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네팔, Z세대 주도 반정부 시위에 대한 유혈 진압으로 정치적 위기 심화
네팔 신소은 EC21R&C 연구원 2025/09/10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인도ㆍ남아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시위 동향 및 정부의 대응
◦ 7개 주요 도시 내 시위 발생 및 군 병력 배치
- 2025년 9월 8일, 카트만두(Kathmandu), 포카라(Pokhara), 다란(Dharan), 부트왈(Butwal), 치트완(Chitwan), 자파(Jhapa), 이타하리(Itahari) 등 네팔 7개 주요 도시에서 Z세대가 주도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였으며,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최소 19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됨. 시위는 당초 카트만두 지역 행정청의 승인을 받아 평화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시위대가 의회 건물 인근 제한 구역으로 이동하면서 경찰과의 충돌이 시작된 것으로 보임.
- 카트만두 지역 당국은 시위대가 의회 건물 진입을 시도한 이후 의회 건물 인근에 통행금지령을 발령하였으며, 라자람 바스넷(Rajaram Basnet) 네팔군 대변인은 통행금지령이 시행됨에 따라 소규모 군 병력이 거리에 배치되었다고 밝힘.
◦ 정부의 강경 진압 및 내무부장관 사임
- 프리트비 수바(Prithvi Subba) 네팔 통신부장관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경찰이 물대포, 곤봉, 고무탄 등의 진압 수단을 사용해야 했다고 밝혔으며, 일부 목격자들은 실탄 사격도 이루어졌다고 증언함.
- 상기 상황 속, 보안군의 무차별적인 무력 대응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라메시 레카크(Ramesh Lekhak) 네팔 내무부장관은 9월 8일 저녁 긴급 내각회의에서 시위 진압 과정에 대한 ‘도덕적 책임(moral responsibility)’을 이유로 사임함.
□ 시위 발생 원인: 소셜미디어 차단 조치와 부패 문제
◦ 청년층, 26개 소셜미디어 플랫폼 차단 조치에 대한 반발
- 네팔 정부는 9월 초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왓츠앱(WhatsApp), 유튜브(Youtube), 스냅챗(SnapChat) 등 26개 주요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네팔 통신정보기술부에 등록 마감일을 준수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차단 조치를 단행함.
- 정부는 가짜 뉴스, 혐오 발언, 온라인 사기 등을 규제하기 위해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네팔 법률에 따라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네팔 인구 3,000만 명 중 약 90%가 이러한 서비스에 의존하고 있어 즉각적인 반발이 발생한 것으로 보임. 특히 Z세대 청년층은 소셜미디어가 정보 공유, 비즈니스, 교육의 핵심 도구임을 강조하며, 정부의 조치를 표현의 자유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direct assault)’으로 규정함.
◦ 만연한 부패 문제에 대한 지적
- 시위대는 네팔의 만연한 부패 문제를 지적하였는데, 실제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에 따르면 네팔의 부패인식지수는 2023년 기준 180개국 중 83위(100점 만점에 41점)를 기록하는 등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며, 일평균 2,000명 이상의 네팔인이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 해외로 떠나고 있는 상황임.
- 시위 참가자들은 틱톡(TikTok) 등 일부 차단 조치를 회피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치인과 그 가족들의 부패를 폭로하고, 인구의 20% 이상이 여전히 빈곤 속에 살고 있는 현실과의 격차를 부각시키며 불평등 문제를 규탄함.
□ 국제사회의 비판과 네팔 민주주의의 미래에 대한 우려 확산
◦ UN 및 국제인권단체, 즉각적인 조사 요구와 우려 표명
- 라비나 샴다사니(Ravina Shamdasani) 유엔 인권사무소(OHCHR)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오늘 네팔에서 발생한 시위대 살해와 부상에 충격을 받았으며, 신속하고 투명한 조사를 촉구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정부에 소셜미디어 규제 조치를 재고할 것을 권고함.
- 미국, 영국, 핀란드, 호주, 프랑스 정부와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 등 국제인권단체들도 네팔 정부의 치명적인 무력 사용을 규탄하였으며, 네팔 국가인권위원회(NHRC: Nepal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는 네팔 헌법과 국제법이 평화적 시위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점을 정부에 상기시키며 자제를 촉구함.
- 한편 일부 비평가들은 NHRC 권고사항이 2000년 설립 이후 약 15%만 이행된 점 등을 지적하며, 현 정부의 인권 존중 의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음.
◦ 네팔 민주주의의 전환점
- 이번 시위는 단순한 소셜미디어 차단에 대한 반대를 넘어, 노령화된 지도자들이 지배하는 정치 체제에서 책임성을 요구하는 세대적 요구를 상징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이와 관련, 일부 전문가들은 "네팔의 젊은이들은 기성 정치인들에게 구시대적 통치 방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들을 무시하는 것은 더 많은 불안정뿐만 아니라 정치 질서의 정당성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함.
- 아울러, 이번 시위 진압 과정에서 하루만에 약 19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은 네팔 민주주의의 후퇴를 상징한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전문가들은 정부가 대화를 선택할지 추가적인 억압을 선택할지가 네팔의 민주주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국제 인권 기구들의 감시 역시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감수 : 권기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The Diplomat, Nepal’s Gen Z Protests: Corruption, Censorship, and a Government Under Fire, 2025.09.09.
The Diplomat, Nepal’s Government Fires on Youth Protesters, 2025.09.09.
BBC, At least 19 dead in Nepal after Gen Z protests at corruption and social media ban, 2025.09.09.
The Guardian, At least 19 killed in ‘gen Z’ protests against Nepal’s social media ban, 2025.09.08.
Reuters, Why is Nepal's 'Gen Z' protesting?, 2025.09.08.
[관련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아프가니스탄 동부, 규모 6.0 강진으로 800명 이상 사망...인도주의적 위기 심화 | 2025-09-05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미중 경쟁 속 인도-일본 협력 강화...모디 총리 방일 계기로 전략적 파트너십 심화 | 2025-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