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스타링크(Starlink)의 인도 인터넷 시장 진출 현황과 시사점

인도 강반디 KIEP 세계지역연구2센터 인도 남아시아팀 전문연구원 2025/04/21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인도ㆍ남아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미국 스타링크(Starlink)는 최근 인도 주요 통신사와 연이어 장비 유통 계약을 체결하며, 현지 기업을 통한 인도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 저궤도 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SpaceX 산하 스타링크는 2025년 3월에 인도 통신 시장 시장점유율 1·2위 사업자인 릴라이언스 지오 인포컴(Reliance Jio Infocomm)와 바르티 에어텔(Bharti Airtel)과 각각 스타링크 장비1)유통 계약을 체결함.
 ㅇ 두 기업은 인도 내 인터넷 시장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음(그림1 참고).
 ㅇ 3월 11일, 에어텔은 자사 소매점에서 스타링크 장비 판매 계획을 발표했으며,2) 다음날 지오도 자사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한 장비 판매 및 설치·지원 계획을 공개함.3)
 - 인도는 이미 세계 2위 규모의 통신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나, 스타링크는 인터넷 인프라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전략적 진출을 모색하고 있음.
 ㅇ 2024년 12월 기준, 인도의 유무선 광대역 인터넷 가입자 수는 총 9억 4,500만 명에 달하며, 이 중 약 95.6%인 9억 378만 명이 무선 인터넷 가입자로 구성됨(표1 참고).4)
 ㅇ 그러나 농촌 및 도심 외곽 지역의 인프라는 여전히 낙후되어 있으며, 스타링크는 광섬유 네트워크 등을 설치하기 어려운 지역에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할 계획임.

그림 1. 인도 주요 통신사별 유무선 통합 광대역 인터넷 시장 점유율

1
주: 2024년 12월 31일 기준
자료: 인도 통신부 "Highlights of Telecom Subscription data as on 31st December, 2024" .

표 1. 인도 주요 통신사별 무선 광대역 인터넷 가입자 수 및 점유율
2
*: 전체 무선 광대역 가입자 9억 378만명 대비 비중임.
주: 2024년 12월 31일 기준.
자료: 인도 통신부 "Highlights of Telecom Subscription data as on 31st December, 2024" 자료를 토대로 저자 작성.

☐ 스타링크는 2021년부터 인도 시장 진입을 시도해왔으나, 인도 정부 규제와 현지 산업계의 반발로 실질적인 진출은 수년간 지연됨.
 - 인도 전기통신국(DoT:Department of Telecommunications)은 2021년 스타링크의 정부 미승인 사전 판매를 중단시켰으며5) 이후 인도 정부는 외국계 위성통신 사업자의 진입을 제한적 범위에서 허용해오고 있음(표 2 참고).
 ㅇ 위성 주파수 할당 방식6)을 두고 지오는 경매 방식을, 스타링크는 국제 기준에 따른 행정적 할당을 요구해왔으며, 2024년 10월 인도통신규제청(TRAI:The Telecom Regulatory Authority of India)은 행정적 할당을 발표함.
 ㅇ 위성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제공 가능 기간을 정하는 라이선스 유효기간과 관련해, 스타링크는 20년 허가를 요청한 반면, 지오와 에어텔은 각각 3년, 3~5년의 단기 허가를 주장했으며, TRAI는 5년 유효기간을 권고할 예정임.7)

표 2. 스타링크의 인도 시장 진출 관련 주요 쟁점 및 대응
3
자료: 언론 기사를 종합하여 저자 작성.

☐ 스타링크의 사례는 디지털 주권을 둘러싼 인도 정부와 글로벌 기업 간 규제 조율 및 전략적 대응 과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임.
 - 인도 정부는 통신 분야에서 해외 기업의 진입을 제한적으로 허용해왔으며, 스타링크는 이에 대응해 인도 정부와 정치적 소통을 강화하고 현지 통신사의 반발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진출 전략을 조정해왔음.
 ㅇ 스타링크의 모회사인 SpaceX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는 2025년 2월 13일, 백악관을 방문한 모디 총리와 회담을 갖고 기술 및 혁신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이후 인도 내 주요 통신사와의 협력을 통한 우회 진출을 추진함.
 - 다만, 지오와 에어텔이 정부 승인을 전제로 스타링크와 유통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인도 정부의 최종 승인 여부가 스타링크의 시장 진입을 좌우할 전망임.
 ㅇ 2024년 4월 16일 피유시 고얄 인도 상무부 장관과 통신부 관계자들이 스타링크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최첨단 기술 플랫폼, 기존 협력 관계, 향후 인도 내 투자 계획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져,10) 정부의 승인 절차가 본격화될 가능성도 주목됨. 

*각주
1) 위성 안테나, Wi-Fi 라우터, 전원 장치, 설치용 마운트 등 스타링크 인터넷 연결을 위한 기본 구성품.
2) Airtel(2025.3.11.) “Airtel Announces Agreement with SpaceX to Bring Starlink’s High-Speed Internet to its Customers in India” (검색일: 2025.4.10.)
3) JIO Platforms Limited “JIO TO BRING SPACEX’S STARLINK HIGH-SPEED INTERNET TO ITS CUSTOMERS”(검색일: 2025.4.10.)
4) 2024년 12월 31일 기준, 전화 가입자는 11억 5천만 명에 달함. Ministry of Communications(2025.3.11.) “Highlights of Telecom Subscription data as on 31st December, 2024” https://pib.gov.in/PressReleasePage.aspx?PRID=2110318 (검색일: 2025.4.10.)
5) Reuters(2022.1.5.) “Musk-backed Starlink to refund pre-orders in India after govt order”(검색일: 2025.4.14.)
6) 인터넷 사업자의 시장 진입 조건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주파수의 행정적 할당(administrative allocation)은 정부나 규제기관이 정책적 목적에 따라 특정 사업자에게 직접 주파수를 배정하는 방식임. 위성 주파수는 지상망과 달리 국가 경계에 제한받지 않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국제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미국, 브라질 등은 행정적 할당을 채택하고 있음. he Indian Express(2024.10.22.) “What is satellite spectrum, why most countries prefer not to hold auctions” (검색일: 2025.4.14.)
7) Reuters(2025.3.13.) “India watchdog plans to limit satellite permits to five years, defying Musk's Starlink”.
8) 광대역 인도 포럼(BIF: Broadband India Forum)은 인도 내 고품질 광대역 확산을 위한 정책·규제·표준 관련 이니셔티브를 촉진하는 독립 싱크탱크로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삼성 등이 후원 회원(Patron Members)으로 참여하고 있음. 출처:BIF 홈페이지 https://broadbandindiaforum.in/(검색일: 2025.4.10.)
9) The Economic Times(2021.4.14.) “DoT begins scrutiny of Elon Musk's Starlink internet offer”(검색일: 2025.4.14.)
10) NDTV(2025.4.16.) “Piyush Goyal Meets Starlink Delegation, Discusses Investment Plans For India”(검색일: 2025.4.17.)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