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캄보디아 경제 동향 (2023.7.8-7.14)

캄보디아 주캄보디아 대한민국대사관 2023/08/18

자료이용안내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록 자료의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관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캄보디아 주간(7.8-7.14) 경제 동향



[경제/사회]



■ NBC, 최신보고서에서 ‘다자 및 양자간 FTA’의 경제 성장 기여도 강조

 ㅇ 캄 중앙은행(NBC)은 7.6 발표한 보고서‘2022 금융안정성검토(FSR)’에서 양자 및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이 국내생산 및 경제의 다각화를 촉진하고 더불어 향후 몇 년간 신규 투자를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중 핵심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될 것이라고 강조함.  

     * 아시아 태평양 15개 국가로 구성. 세계에서 가장 큰 무역협정으로 2022년 1월 발효

    - 보고서는 2023년 캄보디아, 아세안, 세계 경제가 각각 5.6%, 4.9%,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 특히 캄보디아의 성장은 제조부문 수출, 관광 및 관련산업의 빠른 회복, 운송 및 통신 부문의 급속한 확장이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 또한 전 세계 인플레이션은 2022년 8.7%에서 올해 7%로, 캄보디아와 지역의 인플레이션은 각각 2%와 5.7%로 낮아질 것으로 예측함. 

    - 훈센 총리는 RCEP을 통해 캄보디아의 GDP는 약 2-3.8%, 수출은 9.4-18%, 고용 창출은 3.2-6.2%, 세수는 2-3.9%, 전체 투자는 23.4% 까지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음.    

    - NBC의 FSR 보고서에 의하면 2022년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유입액은 총 35억 달러로 2021년 대비 2.7% 증가, 금융 부문은 15.7% 감소함. 

      * 중화권(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은 2022년 총 FDI유입의 52% 차지, 다음으로 한국(11.4%), 일본(8.4%), 싱가포르(7.3%), 말레이시아(3.1%), 영국(2.7%), 태국(2.3%), 미국(0.9%), 베트남(0.7%)순임.

       (Phnom Penh Post 7/10, 1면)

      

 ■ 씨엠립 신공항 98% 완공, 10월 중순 개방

 ㅇ 씬 짠세레이붓타 민간항공청 대변인은 7.9(일) 11억달러 규모의 씨엠립-앙코르 국제공항*의 공정률은 98%이며, 10월 중순 개장할 예정이라고 밝힘.

     * 착공 – 2020년 3월, Angkor International Airport Investment(AIAI)에 의해 BOT 방식으로 진행. 2019년 최초 투자예상액은 8.8억 달러였으며, 2022년 11억 달러로 수정. Yunnan Investment Group, Yunna Construction Gorup, Yunnan Airport Group이 각각 76.6%, 20%, 3.4%의 지분을 공동 소유한 합작 투자

    (Phnom Penh Post 7/10, 2면) 



■ 상반기 쌀수출 8.08억 달러

 ㅇ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의 쌀(벼+도정미) 수출액은 8.08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31.2% 증가함.

    - 이 중 도정비의 비율은 28.37%, 수출액은 2.3억 달러로 52개국으로 수출   

    - 캄보디아쌀연맹(CRF)는 올해 초 2025년까지 연간 쌀(도정미) 수출액 100백만 톤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발표(2022년 연간 수출량 63만7004톤, 수출액 4억 1,429만 달러     

     (Phnom Penh Post 7/10, 6면) 



■ 상반기 무역 통계 - 총수출 약 115억 달러

 ㅇ 캄 관세청(GDCE)의 발표(7.10)에 의하면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의 총수출액은 114.64억 달러로 작년 동기(113.79억$) 대비 0.75%, 2022년 하반기(111.04억$) 대비 3.25% 증가함.

    - 수출액은 올해 첫 4개월 연속 하락 후 5월과 6월에 각각 전년 동월 대비 7.94%, 15.98% 증가. 한편, 6월 한 달은 작년 대비 수출액이 감소하지 않는 첫 번째 달이었음.

    - 동기간 총교역액은 236.94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3.03%, 작년 하반기 대비 5.91% 감소. 수입액은 122.29억 달러(총 교역의 51.61% 차지)로 작년 동기 대비 22.92%, 작년 하반기 대비 13.13% 감소. 무역적자는 약 7.65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82.95%, 반기 대비 74.28% 감소

    - 상반기 최대 교역상대국은 중국으로 교역액은 61.53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2.80% 증가. 다음으로 미국(43.56억$, 9.57% 감소), 베트남(33.02억$, 1.25% 증가), 태국(19.76억$, 13.99% 감소), 일본(8.60억$, 7.91% 감소), 싱가포르(7.87억$, 62.16% 감소) 순서 

      (Phnom Penh Post, 7/11, 1면)(Khmer Times 13면)



■ 상반기 對 중국 수출 7억 달러, 총수출의 6% 차지

 ㅇ 캄 관세총국(GDCE)의 통계에 의하면,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의 對중 수출액은 7.13억 달러로 작년 동기(6.12억$) 대비 16.64% 증가, 작년 하반기(6.29억$) 대비 13.38% 증가함.  ※ 2-6월간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연속 증가

    - 동기간 대중 수입은 54.40억 달러로 작년 동기(53.74억$) 대비 1.22%, 작년 하반기(50.71억$) 대비 7.27% 증가 

    - 양자 교역액은 61.53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2.8%, 작년 하반기 대비 7.95% 증가, 캄보디아의 최대 교역국 기록.(대중 무역적자 : 47.27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0.75% 감소, 작년 하반기 대비 6.41% 증가) 

    - 동기간 중국이 캄보디아 총 양자 교역, 수출,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25.97%, 6.22%, 44.48%

     ※ 상반기 캄보디아의 총교역액 : 236.94억$, 총수출 : 114.64억$, 총수입 122.29억$)  

     (Phnom Penh Post 7/13, 1면)



■ 상반기 농산물 수출액 24억 달러 – 작년 동기 대비 22% 감소

 ㅇ 캄 농림수산부의 보고서에 의하면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는 24억 달러 상당의 농산물 약 390만톤을 65개국으로 수출하였으며, 이는 작년 동기 대비 22.5% 감소한 수치임. 

    - 주요 수출품 : 쌀, 바나나,  망고, 카사바, 캐슈넛, 옥수수, 팜오일, 후추 

    (Khmer Times 7/14, 13면)



■ 상반기 철강 제품 수입 1.92억 달러 – 작년 동기 대비 3.5% 증가

 ㅇ 캄 관세청(GDCE)의 통계에 의하면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는 1.92억 달러의 철 및 철강 제품을 수입하였으며, 이는 작년 동기(1.86억$) 대비 3.51%, 작년 하반기(1.74억$) 대비 10.47% 증가한 수치임.

    - 동 부문 수입은 상반기 캄보디아 총수입액(122.29억$)의 1.572%를 차지

    - Sam Soknoeun 글로벌부동산협회 회장은 언론인터뷰(7.13)에서 ”부동산 부문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대비 큰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회복되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함.

      (Phnom Penh Post 7/14, 1면)       



■ 상반기 캄-베트남 양자교역 작년 동기 대비 1.3% 증가

 ㅇ 올해 상반기 캄-베트남 양자교역액은 작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33.02억 달러를 기록함.(캄 관세청 통계) 

    - 대베트남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14억 달러. 수입은 작년 동기 대비 10% 감소한 19억 달러

    - 1-5월간 베트남에 벼, 건조 카사바,  캐슈넛, 신선 망고, 옥수수, 천연고무를 포함한 40품목 이상의 농산물을 수출(농림부 자료)

    - 빠엔 쏘비찌읏 상무부 대변인은 캄-베 양자교역이 증가하는 주요 원인은 2020.8.1. 발효된 베트남-유럽간 FTA 협정 체결로 인한 원자재 수요의 증가라고 언급

     (Phnom Penh Post 7/14, 5면)



■ 상반기 대 태국 수출 작년 동기 대비 6.5% 증가

 ㅇ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의 대 태국 수출액은 5.28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6.48%, 하반기 대비 57.11% 증가함.

    - 동기간 대태국 수입은 14.48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9.63%, 하반기 대비 28.72% 감소  

    - 상반기 캄-태국 양자교역액은 19.76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3.99%, 하반기 대비 16.54% 감소

    - 동기간 태국은 캄보디아의 4위 교역국으로 총교역(236.94억$), 총수출(114.64억$), 총수입(122.29억$)의 8.34%, 4.60%, 11.8% 차지

     (Phnom Penh Post 7/14,6면) 



■ 5월 인플레이션 0.48%로 지난 9년 중 최저치

 ㅇ 캄 중앙은행(NBC)의 발표(7.10)에 의하면 5월 인플레이션이 올해 3월 0.7%, 4월 1.1%에 이은 0.48%로 하락해 최근 9년 중 최저치를 기록함.

    - 특히, 운송부문은 4월 –3.58%에서 5월 –8.69%로 레스토랑은 4월 0.92%에서 -0.61%로 하락. 주택·수도·전기·가스 및 기타 연료는 –1.1%에서 –1.19%로 하락        

     (Khmer Times 7/11, 13면)



■ 6월 말 기준, 프놈펜 신공항 50% 완공

 ㅇ 캄 민간항공청(SSCA)은 6.30 기준, 프놈펜 신공항(TIA, Techo International Airport)이 건설 1단계의 50%가 완료되었으며 2024년에 1단계 건설이 완공될 예정이며 2025년 개장할 예정이라고 밝힘.

    - 씬 짠세레이붓타 SSCA 대변인은 1단계 완공 후 TIA는 연간 최대 1,500만명의 승객 수용 및 175,000톤의 항공 화물 처리가 가능하다고 설명. 또한 2번 국도-훈센 도로-TIA를 연결하는 13.5km의 도로 건설은 46% 완성되었다고 말함.  

     (Phnom Penh Post 7/11, 5면)  

 

■ CDC-호주, ‘캄보디아 투자에 관한 핸드북’ 공동 발간

 ㅇ 캄보디아개발위원회(CDC)와 호주 외교통상부가 공동으로 발간한 ‘캄보디아 투자에 관한 핸드북(Handbook on Investing in Cambodia)의 출간 행사가 7.10(월) 쏙쩐다 소피어 CDC 사무총장과 Nicholas Moore 호주 동남아시아 특사의 공동 주재로 개최됨.

    - 책자는 캄보디아의 신투자법과 관련 부칙령(/총리령, sub-decree) 및 투자 관련 세부 조항들을 포함하고 있음.

    (Khmer Times 7/11, 14면)  



 ■ CDC, 상반기 총 11억 달러 투자사업 승인

 ㅇ 캄보디아개발위원회(CDC)에 의하면 CDC는 올해 상반기 총 11억 달러(등록 자본) 상당 113개 투자사업*을 승인했으며, 최대 투자국은 총 투자액의 65.38%에 해당하는 5.88억 달러를 투자한 중국*임.

     * 중국 다음으로는 캄 현지 기업의 투자가 19.86%로 2위 차지, 그 외 주요 투자국은 베트남(6.64%), 세이셸 공화국(3.31%), 태국(1.77%), 한국(1.70%), 사모아(0.60%), 미국(0.49%), 싱가포르(0.18%), 스웨덴(0.07%) 

    - 2022년 동기 대비 사업건수는 15건 증가, 투자금은 19억 달러에서 감소

    - 투자 부문 : 산업 102건(90.27%), 농업·농산업 7건, 관광 3건, 인프라 1건

     (Khmer Times 7/12, 13면)(Phnom Penh Post 1면)



■ NBC, 중국과의 국경 간 결제 위해 UnionPay와 협력 MOU 체결

 ㅇ 캄 중앙은행(NBC)은 7.10(월) 중국의 카드 결제사인 UnionPay International(UPI)와 NBC의 바콩시스템의 KHQR 코드로 캄 국내에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MOU를 체결함.

    - UPI측은 WeChat Pay 및 Alipay와 협력하여 올해 말까지 소비자들이 동 거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힘. 

    - MOU에 의하면, Union Pay, WeChat Pay, Alipay 지갑 사용자는 캄보디아 방문시 위안화를 리엘화로 환전할 필요가 없으며, 캄보디아내에서 KHQR 코드로 약 7천개 가맹점에서 결제 가능 

    - 찌어 세레이 NBC 부총재는 동 시스템을 통해 캄보디아의 관광부문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

      (Khmer Times 7/12, 1면)



■ 캄 교통부, “캄보디아-중국 간 연결 철도 개발 추진 중” 

 ㅇ 쑨 짠톨 공공사업교통부 장관은 7.11(화) SNS 실시간 인터뷰를 통해, 캄보디아는 현재의 철도 시스템을 고속철도로 전환하고 범아시아 철도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캄보디아에서 라오스, 중국, 태국, 베트남까지 이어지는 기차여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민간 파트너의 투자지원을 받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하고, 동 사업을 위해 정부는 5년간 연구조사를 진행해 왔다고 밝힘. 

    (Khmer Times 7/12, 17면) 





■ 상반기 항공편수 작년 대비 148% 증가,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미달

 ㅇ 민간항공청(SSCA)의 씬 짠세레이붓타 대변인은 캄보디아의 3개 국제공항은 올해 상반기 총 24,725편의 국내 및 국제선 항공편을 운항하였으며, 이는 작년 동기 대비 약 148% 증가한 수치이나, 팬데믹 이전 대비 항공편의 회복이 여전히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고 밝힘.

    - 동기간 항공편 이용 승객의 수는 약 248만명, 처리한 화물은 약 24,600톤으로 작년 동기 대비 각각 270% 증가, 17.86% 감소함. 

    (Phnom Penh Post 7/12, 6면 )  



■ 캄보디아 24년간 인구 540만 명 증가, 사망률 감소

 ㅇ 훈센 총리는 7.11 세계인구의 날을 맞아 발신한 메시지에서 1998년 1,140만 명이었던 인구가 2022년 1,680만 명으로 증가하였으며, 24년간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은 사망률 감소라고 말함.

     - 훈센 총리는 산모 사망률이 2008년 10만명당 810명에서 2014년 170명, 2021-2022년에는 154명으로 감소, 5세 미만 사망률은 2000년 1천명당 124명에서 2010년 55명, 2021-2022년 16명으로 감소했으며, 기대수명은 1998년 남성 54세 여성 58세에서 2008년 남성 61세, 여성 64세로, 2019년에는 남성 74.3세, 여성 76.8세로 늘어났다고 설명

      - 15-60세 사이의 인구수는 전체 인구수의 65%를 차지. 부양인구는 2040년까지 노동 인구 백명당 54명으로 감소 예상 

       (Khmer Times 7/12, 4면)        



■ 차기 정부, 전국에 농업 담당관 파견 160만 농가 기술적 지원 계획

 ㅇ 캄 농림수산업부는 국민당(CPP)이 차기 정부에서 집권당이 될 경우 전국 모든 마을과 면(commune)에 1600명의 농업 담당관을 파견할 계획이라고 밝힘.  

    - Im Rachana 농업부 대변인은 7.11(수) 기자회견에서 “국민당(CPP) 총회에서 승인된 동 사업은 2023-2028년간 운영될 예정이며, 전국 160만 농가 약 750만 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동 사업 시행을 위해 1억 달러를 추가로 투입하여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함.

    - 대변인은 전국의 코뮌에 배치될 1600명의 농업 담당관들은 농작물별 물 사용 방법 및 시장 개척을 포함한 농업 및 재정 관리 기술을 지원하게 된다고 설명  

      (Phnom Penh Post 7/13,1면)



■ 프놈펜-시엠립간 고속도로건설 사업 추진 위한 TS 구성

 ㅇ 캄 공공사업교통부(MPWT)는 중국도로교량공사(CRBC)와의 협력으로 추진하는 프놈펜-시엠립 간 총길이 400km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의 신속한 이행을 위한 부처간 테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고 밝힘.

    - MPWT와 CRBC는 지난달 초 40억 달러 규모의 동 사업에 관한 세부연구*를 12개월내로 완료하는 것에 관한 기본약정을 체결함.

     * 1단계:프놈펜-시엠립 259km, 2단계 : 시엠립-뽀이뻿 150km 

    (Khmer Times 7/14, 1면)



[대외 협력]     



■ 캄 지뢰제거 전문가팀, 우크라이나에 지뢰제거 훈련 제공 후 귀국

 ㅇ 헹 라타나 캄보디아 지뢰행동 센터(CMAC) 국장은 CMAC 소속 지뢰제거 전문가 5명이 1주일(7.5-7.9)간 폴란드에서 우크라이나 지뢰제거 전문장교들(8명)을 상대로 실시한 인도주의적 지뢰제거 특별 교육 임무를 마치고 7.11(화) 귀국했다고 밝힘. 

    - 동 협력은 우크라이나 정부의 요청에 따라 JICA를 통해 일본 정부의 조정과 지원을 받고 훈센 총리의 재가를 받아 추진되었다고 설명

    - 주캄 일본 대사관은 7.12(수) CMAC 전문가팀이 폴란드에서 지뢰 탐지 장비에 사용에 대해 우크라이나 국가긴급당국(SESU) 전문가팀을 교육했으며, 금번 훈련은 올해 1월 캄보디아에서 진행된 훈련 프로그램의 후속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하고, 일본정부는 우크라이나 및 기타 제3국들과 지식을 공유하는 CMAC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말함.  

      (Khmer Times 7/13, 3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