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방글라데시, 美 국제개발처(USAID) 지원 중단으로 결핵 관리 프로그램 위기 직면

방글라데시 신소은 EC21R&C 연구원 2025/03/2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AIF 인도ㆍ남아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방글라데시, USAID 자금 지원 중단으로 보건 위기 격화

o 결핵 관리 프로그램 중단 이후... 국내 감염 위기 심화
- 방글라데시 국제설사질환연구소(icddr,b)는 USAID의 지원 下 결핵 환자 조기 발견 및 진단을 위한 약 8개의 프로젝트를 운영해왔으나, 현재 모든 프로젝트가 중단되었으며 관련 직원들은 해고된 상태라고 밝힘. 또한, 민간개발기구인 BRAC도 USAID의 지원을 받아 결핵 연구 프로젝트를 운영해 왔으나, 지난 1월부터 중단되었다고 전함. 파르하나 니샤트 세헬리(Farhana Nishat Sheheli) BRAC 보건 프로그램 수석 매니저는 “지금까지는 자금 지원 중단에 따른 큰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상황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안 좋은 결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함.
- 지난 2021년 USAID의 지원으로 다제내성 결핵(MDR-TB) 환자를 치료하는 방글라데시 최초의 원스톱 결핵 서비스 센터가 개설되었으나, 자금 지원 중단으로 환자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알려짐. 아예샤 악테르(Ayesha Akter) 부센터장은 현재 21명의 환자가 입원해 있고, 그 중 5명이 약제 내성 결핵(MDR-TB)을 앓고 있지만, 이들을 치료할 의사가 없다고 전함.

o 세계보건기구, 글로벌 결핵 관리 프로그램 위기 강조
- 세계보건기구(WHO)는 USAID의 갑작스러운 자금 지원 중단이 전 세계 결핵 관리 프로그램의 존속을 위협하며, 특히 가장 취약한 계층을 포함한 수백만 명이 심각한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함. 테레자 카사에바(Tereza Kasaeva) WHO 글로벌 결핵·폐건강 프로그램 담당 박사는 “재정적, 정치적 또는 운영상의 이유로 결핵 서비스가 중단되면 전 세계 수백만 명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함.
- 지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USAID는 방글라데시에 연평균 8,300만 달러(약 1,217 억원)를 결핵 퇴치 및 보건 이니셔티브 자원 명목으로 지원해옴. 2024년 방글라데시는 5억 달러(약 7,300억 원) 규모의 해외 원조를 받았으나, 2025년 기준 7,100만 달러(약 1,041억 원)로 급감한 것으로 알려짐. 전문가들은 이러한 자금 지원 중단이 방글라데시의 결핵 관리 대응 역량을 위축시킬 것이라고 분석함.

□ 결핵 진단율 저하와 약제 내성 결핵(MDR-TB)* 확산 우려 

o 방글라데시, 결핵 환자 중 17%가 미진단·미치료 상태라 밝혀
- 방글라데시 국가결핵관리프로그램(Bangladesh's National Tuberculosis Control Programme)은 2024년 기준 약 313,624명의 결핵 환자를 발견했으나, 이 중 83%만이 치료를 받았으며 약 17%는 여전히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고 전함. 전문가들은 치료를 받지 못한 환자들이 결핵균을 계속 전파시키고 있어 결핵 발병 사례가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함. 특히, WHO에 따르면 방글라데시는 2023년 기준 약 7만 8,000건의 미발견 결핵 사례가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전체 결핵 발병률을 낮추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함.
- 이에, 보건전문가들은 2035년까지 결핵 퇴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현재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환자들을 조기 발견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전함. 한편, 방글라데시 내 결핵으로 인한 사망사례는 지난 2010년 기준 10만 명당 54명에서 2022년 기준 10만 명당 25명으로 감소함.

*여러 결핵 치료약에 내성이 생긴 결핵균 때문에 발생하는 결핵

o 약제 내성 결핵(MDR-TB) 확산 및 대응 역량 저하 우려
- 방글라데시는 일반 결핵과 약제 내성 결핵(MDR-TB) 모두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7개국 중 하나로 알려짐. WHO의 '결핵 퇴치 전략(End TB Strategy)'의 목표에 따르면, 2025년까지 방글라데시는 2015년 대비 결핵 발병률을 50%, 결핵 사망자 수를 75% 줄여야 하나, 발병률은 지난 10년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다고 집계*됨. 

*2015년 기준 10만 명당 225명... 2023년 기준 10만 명당 221명

- '글로벌 헬스 사이언스 & 프랙티스 저널(Global Health Science & Practice Journal)'의 보고서에 따르면, 방글라데시 내 신규 결핵에 걸린 환자의 약 1.6%, 그리고 이전에 결핵을 앓았던 환자의 약 29%가 기존 1차 치료제에 내성을 보인다고 발표함. 이에 방글라데시는 ‘방글라데시 레지멘(Bangladesh regimen)’이라는 단기 치료 프로그램을 도입해, 약 2년이 걸리던 다제내성결핵(MDR-TB) 치료 기간을 9개월로 단축시킴. 그러나 전문가들은 해당 프로그램을 계속 운영하려면 지속적인 자금 지원과 안정적인 보건 인프라가 필수라고 강조함.

□ 방글라데시, 결핵 관리 역량 강화와 재정 지속성 확보 시급

o 결핵 관리 내 자체 역량 강화 중요성 대두
- 아흐메드 파르베즈 자빈(Ahmed Parvez Zabeen) 방글라데시 국가결핵관리프로그램 박사는 “방글라데시의 보건 인프라가 견고하기 때문에, USAID 자금 철수가 아프리카 국가들처럼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하였지만, 결핵 위기 인식 제고를 위해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o 지속가능한 결핵 관리를 위한 자금 확보 강조
- 방글라데시 보건부는 정부의 인프라 및 인적 자원을 강화하면서 결핵 관리를 위한 예산을 늘려야 한다고 제안함. 아시프 마흐무드 무자타파(Asif Mahmud Mujtafa) 방글라데시 폐재단(Bangladesh Lung Foundation) 사무총장은 “USAID 자금 지원 중단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국가 결핵 관리 프로그램이 붕괴될 것"이라고 경고함.
- 일부 보건전문가들은 방글라데시 정부가 결핵 진단, 치료제, 치료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왔으나, 최근 USAID의 지원 철회로 인해 이러한 사회보장제도를 유지하는 것이 불투명해졌다고 우려를 표명함.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과 국제사회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이 절실한 상황임.

< 감수 : 권기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Voice7News, Bangladesh faces TB risks amid USAID funding cuts, 2025.03.24.
TBS Graduates, World Tuberculosis Day: Bangladesh’s battle against TB amid funding cuts, 2025.03.24.
The Daily Star, Fortify mechanisms to tackle TB, 2025.03.25.
Health World, US funding cuts threaten global TB control efforts, Risk surge in drug-resistant cases: GlobalData, 2025.03.23.
GlobalData, World Tuberculosis Day 2025: Funding cuts threaten global TB control efforts, says GlobalData, 2025.03.21.
CNA, Commentary: We’re losing ground in the global fight against tuberculosis, 2025.03.24.
Business Standard, Bangladesh faces TB risks amid USAID funding cuts, 2025.03.24.
Science, Trump cuts damage global efforts to track diseases, prevent outbreaks, 2025.03.25.
Prothom Alo, Tuberculosis risk increases due to fund cut, 2025.03.24.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