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말레이시아, 쌀 가격 상승에 식량안보 4대 대응책 발표

말레이시아 안정빈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동남아대양주팀 연구원 2023/10/20

☐ 말레이시아 농업식량안보부(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장관 모하마드 사부(Mohamad Sabu)는 2023년 10월 3일에 국내 쌀 가격 상승을 막기 위해 4대 대응책을 발표함.
 - 본 대응책은 정부가 9월 초에 1인당 쌀 구매 수량 제한 조치에도 식품 물가 상승세 지속과 사재기 급증에 따른 추가 조치임. 
 ㅇ 2023년 9월 1일 기준 말레이시아의 수입 쌀 계약체결 가격은 최대 36% 올랐으며, 1kg당 2.9~3.8링깃(0.61~0.80달러)임.1) (다음 “-” 삭제)


그림 1. 주요국 쌀 가격 추이 
(단위: 메트릭 톤)
자료: 미국 식량정책연구소(IFRPRI)를 참고해 저자 작성.

표 1. 쌀 가격 폭등 관련 정부 4대 대응책
자료: 현지 언론보도를 토대로 저자 작성.

☐ 정부의 4대 대응책 발표 배경은 △인도발 수출 제한 조치 △러시아ㆍ우크라이나 전쟁과 엘니뇨 현상 장기화 △저조한 쌀 자급률과 높은 수입 의존도에 따른 가격 급등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것임. 
 - 인도가 2023년 7월 20일 자로 자국 쌀 가격 상승을 안정시키고자 非 바스마티 백미 수출을 전면 금지함.2)
 - 러·우 전쟁으로 비료 가격이 폭등했으며 엘니뇨 현상 지속으로 쌀 수확량이 감소함.
 - 말레이시아는 쌀 소비량에 비해 생산량이 현저히 부족하며 이러한 수요와 공급간 격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3)
ㅇ 동남아시아 지역의 2000~16년 자급률은 말레이시아(67~70%), 태국(200%), 베트남(124%), 필리핀(93%), 인도네시아(97%)임.4)

☐ 향후 말레이시아의 쌀 소비량이 인구 성장률에 따라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5)쌀 생산구조를 개선하지 않는다면 본 4대 대응책만으로는 역부족일 수 있다고 전망됨. 
  - 농업계 종사자들은 자국 내 농업 생산성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 10여 년간 관개수 오염으로 지속된 현상이라고 진단함. 
  - 그러나 사부 장관은 쌀 공급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 아니며 사재기에 대한 법적 대응에 연속 강조해 장기적인 농업 생산성과 수확률 향상을 위한 대책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존재함. 
  - 말레이시아의 쌀 최대 수입국이 코로나19 전까지 태국과 베트남이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식량안보 변동성과 인플레이션에 취약한 구조임을 간과할 수 없음. 
 ㅇ 코로나19로 말레이시아의 쌀 최대 수입국인 태국과 베트남이 수출을 제한해 이에 따른 대응책으로 정부는 2020년 5월 인도와 최대 수입 계약을 체결하기에 이름. 
 ㅇ 즉, 말레이시아는 주요 수입국의 쌀 수출 제한 정책에 따라 가격 변동성에 노출되어있으며, 자급률이 향상되지 않으면 지속적인 식량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있음. 

림 2. 말레이시아의 국별 쌀 수입 추이
(단위: 메트릭 톤)
주: 2022년은 11월까지의 데이터임.
자료: 미국 해외농업국(FAS).


그림 3. 말레이시아 쌀 시장 현황
(단위: 메트릭 톤(좌), %(우))
주: 회색 음영은 자급률임.
자료: Omar, Shaharudin, and Tumin(2019).

☐ 한편, 2023년 10월 4~6일에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제45회 아세안 농림장관회의(AMAF)에서 사부 장관은 역내 식량안보 문제에 대해서 논의했고, 태국과 베트남에 아세안 회원국들을 우선시하겠다는 확답을 받았다고 전함.6)
  - 사부 장관은 AMAF가 아세안을 세계 식량창고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것에 대한 기대를 밝히며 회원국 간의 긴밀한 협력을 장려함.


*각주
1) Mohamed Basyir and Qistina Sallehuddin(2023.10.09.), “Weakening of ringgit reason for imported rice price hike.” New Straits Times.
2) Mayank Bhardwaj(2023.08.29.), “India allows exports of non-basmati white rice trapped at ports.” Reuters.
3) OECD-FAO(2018), Agriculture Outlook 2018-2027. 
4) Omar, Shaharudin, and Tumin(2019), “The Status of the Paddy and Rice Industry in Malaysia.” Khazahah Research Institute.
5) World Bank Group(2019), “Agricultural Transformation and Inclusive Growth: The Malaysian Experience.”
6) Bernama(2023.10.06.), “ASEAN members first for food exports.” New Straits Times.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