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2013-14년 인도경제 4.9%의 성장률 추정

인도 이순철 부산외국어대학교 러-인 통상학부 조교수 2014/02/12

■ 2013-14년 인도경제가 2012-13년의 4.5%보다 약간 높은 4.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었음.
- 인도통계청은 2013-14년도 추정경제성장률을 기존의 전망치 5%보다 낮지만, 농업 및 관련 분야의 성장에 힘입어 지난해보다는 높은 전망치를 내놓음.
- 농업 부문이 지난해 1.4%에서 크게 성장한 4.6%를 기록하고, 금융/보험/부동산/비즈니스 서비스, 전기/가스/수도공급, 그리고 공공부문이 같은 기간 각각 10.9%, 2.3%, 5.3%에서 11.2%, 6.0%, 7.4%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됨.
- 하지만 광업, 제조업 부문은 네거티브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어 인도경제성장에 가장 걸림돌이 된 것으로 나타남.
- 그리고 무역/호텔/수송 및 통신 분야는 지난해 5.1%의 성장률에서 3.5%의 성장률에 그칠 것으로 평가함.

 

■ 비록 이전 년도 보다는 경제성장률이 조금 상승하였지만 기대보다 낮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제조업 성장 및 투자 부진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인도제조업의 성장추세를 나타내는 산업생산지수는 회복할 기세를 보여주지 않고 있어서, 2013-14년도뿐만 아니라 올해에도 제조업은 크게 회복될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음.

 

- 항만, 도로, 광산 등의 정부사업들이 줄줄이 투자 연기되면서 실질적인 경기 부양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음. 비상업성 분야인 사회 및 공공서비스 분야에 대한 성과는 좋은 것에 비해 사업(project)성인 건설은 1.7%의 성장이라는 초라한 성과를 내놓음.
- 이와 더불어 총고정자산형성(GFCF)도 지난해 경상가격으로 200조 루피에서 201조 루피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즉 공공투자의 부진과 투자자본 형성의 미흡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 한편 높은 물가상승률과 유동성 위험으로 인하여 인도중앙은행은 경기 부양정책보다는 경기 안정화 정책에 집중하고 있어, 금융완화 정책을 크게 기대할 수 없는 실정임.

- 인도중앙은행은 지난 10월 말에 이어 1월 28일에도 기준금리를 7.5%에서 8%로 상향 조정하여, 최근에 3연속 금리를 인상 시킴.
- 최근에 소비자 물가는 식품 및 연료 가격 안정으로 하락하고 있지만, 서비스, 임금, 중간재 가격 상승압력으로 비식품 제조업 제품에 대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증가하고 있음.
- 특히 미국의 양적 완화 조치에 따른 신흥시장의 환율 변동이 심각해지면서 인도가 다시 유동성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인도중앙은행 입장에서는 금리 인하보다는 금리 인상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실정임.
- 이러한 대내외 환경으로 기준금리의 지속적인 인상으로 금리가 최근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상승하여, 인도가 다시 고금리 정책으로 전환한 것으로 평가됨.

 


■ 또한, 4월 총선과 신정부의 형성이라는 점에서 인도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은 쉽게 해소되지는 않고 있음.

- 현재 총선에 대한 예상은 쉽지 않은 상태이며, 총선에 상관없이 새로운 정부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전과는 차별적인 경제정책이 추진될 것이라는 점에서 인도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은 당분간 존재할 것으로 판단됨.

■ 더욱이 미국경제가 회복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양적완화 조치가 단행될 가능성이 높지만, 유럽, 일본, 중국 등의 경제는 여전히 부진한 상태로 인도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무엇보다도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은 인도의 수출과 수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됨.
- 인도 수출이 매년 20~30% 성장에서 지난 1월 수출은 3%대에 그쳤으며, 금 수입 등에 대한 규제 강화로 수입도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경상수지는 높은 수준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
- 특히 전통적인 수출지역인 유럽 등으로부터 수출에 대한 수요가 회복되지 않고 있어, 올해에도 인도의 경상수지는 적자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음.

■ 앞으로 인도경제가 회복하기 위해서는 제조업 생산 확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주도의 투자 증대 등 경기확대 정책이 요구됨.

- 경기 부진에 걸림돌이 되었던 농업부문은 기대 이상의 성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제조업 부문의 성장이 인도경제성장에 중요한 요소가 됨.
- 또한, 최근에 지지부진했던 정부사업들도 장애요인들을 해소하고 꾸준한 추진이 요구됨.
 
■ 한편, 인도중앙은행의 경기부양을 위한 저금리 정책은 올해에도 기대하기 쉽지 않으리라고 판단됨.

- 올해에도 식품 등의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는 높은 편이며, 미국의 양적 완화 조치는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서 인도중앙은행은 올해에도 저금리 정책보다는 고금리 정책을 고수할 것으로 판단됨.
- 이에 따라 금리 정책을 통한 경기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결과적으로 올해 인도경제는 5%대의 성장 대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아짐.

- 앞으로 제조업 성장과 해외 수요가 증대되지 않을 경우 기존의 7~8% 성장세를 회복하기가 쉽지 않으리라고 판단됨.
- 중앙은행의 고금리 정책으로 앞으로 정부의 확대 적 재정정책에 의해 경기부양정책을 기대할 수밖에 없음.
- 그러나 정부의 재정적자를 앞으로 GDP 대비 3%대까지 축소한다는 정책목표도 적극적인 경기부양정책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앞으로 어떤 정부가 들어와도 궁극적으로 개혁과 개방 정책만이 인도경제를 회복시키는 요인이라고 해석됨.
- 즉 총선 이후 인도경제의 회복은 정부의 대대적인 개혁과 개방 정책의 수행 여부에 달려 있다고 판단됨.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