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EU, 인도와의 관계 심화를 위한 전략적 의제 발표
인도 윤지현 KIEP 세계지역연구 2센터 인도 남아시아팀 전문연구원 2025/09/30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인도ㆍ남아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유럽엽합(EU)이 인도와의 전략적 관계를 심화하는 새로운 의제를 발표하면서 대인도 압박을 강화하는 미국과는 차별화된 접근을 시사함.
- 2025년 9월 17일, EU 집행위원회와 외교안보 고위대표가 「새로운 전략적 EU-인도 의제(New Strategic EU-India Agenda」를 담은 공동 문서(Joint Communication)를 채택해 유럽의회에 제출함.
- 본 의제는 2004년부터 이어져 온 인도와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격상·심화하는 것으로, 양측의 번영과 안보 강화, 글로벌 주요 과제에 대한 공동 대응을 목표로 함.
- EU는 이번 발표를 통해 공급망 다각화, 불확실한 국제 질서 대응, 다자체제 내 리더십 확대 측면에서 인도를 신뢰할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로 재정립함.
ㅇ 폰데어라이엔(Ursula von der Leyen) EU 집행위원장은 “지금은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에게 집중하고, 공동의 가치와 이익에 기반한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해야 할 시점”임을 강조
- 이는 관세나 제재가 아닌 무역협정 및 전략적 협력 강화를 통해 인도를 러시아의 영향권에서 점진적으로 이탈시키고, EU와의 협력 관계를 확대하려는 전략적 판단으로 해석됨.1)
ㅇ 美 트럼프 대통령이 EU에 대해 인도에 최대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을 요구하며 미국의 대러 2차 제재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 가운데,2) EU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에 대한 제재나 관세는 고려하지 않고 있음을 명확히 밝힘.
ㅇ 아울러 중국에 대한 의존도 감소라는 전략적 목표 아래,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협력 강화와 공급망 다변화 측면에서 인도의 역할을 적극 강조
☐ 신(新)전략 의제는 ① 번영·지속가능성, ② 기술·혁신, ③ 안보·국방, ④ 연결성·글로벌 이슈, ⑤ 필라 간 촉진 기반 등 5대 분야를 중점으로 하며, 이를 통해 인도-EU 간 무역·투자 확대, 인력 이동 촉진, 공동 경제안보 강화, 방위산업 협력 심화를 기대함.
- [번영·지속가능성] △FTA 체결을 위한 협상 가속화, △탄력적 공급망 강화와 신흥 기술 촉진, △무역·기술위원회(TTC)를 통한 디지털 전환 및 경제 안보 협력 확대
ㅇ EU는 인도의 최대 교역 파트너로 2023/24년 기준 1,353억 달러(인도 상품교역의 12.2%)를 기록했으며, 약 6,000개의 유럽 기업이 인도에 진출한 것으로 파악
- [기술·혁신] △스타트업 파트너십을 포함한 기술 협력 심화, △EU의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 프로그램에 인도 참여, △청정전환(탈탄소화·재생 에너지) 협력 강화
- [안보·국방] △EU-인도 안보·국방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전략적 협의 확대, △해양안보·사이버보안·대테러·위기관리 분야 공동 활동 촉진, △방위산업 협력 강화, △인도·태평양 지역 협력 심화
ㅇ EU는 세계 2위의 무기 수국입이자 해공군 현대화 및 무기 도입원 다변화를 추진 중인 인도를 방위산업의 주요 시장으로 인식3)
- [연결성·글로벌 이슈] △인도-중동-유럽 경제회랑(IMEC) 등 지역 연결성 강화, △제3국과의 공동 협력 확대, △다자 포럼 내 글로벌 거버넌스를 위한 협력 심화
- [필라 간 촉진 기반] △학업·취업·연구 포괄하는 인력·기술 이동 프레임워크 구축, △시민사회·청년·싱크탱크·기업 네트워크와의 교류 심화, △EU-인도 비즈니스 포럼 설립
표 1. '새로운 전략적 EU-인도 의제' 주요 내용

주: 1) EU가 2021~27년 최대 3,000억 유로(약 400조 원)를 통원해 파트너 국가들과 디지털, 기후·에너지, 운송, 보건, 교육· 연구 분야의 지속가능하고 신뢰가능한 연결성 인프라에 투자하는 전략.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 2) TTC는 2023.2월 출범해 2023.5월(브뤼셀)과 2025.2월(뉴델리)에 개최. 반도체 협력을 위한 MOU 2023.11월 체결. 3) EU가 2021-27년 총 955억 유로(약 138조 원)를 동원하는 세계 최대 다자간 연구 혁신(R&I) 핵심 프로그램. 4) 2023.10월 인도·태평양 장관급 회의에서 EU의 IPOI 참여 공식화 5) 2025~27년 인도 의장국 예정, EU 2021.1월 12번째 대화 파트너로 공식 가입. 6) Mutual and Holistic Advancement for Security and Growth, 2015년 발표된 인도양 해양 비전 SAGAR의 업그레이드 구상. 인도의 해양 비전을 인도양에서 글로벌 사우스로 확대. 7) 인도가 제안해 2019년 UN 기후행동 정상회의에서 공식 출범한 파트너십. 재난 및 기후 위험에 강한 인프라 확산 목표.
자료: Joint Communicat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on a New Strategic EU-India Agenda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
☐ EU와의 포괄적 협력 관계 강화는 인도의 전략적 자율성 실현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양자 FTA 체결 및 포괄적인 전략적 의제 수립의 향방에 귀추가 주목됨.
- EU의 새로운 대인도 전략적 의제는 공급망 다변화와 기술 자립 촉진, 자주적 국방력 강화 및 지역 안보 협력, 글로벌 거버넌스와 다자협력의 심화 등 다차원에서 인도의 전략적 자율성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인도가 EU와의 관계를 한층 강화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EU의 전략 의제를 공동의 약속이자 목표, 그리고 책임으로 인식함을 강조함.4)
ㅇ EU의 전략 의제 발표 직후, 모디 총리와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및 연내 FTA 협상 타결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함.
- 트럼프 행정부의 50% 고관세 등 보호무역주의 기조 속에 인도는 경제외교 다변화 및 전략적 자율성 확보 차원에서 EU와의 FTA를 전략적 과제로 인식하고 있음.
ㅇ 특히 중국과의 대규모 무역적자와 미국의 고관세 정책에 대응해, EU와의 자유무역 확대를 통해 공급망 안정성과 기술 협력을 도모하고자 함.
ㅇ 고얄(Piyush Goyal) 상공부 장관은 인도-EU FTA가 단순한 무역협정이 아닌 전략적 경제 파트너십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유럽의 기술·혁신 역량과 인도의 성장성·내수시장 간의 상호보안적 관계를 강조5)
- 인도와 EU는 2025년 말까지 FTA 협상 마무리를 목표로 하며, 2026년 초 예정된 정상회의에서 전략 의제에 기반한 공동 로드맵을 채택할 계획임.
ㅇ 공동 문서에 포함된 제안을 바탕으로 양측은 공동 우선순위에 기반한 포괄적 전략 의제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며, 제14차 인도-EU FTA 협상은 10월 6일 브뤼셀에서 개최를 앞두고 있음.
- 다만 러시아 관련 입장 차이와 FTA 주요 쟁점에 대한 이견은 여전히 협상의 난제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ㅇ EU 외교안보 고위대표 카야 칼라스(Kaja Kallas)는 인도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단순한 무역을 넘어 규범 기반 국제 질서 수호를 목적으로 하며, 인도의 러시아와의 군사훈련 및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는 여전히 핵심 쟁점임을 언급6)7)
ㅇ 인도의 대러 에너지 의존도 축소에 대한 정치적 합의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8)
---
*각주
1) DW (2025.9.17.), EU’s new strategy to lure India away from Russia’s orbit (검색일: 2025.9.22.)
2) 미국은 인도의 농산물 시장 개방 거부와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을 이유로 2025년 8월 27일부터 인도에 50%의 상호관세를 부과(자세한 내용은 윤지현(2025),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인도의 대응과 전망, KIEP 세계경제포커스 참고)
3) DW (2025.9.17.)
4) The Economic Times (Sep 17. 2025), PM Modi, EU’s von der Leyen reaffirm commitment to conclude FTA by year-end
5) PIB (Sep 12, 2025), India-EU working with sincerity and commitment to finalise a balanced Free Trade Agreement: Union Minister of Commerce and Industry Piyush Goyal
6) The Times of India (Sep 18, 2025), Trade, security dominate EU’s India agenda; Mo야 says ready for next level ties (검색일: 2025.9.22.)
7) 인도는 러·우 전쟁 이후 중국과 함께 러시아산 원유 최다 수입국이며, 2025.3~4월 연례 인도·러시아 합동해군훈련(Indra 2025)과 2025.9월 러시아와 벨라루스가 주도한 대규모 다국적 군사훈련(Zapad 2025)에 참여
8) DW (2025.9.17.)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와 상호방위협정 체결...인도의 전략적 우려 증대 | 2025-09-26 |
---|---|---|
다음글 | [월간정세변화] 인도남아시아 내 상하이협력기구(SCO)와 관련된 국가들의 전략적 접근 | 2025-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