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인도, 중국 및 파키스탄과의 지정학적 경쟁 속 탈레반과의 관계 강화
인도ㆍ남아시아 일반 김형석 EC21R&C 연구원 2025/04/1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인도ㆍ남아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인도의 아프가니스탄 전략 변화와 탈레반 정권과의 외교적 접근
o 인도, 탈레반과의 외교관계 강화 움직임과 고위급 만남 성사
- 인도의 비크람 미스리(Vikram Misri) 외교부 차관 및 탈레반 정권의 아미르 칸 무타키(Amir Khan Muttaqi) 외교장관이 2025년 1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고위급 회담을 개최하였는데, 이는 2021년 8월 탈레반의 카불 점령 이후 최초의 고위급 회담으로 평가됨. 이 회담에서는 ▲아프가니스탄의 안보 상황, ▲인도의 개발 프로젝트 참여 및 인도주의적 지원, ▲이란의 차바하르(Chabahar) 항구를 통한 아프가니스탄 무역 활성화 등의 주제가 논의됨.
- 이러한 외교적 접촉은 인도가 탈레반 정권과의 관계를 점진적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고 있음. 인도는 2022년 6월 카불에 '기술대표단'을 파견하여 인도주의적 지원 조율을 위한 현장 거점을 마련한 후, 2024년 11월 외교부 고위관리를 파견하여 탈레반 대표와 회담을 갖는 등 단계적으로 접촉 수준을 높여왔음. 또한, 인도는 최근 탈레반이 지명한 이크라무딘 카밀(Ikramuddin Kamil) 총영사를 뭄바이 주재 아프가니스탄 총영사관 부임을 허용(아그레망 발급)했으며, 현재는 탈레반 고위 대표의 인도 뉴델리 방문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짐.
o 인도의 대(對) 아프가니스탄 정책 변화의 단계와 배경
- 인도의 아프가니스탄 정책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될 수 있는데, 1단계는 2001년 이후 미국 주도의 테러와의 전쟁을 통해 탈레반 정권이 무너진 후 수립된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시기로, 인도는 동 기간 동안 약 30억 달러(약 4조 원)의 개발 원조를 제공하며 ▲수력 발전, ▲보건, ▲교육, ▲인도주의적 지원 등 50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지원함. 인도는 군사적 개입은 자제하면서 인프라 구축, 기술 개발,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집중하여 아프가니스탄 국민들 사이에서 상당한 호감과 긍정적인 소프트파워를 구축함.
- 2단계는 2021년 8월 미군의 철수와 탈레반의 재집권 이후 시작됨. 최초 친(親)파키스탄 성향의 탈레반을 감안, 아프가니스탄 내 자국 총영사관을 폐쇄하고 자국민의 안전한 귀환에 집중했으나, 인도가 당면한 안보 및 전략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탈레반과의 관계 재설정을 모색하기 시작함. 인도 정부는 탈레반 2기 세력이 1990년대의 탈레반보다 더 조직화되고 독립적이며, 정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실용적인 접근법을 취하고 있음.
☐ 인도의 탈레반 관여의 전략적 동기와 경제적 이해관계
o 지역 영향력 회복과 중국 견제를 위한 전략적 접근
- 인도는 탈레반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2021년 8월 이후 상실한 아프가니스탄 내 영향력을 회복하고자 함. 특히, 중국이 탈레반 정권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아프가니스탄 내 영향력을 확대하는 상황에서, 인도는 지역 내 균형을 유지하고 전략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중국은 일대일로(BRI)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아프가니스탄을 역내 새로운 거점으로 설정하고 광물 자원과 중앙아시아 인프라 네트워크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중국-아프가니스탄 교역량이 전년 대비 두 배 증가한 약 13억 3천만 달러(약 1조 9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됨.
- 인도는 아프가니스탄을 중앙아시아로 연결되는 육상 교두보로 활용하여 경제적 연결성을 강화하고자 하고 있음. 특히 인도가 개발 중인 이란의 차바하르 항구는 파키스탄을 우회하여 중앙아시아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로, 동 프로젝트에 대한 탈레반의 지지는 인도의 전략적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음.
o 인도-아프가니스탄 역사적 유대 및 경제적 상호이익 강화
- 인도는 아프가니스탄과 문명적, 역사적으로 오랜 유대를 맺어왔으며, 이는 아프가니스탄 정권의 성격(군주제, 공산주의, 이슬람주의 등)과 상관없이 양국 간의 자연스러운 친밀감으로 이어져 왔음. 인도는 아프가니스탄 국민에 대한 개발 및 인도주의적 지원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아프가니스탄 국민과의 우호적 유대관계가 탈레반 집권 이후에도 인도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 믿고 있음.
- 인도의 對아프가니스탄 지원은 아프가니스탄 보건 분야, 식량 안보, 교육, 스포츠, 역량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2021년 8월 이후 인도는 약 50,000톤의 밀, 약 40,000리터의 살충제, 약 27톤의 구호 물자 등을 지원했으며, 아프가니스탄 내 500개 이상의 개발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음. 또한, 여성 학생들에게 우선권을 주는 인도 문화 교류 위원회(ICCR) 장학금 제도를 통해 아프가니스탄 학생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탈레반 측은 인도의 개발 활동 재개와 안보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를 요청하고 있음.
☐ 인도의 對아프가니스탄 정책 도전과제와 미래 방향성
o 파키스탄-탈레반 관계 악화와 인도의 기회
- 인도의 아프가니스탄 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최근 파키스탄과 탈레반 간의 관계 악화 조짐임. 탈레반은 역사적으로 파키스탄 군부의 지원을 받아왔으며, 이는 최근까지 인도의 탈레반에 대한 입장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음. 파키스탄은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재장악을 전략적 승리로 여겼으나,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국경 울타리 설치에 대한 노골적인 반대, ▲무장단체인 파키스탄 탈레반(TTP: Tehrik-e Taliban Pakistan) 활동 허용 등은 양국 관계에 긴장을 초래하고 있음.
- 최근 파키스탄은 TTP가 아프가니스탄 영토 내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아프가니스탄 동부 지역에 대한 공습을 감행하였고, 이로 인해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고 있음. 탈레반은 파키스탄과의 관계가 악화됨에 따라 새로운 동맹을 모색하고 있으며, 강력한 경제력을 갖춘 인도를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간주하기 시작함.
o 인도의 對탈레반 외교정책 전망과 도전과제
- 인도는 향후 탈레반과의 관계에서 점진적인 접근법을 취하며, 주요 개발 프로젝트의 재개부터 시작하여 향후 몇 년 동안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역할을 서서히 확대할 것으로 전망됨. 그러나 인도의 아프가니스탄 정책은 아프가니스탄 내부 상황과 지역적 반응에 따라 상이하게 전개되고 있어, 현 시점에서 장기 전략에 대한 평가는 제한적일 수 있음.
- 한편, 인도는 탈레반 정권을 공식 인정하지 않고도 카불에 외교단을 주재시켜 자국의 이익을 확보하는 중도적 접근법을 선택함. 아울러, 인도는 탈레반으로 하여금 아프가니스탄 영토가 反인도 테러 단체에 의해 사용되지 않도록 보장할 것을 지속 요구하고 있음.
< 감수 : 권기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Indian Express, India’s strategic gamble with the Taliban, 2025.4.3.
WGI World, India’s Growing Engagement with the Taliban in Afghanistan: Regaining its Strategic Space, 2025.4.2.
South Asian Voice, India’s Approach to Taliban 2.0: Cautious and Persistent, 2025.3.28.
SCMP, Business must go on’: why India is reaching out to the Taliban, 2025.3.2
BBC, Why India is reaching out to the Taliban now, 2025.1.15.
DW, Why India is boost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Taliban, 2025.1.10.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방글라데시 과도정부 수반, 중국 방문 통해 외교관계 강화 모색 | 2025-04-18 |
---|---|---|
다음글 | [동향세미나] 스타링크(Starlink)의 인도 인터넷 시장 진출 현황과 시사점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