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캄보디아 경제 동향 (2022.2.5-2.11)

캄보디아 주 캄보디아 대한민국 대사관 2022/02/28

■. 훈 센 총리, 북동부 지역을 ‘네 번째 경제의 축’으로 개발 강조 

ㅇ 훈 센 총리는 2.7(월) 공개행사* 연설에서 캄보디아내 첫 번째 경제의 축인 프놈펜시와 두 번째 경제의 축인 쁘레야 시하누크빌주, 세 번째 경제의 축인 시엠립주에 이은 네 번째 경제의 축을 농업과 광물 자원이 풍부한 크라체주, 스뜽트렝주, 몬돌끼리주, 라나타끼리주를 중심으로 한 북동부 지역에 형성할 계획임을 강조함.   
* 크라체州 7번 국도 일부 구간 개보수 준공식
(Phnom Penh Post 2/8,1면) 

■. 재경부 장관, 올해 경제성장률 5.8% 전망    

ㅇ 온 뽄모니로앗 재경부 장관은 2.8(화) 공개행사* 연설에서 캄보디아는 지난 2년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에 포괄적인 전략을 시행하며 유연하게 대응해 왔으며, 높은 백신 접종률과 정부의 사회·경제분야 회복지원에 힘입어 작년 3.0%였던 경제성장률이 올해 5.6%까지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함.
* 2.8 산업과학기술혁신부 신청사 준공식 연설 中
(Phnom Penh Post 2/9, 1면) 

■. 2021년 신규 공장 등록 증가  

ㅇ 쩜 쁘라섯 산업과학기술혁신부 장관은 2.7(월) 공개행사* 연설에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지난 2년간의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2021년 캄보디아내 대규모 공장의 운영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고 밝힘.  
* 산업과학기술혁신부 업무 결과보고 연례회의
- 2021년에 신규 등록한 공장의 수는 총 163개, 폐업한 공장의 수는 총 148개, 2021년 기준 운영 중인 1,879개의 대규모 공장들의 고용인 수는 약 99만 명. 2021년의 총 생산은 2020년 대비 약 15% 감소한 74.3억 달러이며 이 중 54.5억 달러를 수출 
(Phnom Penh Post 2/9, 8면)

■. 2021년 캄-美 양자교역액 약 91억 달러

ㅇ 미국 통계국(US Census)에 의하면 2021년 캄-美 양자교역액은 약 91억 달러로 2020년 대비 15.8% 증가함. 
- 캄보디아의 대美 수출액은 87.45억 달러로 전년 대비 33.2% 증가, 수입은 4.14억 달러로 20.2% 증가
※ 주요 수출품 : 의류, 신발, 자전거, 가구
주요 수입품 : 자동차, 기계류, 전기·전자제품 
(Khmer Times 2/10, 11면)

■. 2021년 항공 화물 운송 전년 대비 28% 증가 

ㅇ 신 찬세레붓타 민간항공청(SSCA) 대변인은 2.9(수) 언론인터뷰에서, 2021년 프놈펜국제공항은 전년 대비 28% 증가한 약 55,000톤의 항공화물을 처리했다고 밝히고,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 항공 운송량이 전년 대비 90% 이상 감소했으나 백신 개발 및 국가 재개방으로 인해 2021년 중반부터 운송량이 급증하기 시작했다고 말함. 
(Phnom Penh Post 2/10, 1면)

■. 쏙쩐다 CDC 위원장, “경제협력개발기구 동남아프로그램 각료회의”에서 캄보디아의 green ASEAN 건설 노력 강조 

ㅇ 쏙쩐다 소피어 캄보디아개발위원회(CDC) 위원장은 2.9(수) ‘사람 중심의 미래 더 스마트한 녹색의 포용적 아세안을 위한 파트너십’이라는 주제로 한국 외교부가 주재(하이브리드 방식)한 ‘경제협력개발기구 동남아프로그램(OECD SEARP) 각료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하여, “<녹색 아세안(green ASEAN)>의 건설 및 보다 탄력적이고 포괄적인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캄보디아는 환경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고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함. 
* OECD 38개 회원국 및 아세안 10개국 고위인사가 참석 
(Phnom Penh Post 2/10, 8면)

■. 2021년 자전거 수출 전년 대비 약 71% 증가

ㅇ 2021년 캄보디아는 전년 대비 71.32% 증가한 약 5.66억 달러 상당의 자전거를 수출*함.(캄 산업과학기술혁신부 통계)
* 주요 수출시장 : 미국, 독일, 일본, 중국, 아세안 등
- 한편 2020년 대비 57% 증가한 약 7.9백만 달러 상당의 자전거를 현지 시장에 공급
※ 자전거는 의류, 신발, 여행용품, 전자 부품, 농산물과 함께 캄보디아의 주요 수출품목 중 하나
(Khmer Times 2/11, 12면)  

■. CMAA, 2025년까지 7개州 지뢰제거 작업 완료 예정

ㅇ 리 뚜잇(Ly Thuch) ‘캄보디아지뢰제거 및 희생자지원국(CMAA)’ 부국장은 2.10(목) Sarah Taylor 주캄 캐나다 대사와의 면담에서 2025년까지 전국의 7개주*에서의 지뢰제거 작업이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히고, 캐나다가 2006년부터 지뢰제거 부문을 지원한 데 대해 사의를 표함.  
* 쁘레이웽, 껀달, 깜뽕짬, 쁘레야시하누크, 몬돌끼리, 라타나끼리, 껩
(Khmer Times 2/11, 3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프놈펜 무역관 뉴스레터 (2022.2.7) 2022-02-24
다음글 캄보디아 경제 동향 (2022.2.26-3.4) 2022-03-1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