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몰디브 대통령, 자국 최초 경제특별구역 ‘솔라 시티(Solar City)’ 건설 계획 발표

몰디브 신소은 EC21R&C 연구원 2025/07/0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인도ㆍ남아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솔라 시티’ 경제특구 건설 계획 및 투자 협정 체결 동향

◦ 무이주 대통령, 솔라 시티 SEZ 사업 관련 법적 프레임워크 구축
- 모하메드 무이주(Mohamed Muizzu) 몰디브 대통령은 2025년 7월 1일 몰디브 최초의 경제특별구역(SEZ: Special Economic Zone) 건설 사업인 '프로젝트 솔라 시티(Project Solar City)'를 발표함. 몰디브 정부는 지난 2025년 초 대통령령 제1호(Presidential Decree No. 1/2025) 내 경제특별구역법(Act No. 24/2014)을 통해 SEZ 내 허용 경제활동 유형과 최소 투자 기준을 명시한 바 있음.
- 솔라 시티는 첨단기술단지(High Technology Park)로 지정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100 메가와트(MW) 규모의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설, ▲MICE(회의·인센티브·컨퍼런스·전시) 관광시설*, ▲물류·저장·산업 허브, ▲부동산 개발 등 4대 핵심 인프라 구축 계획이 승인됨.

*대규모 회의장이나 전시장 등 전문시설을 갖추고 국제회의, 전시회, 인센티브투어와 이벤트를 유치하여 경제적 이익을 실현하는 산업

◦ APM SPV와의 투자협정 체결 및 몰디브 SEZ 투자 유치 목표 제시
- 몰디브 정부는 캐나다 신재생에너지기업 아브락사스 파워(Abraxas Power) 산하 몰디브 특별 법인인 APM SPV와 투자협정을 체결하여 구체적인 솔라 시티 개발 프레임워크를 구축함. 동 협정은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몰디브 투자포럼(Maldives Invest Forum)’에서 토리크 이브라힘(Thoriq Ibrahim) 몰디브 환경부장관과 제임스 콜터(James Colter) APM SPV 경영이사가 서명함.
- 모하메드 사이드(Mohamed Saeed) 몰디브 경제개발무역부 장관은 현재 솔라 시티를 포함한 몰디브 전체 SEZ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규모가 약 6억 8,000만 달러(약 9,200억 원)에 달하며, 향후 5년간 총 10억 달러(약 1조 3,6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발표함. 아울러, SEZ 건설 사업이 자국의 "역사적 발전(historical development)"이라고 평가하며, 관광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경제 다각화를 촉진하기 위한 몰디브 거시경제정책의 핵심 동력이라고 강조함.

□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인프라 구축 및 경제적 파급효과

◦ 100MW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을 통한 국가 에너지 목표 달성 기대
- 훌후말레(Hulhumalé)에서 약 4~5 킬로미터(km) 떨어진 해상에 건설될 예정인 100MW 규모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설은 이번 사업의 핵심 요소로 평가되고 있음. 동 시설에서 생산된 전력은 약 6.8km 규모의 해저 연결 케이블을 통해 내륙 배터리 저장시설로 전송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 말레(Male) 지역 에너지 수요의 약 50%를 신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몰디브 환경부에 따르면, 100MW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 사업은 2026년 4월 말까지 시작되어 2027년 운영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음. 정부는 동 사업의 총 예산 1억 8,700만 달러(약 2,500억 원) 중 약 1억 달러(약 1,400억 원)를 신재생에너지 관련 부문에 할당한 바 동 사업은 무이주 대통령의 에너지 목표* 달성에 핵심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됨. 

*국가 전력의 33%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

◦ 석유 수입 의존도 감축 가능성 및 경제적 파급효과
- 100MW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설은 향후 20년간 석유 지출을 약 12억 달러(약 1조 6,300억 원) 가량 감축할 것으로 기대됨. 2023년 기준 석유제품은 몰디브 수입의 약 22%를 차지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 중 약 80%가 해상운송 및 발전에 사용된 바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통한 경제적 이익이 클 것으로 분석됨.
- 한편 개발 참여업체들은 100MW 부유식 태양광 발전시설 이외에도 상업용 부동산 및 산업 허브 건설 등 추가 사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정부는 SEZ 관련 규정에서 사업 관계자들이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우선시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몰디브가 기후변화에 취약한 소도서 개발도상국으로서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균형적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향후 몰디브와 유사한 지리적 조건을 가진 여타 국가에서 SEZ 사업을 추진할 시 모범적인 개발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2040년 선진국 도약 목표 및 싱가포르와의 양자 협력

◦ 몰디브, ‘비전 2040’을 통한 선진국 지위 달성 목표
- 몰디브 정부는 국가 장기 전략으로 ‘비전 2040(Vision 2040)’을 제시하였으며, 동 전략은 2040년까지 선진국 지위를 달성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음. 사이드 장관은 비전 2040의 일환으로 2028년까지 몰디브 GDP 1,500억 루피아(약 13조 2,400억 원) 달성, 1인당 GDP 약 26만 1,800 루피야(약 2,300만 원) 달성이라는 세부 경제 목표를 발표함.
- ‘비전 2040’은 선진국 지위 획득 이외에도 몰디브를 기후회복력을 갖춘 투자친화적 도서경제로 전환시켜 물류, 신재생에너지, 부동산, 디지털 서비스, 창조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 잠재력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이는 관광업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GDP의 약 21% 차지)를 줄이고 경제구조를 다변화하여 보다 회복력 있고 지속가능한 경제 모델을 구축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됨.

◦ 몰디브-싱가포르 비즈니스 포럼을 통한 양자 경제협력 강화
- 무이주 대통령은 2025년 몰디브-싱가포르 비즈니스 포럼(2025 Maldives Singapore Business Forum) 참석 계기 싱가포르를 국빈 방문(7.1)함. 동 포럼에는 약 200여 명의 양국 고위 정부 관리, 국제 투자자, 주요 기업 임원들이 참석하였으며, 참여자들은 지난 50년간의 양자 무역관계를 검토하고 새로운 투자 기회를 모색함.
- 이번 포럼에서는 솔라 시티 사업 관련 투자 협정과 더불어 몰디브 기획재정부와 싱가포르협력공사(Singapore Cooperation Enterprise) 간 국유기업 개혁을 위한 양해각서(MoU) 등 다양한 협정이 체결됨. 그레이스 푸 하이 이엔(Grace Fu Hai Yien) 싱가포르 지속가능성·환경부(Minister for Sustainability and the Environment)장관은 양국이 기후변화에 취약한 도서국가로서 지속가능성, 도시계획, 디지털 인프라 분야에서 더욱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협력이 몰디브의 개발 의제와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고 평가함.


< 감수 : 권기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Corporate Maldives, Maldives Declares ‘Project Solar City’ as First Special Economic Zone, 2025.07.02.
Atoll Times, Maldives signs pact for first SEZ-approved floating solar project, 2025.07.01.
Corporate Maldives, Solar City, Residence by Investment Programme Among Key Deals at Business Forum, 2025.07.01.
The President’s Office, President declares “Project Solar City” as Maldives’ First Special Economic Zone, 2025.07.01.
SunOnline International, Saeed: USD 680M invested for SEZ projects, target is USD 1B, 2025.07.01.
PSM News, Minister Saeed Confirms USD 680 Million in SEZ Investment, Target Set at USD 1 Billion, 2025.07.01.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