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월간특집이슈

[월간정세변화] 인도 및 파키스탄을 중심으로 한 남아시아 에너지 전환 및 경제전략 분석

인도ㆍ남아시아 일반 신소은 EC21R&C 연구원 2025/06/27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인도ㆍ남아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2


인도와 파키스탄의 에너지 전환과 경제적 도전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 국경 갈등의 영향


인도는 207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야심찬 신재생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나, 파키스탄과의 국경 갈등으로 인해 주요 에너지 프로젝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구자라트(Gujarat)주의 쿠치(Kutch) 지역과 라자스탄(Rajasthan)주의 비카네르(Bikaner), 바르메르(Barmer), 자이살메르(Jaisalmer) 지역에 위치한 대규모 태양광 및 풍력 발전 프로젝트들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최근 양국 간의 군사적 충돌로 인해 국경 지역에서 발생한 공습은 동 지역 신재생 에너지 사업의 위험도를 크게 높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너지 프로젝트 개발사들은 전쟁 위험에 대비한 보험료 인상으로 인해 전력 판매 단가 상승을 요구하고 있는데,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경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로 인한 보험료 상승은 재생 에너지 발전 비용 증가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의 전기요금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파키스탄의 에너지 부문 국산화 전략


파키스탄은 수입 의존적인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 수출 중심 경제로의 전환을 목표로 전력 부문의 국산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파키스탄 연방 에너지부 장관 사르다르 아와이스 아마드 칸 레가리(Sardar Awais Ahmad Khan Leghari)는 전력 부문의 국산화가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하며, 이를 위한 개혁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파키스탄은 독립 시스템 및 시장 운영자를 완전히 가동하고 있으며, 에너지 인프라 개발 및 관리 회사도 곧 운영될 예정이다. 특히 국가송전공사(NGC: National Grid Company, 구 NTDC)는 국산화 정책을 실행하는 첫 번째 국영기업으로서, 전략적 조달 모델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파키스탄은 전력 장비 제조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공급업체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파키스탄 최초의 전력 장비 제조 대시보드를 도입했다. 이 대시보드는 라호르 경영대학(LUMS: Lahore University of Management Sciences) 에너지 연구소가 전력 부문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발했으며, 전력 부문 국산화 계획(PSIP: Power Sector Indigenization Plan)에 따른 전략적 투자 기회를 파악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현재 파키스탄의 송전 및 변전소 시장 규모는 약 800만 달러(약 110억 원)로 추산되나, 이는 실제 잠재력을 반영하지 못하는 수준이다. NGC 이사회 의장이자 LUMS 에너지 연구소 수석 고문인 피아즈 아마드 차우드리(Fiaz Ahmad Chaudhry) 박사는 전략적 개발과 혁신, 현지 산업 성장을 통해 시장 규모를 최소 3배로 확대하고, 수출액을 1,600만 달러(약 218억 5,000만 원) 이상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도의 에너지 전환 가속화와 NTPC의 역할


인도는 207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인도 최대 전력 기업인 NTPC(National Thermal Power Corporation)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NTPC는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국제기구인 SEforALL(Sustainable Energy for All)과 협력하여 포괄적인 에너지 전환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합의했다.


상기 로드맵은 NTPC의 단기, 중기, 장기 전략적 목표를 반영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모델링하고, 필요한 투자 규모를 산정하며, 청정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따른 사회경제적 이익을 분석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NTPC는 2021년 UN 에너지 협약에 서명한 최초의 주요 전력 기업으로서, 2032년까지 60GW의 재생 에너지 설비 용량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NTPC는 녹색 수소 시범 사업,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양수발전, 탄소 포집 및 활용 등 다양한 청정 에너지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1975년 설립된 NTPC는 인도의 산업화와 도시 확장을 뒷받침해왔으며, 현재는 인도 전체 전력 생산량의 약 4분의 1을 담당하고 있다.


파키스탄의 경제 개혁과 IMF 조건 


IMF 조건에 따른 파키스탄의 경제 개혁


파키스탄 정부는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과의 합의에 따라 2025-26 회계연도 연방예산에 앞서 광범위한 경제 개혁을 약속했다. 이러한 개혁은 재정적자 감축과 에너지 부문의 부채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7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주요 개혁 조치에는 석유제품에 대한 추가 과세, 전기요금에 대한 새로운 부채상환 할증료 부과, 가스요금 조정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파키스탄 정부는 휘발유와 경유에 리터당 5루피(약 24.20원)의 탄소세를 부과하기로 했으며, 전력 요금은 2025년 7월부터 매년 재조정될 예정이다. 가스 요금의 경우 2025년 7월과 2026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지방정부가 전기나 가스에 대해 어떠한 보조금도 제공하지 않기로 한 신규 정책 프레임워크이다.


에너지 부문의 순환 부채 해결을 위해 파키스탄 정부는 상업은행으로부터 1조 2,500억 루피(약 6조 500억 원)를 차입할 계획인데, 동 대출금은 전기 소비자들이 6년에 걸쳐 전기요금의 10% 할증료를 통해 상환하게 되며, 정부는 필요한 경우 이 할증료를 인상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게 된다.


파키스탄 경제의 회복과 성장 전망


파키스탄 경제조사 2024-25에 따르면, 파키스탄의 국내총생산(GDP)은 2024-25 회계연도에 2.68% 성장하여 4,110억 달러(약 561조 3,000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의 2.51% 성장률과 비교하면 소폭 상승한 수치이다. GDP의 주요 동력인 서비스 부문(GDP의 58.4%)은 2.91%, 농업 부문은 0.56%, 산업 부문은 4.77% 성장했다.


1인당 소득은 전년도의 1,662달러(약 226만 원)에서 9.75% 증가한 1,824달러(약 249만 원)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024-25 회계연도 7월-4월 기간 동안 4.7%로 하락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의 26.0%와 비교하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유엔(UN)의 전망에 따르면, 파키스탄 경제는 ‘경제 침체기 이후 안정화되며 완만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GDP는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플레이션율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파키스탄을 포함한 남아시아 지역의 대부분의 중앙은행들이 2025년에 통화완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할 수 있게 되었다. 파키스탄은 IMF 프로그램 하에서 재정건전화와 경제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파키스탄 간 수자원 분쟁과 지역 안정

인도의 인더스 강 수자원 관리 계획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수자원 분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인도는 2025년 파키스탄의 농업용수 공급을 대폭 감축하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 4월 카슈미르 지역 파할감(Pahalgam)에서 발생한 26명의 민간인 사망 사건에 대한 보복 조치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인도 정부는 이 사건의 배후로 파키스탄을 지목하고 있으며, 이후 1960년에 체결된 인더스 강 수자원 조약의 참여를 중단했다.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도 총리는 체나브(Chenab), 젤룸(Jhelum), 인더스(Indus) 강 관련 프로젝트의 계획과 실행을 가속화하도록 지시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계획은 체나브 강의 란비르(Ranbir) 운하 길이를 현재의 두 배인 120km로 확장하는 것이다. 이 운하는 19세기에 건설되어 인도에서 파키스탄 펀자브(Punjab) 지역으로 이어지는 수로인데, 확장 공사가 완료되면 인도의 관개용수 취수량이 현재의 40세제곱미터에서 150세제곱미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란디르 자이스왈(Randhir Jaiswal) 인도 외교부 대변인은 "파키스탄이 국경을 넘는 테러리즘에 대한 지원을 철회할 때까지 조약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파키스탄은 "수자원 흐름을 차단하거나 전환하려는 시도는 전쟁 행위로 간주될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파키스탄 농업의 80%가 인더스 강 수계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수력발전도 이 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수자원 공급 중단은 파키스탄 경제에 치명적인 타격이 될 수 있다.

국제 사회의 중재와 지역 안정 노력

미국은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전면전 위기를 중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 국무부 대변인 태미 브루스(Tammy Bruce)는 "미국의 개입과 지원이 전면전 발발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4월 22일 파할감 테러 사건 이후 인도는 '작전 신두르(Operation Sindoor)'를 개시하여 파키스탄과 아자드 카슈미르(Azad Kashmir) 지역의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았고, 이에 대응해 파키스탄은 인도 영토 내 26개 군사 시설을 미사일로 공격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자신의 행정부가 양국 간 휴전을 중재했다고 여러 차례 언급했다. 4일간의 치열한 국경 간 드론 및 미사일 공격 이후 5월 10일 양국은 분쟁 종식에 합의했다. 그러나 수자원 조약 중단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국제 수자원 전문가 데이비드 미셸(David Michel)은 "인도가 인더스 강 수계의 물 흐름을 차단하거나 전환하는 인프라를 건설하는 데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미 5월 초 인도가 인더스 강 프로젝트 유지보수 작업을 시작하면서 파키스탄의 주요 취수 지점에서 물 공급량이 일시적으로 90%까지 감소한 바 있다.

현재 파키스탄은 세계은행, 헤이그 상설중재재판소, 국제사법재판소 등 여러 국제 기구를 통해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파키스탄 재무장관 무하마드 아우랑제브(Muhammad Aurangzeb)는 "수자원을 무기화해서는 안 된다"며 조약의 복원을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인도가 파키스탄을 압박하기 위해 수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중국이 인도를 상대로 같은 전략을 채택할 수 있는 선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남아시아의 지역 협력과 경제 발전 전략

파키스탄의 경제 협력 및 성장 기회

파키스탄은 경제협력기구(ECO: Economic Cooperation Organisation) 지역 내에서 전략적 위치를 활용한 경제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압둘 알림 칸(Abdul Aleem Khan) 파키스탄 통신부 장관은 이란 수도 테헤란(Tehran)에서 열린 ECO 장관급 회의에서 "우리는 도전을 기회로 전환하는 것을 믿는다"라고 강조하며, ECO 지역 내 경제 성장과 상호 안정을 위한 기회 창출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파키스탄은 특히 도로망 개발, 육상 연결성 강화, 무역 회랑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2017년 이슬라마바드(Islamabad)에서 개최된 ECO 정상회의에서 수립된 비전 2025를 바탕으로, ECO 회원국 간 유대 강화를 우선순위로 두고 있다. 파키스탄은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CPEC: China-Pakistan Economic Corridor)과 같은 주요 프로젝트를 통해 유라시아 교통망 및 아시아 고속도로망과의 연계를 국가적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파키스탄은 북부 국경의 쿤제랍(Khunjerab)에서 과다르(Gwadar)와 카라치(Karachi) 항구를 연결하는 교통망을 구축했으며, 이란 및 아프가니스탄과의 연결성을 위한 도로망도 개발했다. 또한 통신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여 장기적으로 상당한 이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의 글로벌 녹색 에너지 중심지로의 부상

인도는 207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도 최대 전력회사인 엔티피시(NTPC: National Thermal Power Corporation)는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국제기구(SEforALL: Sustainable Energy for All)와 협약을 체결하여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 협약에 따라 SEforALL은 인도의 에너지 안보, 개발 우선순위, 탄소중립 공약에 부합하는 NTPC의 포괄적인 에너지 전환 로드맵 개발을 지원한다. 이 로드맵은 단기, 중기, 장기 전략적 시나리오 모델링, 투자 수요 추정, 다각화 기회 발굴, 청정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따른 사회경제적 이익 분석을 포함한다.

NTPC는 녹색 수소 시범사업, 수상태양광발전(FSPV) 시스템,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BESS), 양수발전, 탄소포집활용(CCU) 등 혁신적인 연구개발과 대규모 실증을 통해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1975년 설립된 NTPC는 2021년 UN 에너지 컴팩트에 서명한 최초의 주요 유틸리티 기업이 되어 2032년까지 60GW의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는 현재 태양광, 풍력, 수력을 포함한 220GW 이상의 비화석 발전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이를 500GW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국가핵심광물미션을 통해 30개의 핵심 광물을 지정하고, 2030년까지 1,200개의 탐사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수입 의존도를 낮추려 하고 있다.

아울러, 인도는 청정에너지 외교를 통해 개발도상국 간의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인도와 프랑스가 공동 설립한 국제태양광동맹(ISA: International Solar Alliance)은 현재 120개 이상의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9.5GW의 태양광 설비를 구축했다. 2030년까지 1조 달러(약 1,362조 8,000억 원)의 투자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인도의 청정에너지 전략은 글로벌 에너지 불안정성에 대한 대비책이자 강대국 경쟁 시대에 전략적 자율성을 보존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송전 인프라와 현지 연구개발 등 국내 병목현상 해결과 함께, 제조, 정제, 가공, 재활용 기술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파키스탄은 세계은행, 헤이그 상설중재재판소, 국제사법재판소 등 여러 국제 기구를 통해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 파키스탄 재무장관 무하마드 아우랑제브(Muhammad Aurangzeb)는 "수자원을 무기화해서는 안 된다"며 조약의 복원을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인도가 파키스탄을 압박하기 위해 수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중국이 인도를 상대로 같은 전략을 채택할 수 있는 선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게시글 이동
이전글 [동향세미나]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州) 농업 AI 정책(MahaAgri-AI) 주요 내용 및 전망 2025-06-30
다음글 다음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