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캄보디아 경제 동향 (2022.2.26-3.4)

캄보디아 주 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2022/03/18

■. 캄 정부, 2022년 ‘경제센서스’ 3.1-3.31간 실시
ㅇ 훈 센 총리는 2.26(토) ‘2022년 캄보디아 경제 센서스 실시에 관한 협조 요청 공고(2.23)문“발표를 통해, 정부가 3.1-3.3.31간 실시하는 2022년 경제센서스(economic census)에 전체 기업들이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함.
- 훈 센 총리는 공고문에서, ‘경제센서스’는 캄보디아 국민들의 경제·환경·사회·문화 및 복지 정책 수립에 매우 중요한 요소들인 정부 기관, 개발 파트너, 국내외 기구의 현황 파악 및 사회·경제 개발정책을 검토·결정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는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함.
※ 캄 정부는 2011년 제1차 경제 센서스를 실시한 바 있음. 올해 경제 센서스의 결과 발표는 내년에 이루어질 예정
(Khmer Times 2/28, 1면)

■. 캄보디아, RCEP 회원국 중 ‘실질소득 증가’와 ‘수출 증가율’에서 3위 기록
ㅇ 월드뱅크(WB)가 발표한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 관계의 경제적·분배적 영향 평가’에 관한 보고서에 의하면, 캄보디아는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RCEP)*’ 회원국들 중 실질 소득 증가와 수출 증가율에서 3위를 기록함.
* 아세안 10개국 + 아시아태평양 5개국(호주, 중국, 일본, 뉴질랜드, 한국)
- 캄보디아의 실질 소득 증가는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에 이어 3위, 수출성장은 베트남(11.4%)과 일본(8.9%)에 이어 3위(6.5%) 기록
※ 2021년 캄보디아의 총수출은 약 172억 달러로 전년 대비 16.72% 증가, 총수입은 약 185억 달러로 전년 대비 7.84% 감소
※ RCEP는 캄보디아에서 올해 1.1부터 발효
(Phnom Penh Post 2/28, 1면)

■. 국가인신매매방지위원회, 이주 근로자 노동 착취 우려 표명
ㅇ Chou Bun Eng ‘국가인신매매방지위원회’ 상임부위원장은 2.27(일) ‘반 인신매매’에 관한 포럼에서, 지난해 태국에서 일하던 약 3만 명의 캄보디아 이주 노동자들이 코로나19로 인한 장기 노동착취 및 급여 미지급 문제에 당면해 있다고 우려를 표명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겪고 있는 노동자들의 캄보디아 귀국을 권고함.
(Khmer Times 2/28, 3면)

■. 1월 한-캄 양자교역 31% 증가
ㅇ 한국무역협회(KITA)의 자료에 의하면, 올해 1월 한-캄 양자교역액은 1.11억 달러로 작년 동기(84.96백만 달러) 대비 31.03% 증가함.
- 캄보디아의 수출액은 33.02백만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0.99% 증가(전월 대비 1.8% 증가), 수입액은 78.30백만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49.82% 증가(전월 대비 23.87% 증가)
- 주요 수출품 : 의류, 신발, 여행용품, 음료, 부품, 농산물
- 주요 수입품 : 자동차, 전자제품, 주방푱품, 음료, 의약품
(Phnom Penh Post 3/1, 8면)

■. 인터넷 가입건수 17.5백만 건 초과
ㅇ 캄보디아통신규제국(TRC)의 보고서에 의하면, 2021년 10월 기준 인터넷 가입건수가 17.6백만 건을 넘었으며, 이 중 모바일 인터넷 가입건수는 17.2백만건으로 나타남.
- 작년 10월 기준, 휴대전화의 가입건수는 2천만 건을 넘어서 2020년 동기의 160만건 대비 125%가 증가함.
※ 캄보디아에는 5개의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와 35개의 고정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가 영업 중
(Khmer Times 3/2, 1면)

■. 2021년 캄보디아인 국내외 근로자 임금 통계
ㅇ 캄 노동부의 통계에 의하면 2021년 캄보디아 국내 근로자들의 임금*과 이주노동자들의 송금액 합계는 약 67억 달러임.
* 캄 국내 13,517개 기업체의 캄보디아인 근로자 약 140만 명의 총 임금은 약 37억 달러, 해외 이주근로자 약 130만 명의 송금액은 약 30억 달러(※2021년의 총송금액은 12억달러)
(Phnom Penh Post 3/2, 1면)

■. 공공사업운송부, 4번 국도 확장 사업 진행
ㅇ 캄 공공사업운송부는 프놈펜-시하누크빌주 간 4번 국도(약 230km)의 폭을 7미터에서 10미터로 확장하는 사업을 월드뱅크(WB)의 양허성 차관으로 진행하며, 공기는 5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 공기 : 2021년 12월-2026년 12월
(Phnom Penh Post 3/1, 4면)
 
■. 프놈펜-깜뽓 간 3번국도 개통식 개최
ㅇ 중국의 지원으로 진행된 프놈펜-깜뽓 간 3번국도(134km) 건설 공사*의 준공식이 3.2(수) 개최됨.
* 중국 원조액: 약 2억 달러, 공기 : 34개월
- 준공식 연설에서 훈 센 총리는 3번국도 건설 사업은 캄보디아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개발 파트너인 중국과의 협력의 실질적 성과물이라고 평가하고, 소금 생산지인 깜뽓주와 켑(Kep)주가 연결됨으로써 타 도시로의 유통이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함.
(Phnom Penh Post 3/3, 5면)

■. 2021년 캄-호주 양자교역 52% 증가
ㅇ 캄 상무부의 자료에 의하면, 2021년 캄-호주간 양자교역액은 3.24억 달러로 2020년 대비 52% 증가함.
- 캄보디아의 총 수출은 2.05억 달러로 54% 증가, 총 수입은 1.19억 달러로 50% 증가
- 3.2(수) 빤 소라삭 상무부 장관과 Katrina Cooper 호주 외교통상부 동남아시아 담당 차관(deputy secretary)과의 면담에서 호주측은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RCEP)과 아세안-호주-뉴질랜드 FTA를 통해 무역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함.
(Phnom Penh Post 3/4, 1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캄보디아 경제 동향 (2022.2.5-2.11) 2022-03-01
다음글 캄보디아 경제 동향 (2022.3.5-3.11) 2022-03-2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