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인도-사우디 정상회담 주요내용 및 전망

인도 남유진 KIEP 세계지역연구 2센터 인도 남아시아팀 연구원 2025/05/07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인도ㆍ남아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5년 4월 22일 모디 총리는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에 방문했으며, 양국 정상은 인도·사우디 전략적 파트너십 위원회(SPC: Strategic Partnership Council)를 개최함. 
 - 1947년에 수립된 양국의 외교관계는 2010년‘리야드 선언(Riyadh Declaration)’을 기점으로 전략적 파트너십(Strategic Partnership) 관계로 격상됨.  
 ㅇ 2010년 만모한 싱(Manmohan Singh) 총리의 사우디 방문 당시, 양국은 정치 및 외교 협력 강화, 인프라 및 에너지 개발, 첨단 기술 분야의 지식 교류 강화, 글로벌 안보 및 평화 구축에 대한 리야드 선언을 발표함.1) 
 - 양국은 외교관계 강화를 위해, 고위급 협력 채널인 인도·사우디 전략적 파트너십 위원회(SPC)를 운영하고 있음. 
 ㅇ 2019년 모디 총리의 사우디 방문 당시, 양국의 정상이 직접 에너지, 안보, 투자, 인프라, 기술, 인적교류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주도하고 조율하는 전략적 파트너십 위원회가 설립됨.
 
☐ 양국은 △경제협력 강화, △국제문제 해결, △양자협력 활성화를 위해 광범위한 분야에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함. 
 - 양국은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고, 인프라 개발을 통해 통상 네트워크 강화를 추진함.
 - 기후변화와 같은 국제문제 대응 정책을 촉진하는 동시에 에너지안보를 위한 전력 상호연결(grid interconnectivity), 친환경·수소에너지 개발 등을 위한 협력을 활성화함.
 - 첨단기술, 보건, 문화·관광 등의 분야에서 양자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 및 환경을 마련함.

표 1. 인도-사우디아라비아 협력분야 및 주요내용
1
자료: Ministry of External Affairs,(2025..04.22)“Joint Statement at the conclusion of the State Visit of Prime Minister to the Kingdom of Saudi Arabia”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저자 재구성(검색일:2025.04.28.) 

☐ 정상회담 결과 양국은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MoU 체결, △고위급 투자 테스크포스(HLTF: High Level Task Force on Investment)를 통한 투자 활성화에 합의함.2)
 -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를 위해 인도·사우디 전략적 파트너십 위원회(SPC) 산하에 장관급 위원회를 추가 신설하고, 국방 및 방위 산업 협력 활성화에 합의함.
 ㅇ 인도·사우디 전략적 파트너십 위원회(SPC) 산하 위원회를 기존 △정치 및 안보, △경제·에너지·투자·기술 분야에 더해 △국방과 △관광 및 문화 분야에 설치하기로 합의함.  
 ㅇ 양국은 최초의 지상군 훈련(SADA TANSEEQ), 두 차례 해군 훈련(AL MOHED, AL HINDI) 등을 언급하며 국방 협력 강화 부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함.  
 - 인도와 사우디는 △평화를 위한 우주 협력, △보건 분야 협력, △해외발 우편물 처리 협력, △반도핑(Anti-Doping) 및 예방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함.
 - 양국은 사우디의 인도 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고위급 투자 테스크포스(HLTF)를 통해 두 개의 정유 공장 설립에 합의함.3) 
 ㅇ 2024년 출범한 고위급 투자 테스크포스는 에너지, 석유화학, 인프라, 핀테크, 디지털, 통신, 제약, 제조, 보건 등의 분야에서 양국의 투자를 신속하게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함.  
 ㅇ 해당 테스크포스는 사우디 국부펀드(PIF: Public Investment Fund)가 인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이에 대해 인도는 세제혜택 등의 제도적 인센티브를 제공함.

☐ 향후 인도와 사우디는 지정학적 중요성을 바탕으로 국방, 첨단기술, 에너지 등 전략적 부문을 중심으로 한 경제·안보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전망됨. 
 - 4월 23일 인도 육군과 사우디 왕립 지상군(RSLF: Royal Saudi Land Forces) 간 첫 번째 참모회담이 진행됐으며, 이후 양국은 합동 훈련, 군사 교육, 전문가 교류 등의 구체적인 국방 협력을 활성화할 것으로 보임.
 - 향후 고위급 투자 테스크포스(HLTF)를 통한 사우디 국부펀드(PIF)의 인도 내 투자가 확대됨에 따라, 혁신 스타트업, 디지털 등의 분야에서 투자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됨. 
 - 양국은 정유·석유화학 분야의 공동 프로젝트 추진, 그린수소 운송 및 저장 기술의 공동 개발을 통해, 단순한 에너지 수입국·공급국의 관계를 넘어 전략적 에너지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됨.

*각주
1) Ministry of External Affairs,(2010.03.01.) “Riyadh Declaration: A New Era of Strategic Partnership” (검색일: 2025.04.28) 
2) Ministry of External Affairs,(2025.04.22.), “List of Outcomes: State Visit of Prime Minister to Saudi Arabia
” (검색일: 2025.04.28) 
3) Reuters,(2025.04.22)“India, Saudi Arabia exploring joint refinery, petrochemical projects, Modi says” (검색일: 2025.04.28)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