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아프가니스탄, 경제성장을 위한 혁신적 조치 필요
아프가니스탄 EMERiCs - - 2024/07/05
☐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아프가니스탄 내 위기 상황
◦ 인도적 지원 부족과 경제 역성장 지속
- 아프가니스탄은 오랫동안 경제 위기와 함께 인도주의적 위기를 겪고 있다. 현재 아프가니스탄 인구 4,280만 명 중 1,500만 명 이상이 지속적인 자연재해로 인해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고 알려졌다. 인드리카 라트와테(Indrika Ratwatte) UN 인도주의 조정관은 아프가니스탄 지원에 필요한 30억 6,000만 달러(약 4조 1,000억 원) 중 2억 9,000만 달러(약 3,900억 원)만 확보했다며, 국제사회로부터 재정 지원 및 필수 의료, 교육, 식량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세계은행은 최근 2년간 아프가니스탄의 GDP 성장률이 –26%였다고 발표했으며, 경제 전망은 2025년 말까지 침체가 지속된다고 분석했다.
☐ 경제성장을 위한 개발 프로젝트 추진
◦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경제성장 모색
- 아프가니스탄은 이러한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경제성장을 위한 혁신적인 조치를 추진 중이라고 발표했다. 탈레반 정부는 ▲‘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인도(TAPI: Turkmenistan-Afghanistan-Pakistan-India)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아이나크(Aynak) 구리 추출 프로젝트’,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전력 송출 및 무역 프로젝트(CASA-1000: Central Asia South Asia Electricity Transmission and Trade Project)’와 같은 인프라 프로젝트를 통해 아프가니스탄의 경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은 상기 인프라 프로젝트를 통해 자국의 경제성장과 신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특히 TAPI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를 통해 자국의 에너지원을 다각화하고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줄여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아이나크 광산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내 고용 창출 및 주변 상권 발전으로 역내 경제 발전을 전망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아시아개발은행(ADB: Asian Development Bank)은 12억 달러(약 1조 6,000억 원) 규모의 CASA-1000 프로젝트를 통해 아프가니스탄의 경제성장 가능성을 전망했으며, 향후 지역 내 에너지 공급망을 강화하고 역내 국가 간의 교역을 통해 경제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분석했다.
☐ 금융산업 개혁 추진 및 국제사회의 지원
◦ 금융 개혁을 통한 경제성장 기반 모색
- 2024년 2월 탈레반의 압둘 가니 바라다르(Abdul Ghani Baradar) 경제부총리는 아프가니스탄 내 금융산업들의 유동성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은행과 기타 금융기관들은 정상적인 대출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해, 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에, 기업과 개인들은 자본을 국외로 유출 시켜, 국내 경제 활동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악순환은 해외직접투자(FDI) 유입 감소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금융권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현지 기업은 현금 기반 거래와 하왈라(Hawala) 결제 시스템*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 이에, 탈레반 정권은 금융 개혁을 통해 아프가니스탄 내 은행들의 유동성 부족을 해결하고 출금 제한 정책을 철폐한다고 발표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은행들이 자국 내 재건, 농업, 산업 부문의 국가개발 프로젝트에 자금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자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경제성장을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가 신용도 향상, 금융 투명성 증진, 규제 강화는 아프가니스탄 금융산업이 개선되기 위한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지적했다.
* 중동, 아프리카, 남아시아 등지에서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 돈을 송금할 수 있는 비공식적인 자금 송금 시스템
◦ 경제성장을 위한 국제사회의 기술 및 자금 지원의 필요성
- 아프가니스탄의 경제 회복을 달성하기 위해선 국제사회와 국제금융기구의 자금 지원이 필수적이다. 탈레반 정권은 FDI를 유치하기 위해 안정적인 정치 환경을 기반으로 국가 금융 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IMF는 탈레반이 포용적 거버넌스와 인권 가치를 준수하는 조건으로 기술 및 자금 지원을 승인하겠다고 발표했다.
- 아프가니스탄은 궁극적으로 국제 금융 제재를 완화하고 미국 내 동결된 아프가니스탄 중앙은행 보유 자금 70억 달러(약 9조 원)가 해제되길 바라고 있다. 탈레반 정부는 금융산업 부문의 안정과 대(對)국민 신뢰 회복을 통해 자국 내 FDI 유입을 촉진하고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가 유치하여 아프가니스탄의 경제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 감수 : 권기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South Asian Voices, Charting Afghanistan’s Economic Future: Recommendations for Reform, 2024.06.12.
UNDP, Two Years in Review: Changes in Afghan Economy, Households and Cross Cutting Sectors, 2024.01.18.
The Astana Times, Kazakhstan, Afghanistan, Turkmenistan to Develop Transport Infrastructure in Afghanistan, 2024.04.29.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동향세미나] 인도-방글라데시 정상회담 주요 내용 및 평가 | 2024-07-02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파키스탄, 유엔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출(2025-26년) | 2024-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