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캄보디아 농산물 수출 확대에서 찾은 농업분야 진출기회

캄보디아 KOTRA 2023/08/18

자료이용안내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록 자료의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관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캄보디아 주요 수출품인 농산물 수출 증가로 농업분야 한국기업의 관심 높아져

정부 정책 및 외교 활동으로 농산물 수출 상승세 지속 전망

캄보디아 농산물 수출 현황



2022년 캄보디아 총 GDP 중 농업 분야가 22%를 차지할 정도로 캄보디아에서 농업은 주요 산업분야로, 국민의 약 61%가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농촌 가구의 77%가 농업·어업·임업에 종사하고 있다. 지난 몇 년 간 캄보디아는 쌀·견과류·카사바 등 저부가가치의 농산물 위주로 수출하고, 밀가루 등의 고부가가치 가공식품을 수입에 의존하면서 농산물 순 수입국으로 무역 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2022년 74개 시장에 약 50억 달러에 달하는 860만 톤의 농산물을 수출하면서 전년대비 7.8% 수출량 증가라는 실적을 달성하고, 캄보디아 정부는 ‘Rectangular Strategy Phase IV and National Policy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2022-2030’를 충실히 이행하는 등 농산물 생산 및 수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캄보디아 주요 농산물 수출업체인 Rich Farm Asia 훈 락 CEO에 따르면, 식량 안보와 국제 판매 역량 제고를 목표로 하는 정부 정책과 다수의 국가와 외교 관계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려는 정부의 노력으로 캄보디아 농산물 수출은 당분간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對캄보디아 농산물 수출입 동향



한국의 對캄보디아 전체 교역 대비 농산물 교역 비중은 2023년 5월 기준으로 약 0.3%로 미미한 수준이다. 다만, 최근 양국 간 농산물 교역이 활성화되면서 2019년 1.56백만 달러 규모에서 2022년 2.68백만 달러 규모로 농산물 교역 총액이 약 72% 증가했다. 특히, 한국의 對캄보디아 농산물 수입 금액의 경우 2019년 약 40만 달러 규모에서 2022년 약 100만달러 규모로 96.8% 증가하며 한국에서 캄보디아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對캄보디아 주요 농산물 수출 현황>

(단위: USD)
[자료: 한국무역협회 수출입통계]



<한국의 對캄보디아 주요 농산물 수입 현황>

(단위: USD)
[자료: 한국무역협회 수출입통계]



한-캄 FTA로 본 캄보디아 농산물 관세



한국의 캄보디아산 농산물 수입 증가세는 2022년 12월 발효된 한-캄 FTA로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한-캄 FTA 발효로 캄보디아산 농산물 699개 품목 중 54개 품목에 대해 실질적인 관세를 인하했다. 특히, 기준세율이 0%인 453개의 품목을 제외하면 관세가 부과되는 전체 품목 중 약 22% 품목에 대해 관세 인하가 적용된다. 양허유형별로 7개 품목이 5년, 5개 품목이 7년, 16개 품목이 10년, 23개 품목이 15년, 3개 품목이 20년에 걸쳐 관세가 균등 철폐될 예정이다.



<한-캄 FTA 농산물 양허유형별 주요 품목 (한국 양허)>

(단위: %, 개)
[자료: 한-캄 FTA 양허표 KOTRA 프놈펜무역관 가공]



시사점



캄보디아의 경우 아직 농산물 수출입에서 무역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미가공 또는 원재료 형태의 저부가가치 농산물 위주로 수출이 이루어지며, 물류 시스템 부족 등의 요인이 농산물 무역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서의 캄보디아산 농산물 수입 증가, 캄보디아 정부의 적극적인 농산물 생산 및 수출 진흥 노력, 한-캄 FTA 발효 등으로 캄보디아에 기 진출한 다수의 한국기업으로부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농산물 관세 정보의 경우 산업통상자원부 FTA 포털, 한국 관세청 관세법령정보 포털, 캄보디아 관세청 홈페이지, 한국무역협회 통합무역정보서비스 등의 한국과 캄보디아 사이트를 통해 확인 및 활용할 수 있다. 



단, 프놈펜 무역관에서 인터뷰한 캄보디아 관세청 담당자에 따르면, 캄보디아와 한국의 상이한 HS코드로 관세율 차이가 발생할 경우 통관 시 서류 보완 및 행정처리로 추가 비용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통관 전 관세사 등의 전문가로부터 HS코드 및 관세율 확인을 당부했다.





자료: 한국무역협회, 한-캄 FTA 양허표, 현지 신문기사, 캄보디아 관세청 담당자 인터뷰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말레이시아 전기차 배터리 산업 동향 2023-07-28
다음글 2023년 태국 전기전자 산업 정보 2023-07-2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