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월간특집이슈

[월간정세변화] 인도에서 G20 정상회의 개최 ‘글로벌 사우스’ 맹주로 입지 굳힐 기회

인도 EMERICs - - 2023/09/29

12



인도에서 G20 정상회의 개최

‘글로벌 사우스’ 리더로 입지 다지는 인도


합의 어려울 것이란 전망에도 결국 공동선언 채택에 성공

2023년 9월 9일부터 10일까지 인도 수도 뉴델리(New Delhi)에서 G20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 인도는 2022년 G20 의장국인 인도네시아에 이어 2023년 G20 의장국으로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한 러시아와 서방국가들의 갈등이 최고조인 상황에서 합의를 도출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맡게 되었다. 국제 사회 내부의 갈등으로 인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G20 정상회의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하는 데는 우선 성공했다. G20 정상회의에서 인도 대표를 맡은 아미타브 칸트(Amitabh Kant)는 아프리카연합(AU, African Union)의 G20 가입, 탄소 배출 감축과 재생에너지 전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식량 안보 등을 다룬 83개 조항으로 구성된 G20 공동선언문에 대해 미국과 유럽, 러시아와 중국 등을 비롯한 국가들의 100%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공동선언문에서 러시아에 대한 직접적인 규탄은 없었다는 한계가 지적된다. 2022년 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하게 규탄하고 러시아군을 우크라이나에서 철수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2023년 G20 정상회의 선언문은 러시아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포함되지 않는 대신, “영토를 획득하기 위한 위협이나 무력 사용을 삼가야” 하며, “핵무기 사용 혹은 사용 위협은 용인될 수 없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우크라이나의 올렉 니콜렌코(Oleg Nikolenko) 외교부 대변인은 2023년 G20 정상회의 선언문에서 러시아를 규탄하는 내용이 빠진 것을 비판하며 자랑스러울 것이 없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아프리카연합(AU)의 G20 합류, 글로벌 사우스 리더 자처하는 인도 입지 굳힐 것으로 기대

2023년 G20 정상회의는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국제적 위상과 영향력이 확대된 회의로 평가된다. 2023년 G20 회원국들은 아프리카 국가 55개국으로 구성된 AU를 G20 정회원으로 가입하는 것을 승인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AU는 유럽연합(EU)에 이어 G20 정회원으로 가입한 지역기구가 되었다.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는 AU의 G20 가입을 G20 주요 의제로 내세우면서, 인도를 글로벌 사우스를 대표하는 국가로 브랜딩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AU가 정회원이 되기 전까지 G20 정회원 중 남아프리카공화국만이 유일한 아프리카 국가였다.


기후위기 대응과 식량 안보 강화

주요 안건으로 논의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 3배 늘리기로 합의… 화석연료 중단 합의에는 실패

G20 정상회의에서 기후위기애 대응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안을 놓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의 입장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G20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회원국들은 세계 탄소 배출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담긴 재생에너지 전환에 관한 내용은 국제사회의 기후 변화 대응에 중요하다고 평가받는다. 선진국들은 G20 정상회의에서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기존의 3배로 늘리고 탄소 배출을 60% 감축하고 석탄 및 석유 등 화력 발전을 단계적으로 중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러시아,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인도가 이에 반대했다. 대신 회원국들은 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을 3배로 늘리자는 내용까지만을 포함했다. 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은 석탄 발전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하고 저탄소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도움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개발도상국이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에 지속가능한 자금 조달이 필요하다는 점도 공동선언문에 포함되었다.하지만 화석 연료의 단계적 사용 중단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서 석탄 발전의 단계적 중단은 각국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을 뿐 석유 발전의 단계적 축소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식량 안보 강화와 영양 개선 위해 노력할 것에 합의… 식량 수출 금지하지 않을 것도 약속

G20 회원국들은 식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도 합의하였다. 회원국들은 세계 영양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 쌀, 밀, 옥수수, 기장, 퀴노아(quinoa), 수수 등의 곡물에 대한 연구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외에도 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는 농업 생산성 향상, 음식물 폐기물 감축, 식량 저장 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기후 위기에 대한 회복탄력성이 높은 식량 공급망을 구축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는 식량 무역 교란에 관한 내용도 담겼다. G20 정상회의 공동선언문에서 G20 회원국들은 공정하고 예측 가능하며 규칙에 기반한 농업, 식품, 비료 무역을 촉진하고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따라 수출 금지 혹은 제한을 비롯한 시장 왜곡을 일으키는 무역 조치를 시행하지 않기로 약속하였다. 2023년 G20 의장국인 인도는 2022년에 밀 수출을 금지하였을 뿐 아니라 2023년 7월에 일부 쌀 품종에 수출금지 및 제한 조치를 발표했고, 인도의 수출 금지 및 제한 조치로 인해 세계 식량 무역이 불안정을 겪은 바 있다. 이외에도 G20 회원국들은 일부 식품 품목의 시장 상황을 추적하는 농업시장정보시스템(AMIS, Agricultural Market Information System)과 지구관측세계농업모니터링그룹(Group on Earth Observations Global Agricultural Monitoring)을 강화하여 비료와 식물성 오일의 시장 상황도 추적하기로 합의하였다.


인도 국명의 ‘바라트’ 교체 논란
힌두 민족주의로 인도 내 갈등 최고조

인도, G20 만찬 초청장에 ‘인디아의 대통령’이 아닌 ‘바라트의 대통령’으로 표기
한편, G20 정상회의를 준비하면서 인도 중앙정부가 인도 국명을 인디아(India)가 아니라 바라트(Bharat)로 표기하면서, 인도 내에서 국명 논란이 다시 점화되었다. 바라트는 고대 산스크리트어 문헌인 리그베다(Rig Veda)에서 언급된 인도 북부 지역에서 살던 주요 부족의 이름이자, 산스크리트어 서사시 마하바라타(Mahabharata)에 등장하며 힌두교도들이 인도 종족의 아버지로 여기는 전설의 왕 이름이다. 1947년 인도가 영국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면서, 인도 내에서 자국 국명을 인디아와 바라트, 힌두교도의 땅을 의미하는 힌두스탄(Hindustan) 중 어느 것으로 결정할지 논쟁이 일어난 뒤, 1949년 인도 헌법 초안의 제1조에서 인디아와 바라트를 혼용하기로 합의하였다. 인도 내 힌두민족주의 세력과 여당 인도국민당(BJP, Bharatiya Janata Party)은 바라트가 국명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인도의 극우 힌두민족주의 단체 민족의용단(RSS, Rashtriya Swayamsevak Sangh)은 인디아가 영국 식민지 유산이라 주장하며 바라트가 국명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도국민당도 영국 식민지 유산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며 지명, 도로명, 기념물명을 바꾸어 왔으며, 영국 식민지배 이전에 존재했던 무슬림 제국인 무굴(Mughal)제국과 관련된 명칭을 바꾸는 데에도 앞장서 왔다.

인도 국명 논란이 재점화된 배경으로 야당이 결집한 것이 지적된다. 제1야당 인도국민회의당(INC, Indian National Congress)을 비롯한 야당은 2024년 총선거에서 인도국민당에 대항하기 위해 야당연합인 인디아(INDIA)를 결성했다. 야당 정치인들은 인도 국명을 바라트로 변경하려는 시도가 야당 연합을 약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추측하고 있다. 인도국민회의당의 정치인 샤시 타루르(Shashi Tharoor)는 국명을 바라트로 바꾸어 인디아라는 이름의 브랜드 가치를 버리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힌두교와 이슬람교 갈등, 수개월째 폭력 사태로 이어져
인도국민당의 힌두 민족주의는 인도의 정서 양극화를 심화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G20 정상회의가 개최되기 몇 주 전, 수도 뉴델리 인근의 인도 북부 하리아나(Haryana)주 누(Nuh) 지역에서 힌두 민족주의자들이 현지 무슬림 주민들과 충돌하는 사건이 벌어진 바 있다. 5월 인도 북동부의 마니푸르(Manipur)주에서 힌두교도인 다수부족과 기독교 등의 소수부족 사이에 폭력 사태가 벌어진 뒤 폭력 행위가 계속되고 있으며, 무슬림이 다수 살고 있는 인도령 카슈미르(Kashmir)에서도 언론 탄압과 폭력을 동반한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인도의 싱크탱크 갈등관리연구소(Institute for Conflict Management)의 아자이 사니(Ajai Sahni) 소장은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 하에서 인도 중앙정부는 힌두 민족주의를 지지하거나 승인하는 모습을 보여왔기 때문에 인도 각지에서 폭력이 분출하게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G20 정상회의서 극명하게 드러난 
중국 · 러시아 VS 서방 대결 구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 G20 정상회의 불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에 불참했다. 푸틴 대통령은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뒤 2022년 G20 정상회의에 이어 2023년 정상회의도 불참한 것이다. 시진핑 주석의 G20 정상회의 불참은 중국과 인도 사이의 긴장이 고조된 것이 원인으로 추측된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ational Security Council)의 커트 캠벨(Kurt Cambell) 조정관은 중국과 러시아가 G20 정상회의에 불참한 것에 대해 인도가 상당히 실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은 G20 정상회의를 인도와의 관계 강화를 위한 계기로 삼고 있다. 미국은 인도를 중국에 대항하고 핵심 기술의 공급망을 강화하는 협력국으로 보고 있다. 전통적으로 인도는 글로벌 사우스의 리더 역할을 자처하며 기후 대응과 부채 문제 등 여러 문제에 대해 미국과 대립해왔으며, 러시아와 중국 등과 함께 협력해왔다. 커트 캠벨 조정관은 미국과 인도의 관계가 5~10년 동안 크게 개선되었다고 평가하며, 인도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중국 일대일로(BRI)에 대항하여 인도-중동-유럽 철도 · 항만 연결 구상 출범
G20 정상회의와 별도로 인도, 미국,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인도-중동-유럽 경제회랑(IMEC, India-Middle East-Europe Economic Corridor)’ 을 발표하였다. G20 정상회의 첫날인 9월 9일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인도, 중동, 유럽을 연결하는 철도 및 항만 연결 사업인 IMEC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IMEC은 인도와 아라비아 만을 연결하는 동부 회랑과 아라비아 만과 유럽을 연결하는 북부 회랑 두 사업으로 구성된다.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Ursula von der Leyen) EU 집행위원장은 IMEC이 인도와 중동, 유럽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이동시간을 40% 단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IMEC은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 사업에 대항하는 사업으로 평가된다. IMEC은 미국 중심으로 서방국가로 구성된 G7의 글로벌인프라투자파트너십(PGII, Partnership for Global Infrastructure Investment)의 지원을 받아 재정을 조달할 예정이다. 글로벌인프라투자파트너십은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에 대응하기 위해 출범한 프로젝트로, 개발도상국의 기반 시설 사업에 대한 자금을 지원하고 G7 국가들과의 경제적 연결성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 밖에도 조 바이든(Joe Biden) 미국 대통령은 미국 정부가 IMEC 외에도 앙골라와 인도양을 잇는 철도사업에도 투자하여 세계 철도망을 확대하고 무역 잠재력을 기하급수적으로 향상시킬 것이라 밝힌 바 있다. 

7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