도 중점 협력 분야가 됨.
 ○싱가포르 양 대학과 MIT 간에 이중 석사학위 부여함.
 - 성과:
 ○정부가 주체로 참여한 협정으로서 교류에 관한 행정적 장애물 최소화
 ○MIT의 브랜드 가치에 대한 인접성 효과 통해 싱가포르 양대 대학의 인지도 상승
 ○싱가포르 양 대학의 공대 대학원 등록률과 박사과정 완료율 제고
 ○싱가포르 대학들의 강화된 장학금 정책은 싱가포르를 유학지로 선택하는 아시아권 학생 증가시킴
 
■싱가포르 국립대학(NUS)의 “글로벌 지식 기업”으로의 재구조화

 - 경과
 ○1905년 영국 식민교육기관으로 창학된 NUS는 현재 23,000명의 학부생과 9,000명의 대학원생이 등록된 대규모 대학으로 성장
 ○대학의 전 역사를 통해, 국가 발전에 필요한 전문인력 및 행정인력 양성
 ○1990년대 말, 미국 산학기관의 행정경험 가진 시춘퐁(Shih Choon Fong)을 총장으로 영입
 - 시 총장은 싱가포르 대학을 “글로벌 지식 기업” (Global Knowledge Enterprise)으로 변화시키겠다는 비전 제시
 ○의학, 자연과학, 공학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생명과학 진흥 목표
 ○지역 및 세계정세에 공히 능통한 세계시민 양성 사명 재인식
 - '글로벌 지식 기업' 프로젝트를 총괄, 조정하는 “NUS 엔터프라이즈” (NUS Enterprise) 설립
 - “NUS 엔터프라이즈”의 조직 구성
 ○창업에 관한 연구조사를 담당하는 “창업가 센터” (Entrepreneur Centre)
 ○재학생, 졸업생, 교직원의 창업을 행정·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벤처 지원 단위” (Venture Support Unit)
 ○학부생들이 실리콘밸리, 스톡홀름, 상하이, 방갈로르 등지의 하이텍 기업에서 인턴생활을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해외 학부 프로그램” (Overseas College Programme)
 - 성과
 ○NUS는 아시아에 위치한 선도적 글로벌 대학의 위상과 면모를 갖추게 됨
 ○싱가포르 유입 유학생의 증가 통해 궁극적으로 싱가포르의 소프트파워 증진 효과. 졸업생들은 싱가포르에 대한 긍정적 시각 갖춘 미래의 정치·산업계 지도자로 성장할 개연성
 
■평가

 - 인구 및 내수시장의 소규모에 따른 높은 대외 의존도 때문에 싱가포르는 외부 충격에 취약함.
 ○부유한 개발국가가 국가경제 운용의 주도권을 행사함으로써 위 조건을 상쇄하고자 함.
 ○기존의 톱다운 접근법 유효 (사회변화 견인을 위한 엘리트 대학 집중 투자)
 ○ldquo;글로벌 스쿨하우스”는 경제 민족주의와 세계화 간의 공존 관계에 대한 모범 사례
 - 지식경제 구축의 목표는 사회자본, 문화자본, 지식자본을 고루 갖춘 국민의 존재에 의해 가능함.
 ○사회 제 분야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미국의 소규모 인문학 중심대학 모델 도입 필요
 ○서구 편중주의를 지양하고 아시아 명문대학들과의 제휴를 강화할 필요성 제기됨.
 

 

※참고자료
- Ravinder Sidhu, K.-C. Ho, and Brenda Yeoh. (2011). Emerging education hub: The case of Singapore. Higher Education 61(1), pp. 23-40.
- Ravinder Sidhu. (2009). The brand name research universities goes global. Higher Education 57(2), pp. 125-140.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