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멕시코, 한-멕 FTA 협상 재개 합의

멕시코 박미숙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2022/03/17

한국과 멕시코는 31일 개최된 양국 통상장관회담에서 2008년 중단된 한-FTA 협상을 재개하기로 합의함.

-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와 멕시코의 경제부는 한-멕 통상장관회담을 개최하여 협상 재개에 합의함.

2022년 상반기 중에 1차 협상 개최를 목표로 3월 중 예비협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함.

 

멕시코는 중남미에서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고, 우리기업의 미주지역 주요 생산거점임.

- (무역) 멕시코는 2021년 기준으로 한국의 14대 교역 대상국이고, 중남미 국가 중 교역 규모가 가장 큼.

2021년 한국의 멕시코 수출은 약 113억 달러(9), 수입은 약 79억 달러(13)이고, 한국은 멕시코와의 교역에서 지속적으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함.

ㅇ 한국은 철강판(19.7%), 자동차 부품(13.2%), 합성수지(7.2%) 등 제조업 제품을 주로 수출하고, 원유(42.0%)와 금속광물(13.5%) 같은 원자재를 수입하여 양국의 무역은 상호보완적임.

- (투자) 자동차, 자동차 부품, 전자제품 등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약 430개 한국 기업이 멕시코에 투자하고 있으며, 멕시코 입장에서 한국은 10위의 투자국가임.

ㅇ 멕시코 뿐 아니라 미국 및 중남미 시장 판매를 목적으로 기아차,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등 대기업과 부품제조 기업이 다수 동반 진출함.

 


- FTA 협상을 재개하려는 시도가 과거 수차례 있었지만, 멕시코의 자동차와 철강 업계가 피해를 우려하여 한국과의 FTA를 반대함.과거 멕시코는 한국과의 FTA 협상에 소극적이었으나, 한국경제의 위상 강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통상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양국이 FTA 협상 재개에 합의함.

- 그러나 멕시코 경제에서 한국의 위상 강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멕시코의 중요도 증가, 미래 산업에서 한국의 경쟁력 강화 등으로 양국 간 통상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함.

ㅇ 멕시코의 한국과 교역량은 2020년부터 일본과 교역량을 앞지르기 시작했고, 현재 한국은 중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멕시코의 교역 대상국임.

ㅇ 미-중 갈등 심화와 글로벌 공급망 생산 차질로 소비시장 가까이로 생산지를 이전하려는 변화가 나타나고, USMCA의 발효로 역내생산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멕시코가 생산거점으로 다시 부각되고 있음.

ㅇ 한국 기업이 이차전지와 반도체 같은 미래형 산업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멕시코는 상기 산업의 핵심 원자재를 생산하면서 한국과 멕시코 간의 산업협력 필요성이 증가함.

 

-FTA는 우리기업의 가격경쟁력 제고, 공공입찰 참여 확대, 한국의 태평양동맹(PA) 준회원국 가입 가속화 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 한국산 승용차(관세 20%), 철강(관세 15%), TV(관세 10~15%) 등의 수입가격인하와 한국산 부품의 가격인하로 인한 현지 생산기업의 경쟁력 제고가 예상됨.

- 멕시코는 공공입찰 참여 자격을 자국기업, FTA 체결국, FTA 미체결국 순으로 부여하기 때문에, FTA 체결로 우리기업의 공공입찰 참여 기회가 확대됨.

- 한국은 현재 태평양동맹(Pacific Alliance, PA)의 준회원국 가입을 추진하고 있는 바, 멕시코와의 FTAPA 준회원국 가입을 가속화 시킬 것으로 예상됨.

PA는 태평양에 인접한 콜롬비아, 칠레, 페루, 멕시코로 구성되었으며, 아시아와의 교역확대를 지향하는 FTA 기반의 경제통합체임.

ㅇ 한국은 PA 회원국 중 멕시코를 제외한 3개 국가와 FTA를 발효한 상태로, 그간 멕시코와의 양자 FTA 체결이 어려웠기 때문에 PA 준회원국 가입을 통해 멕시코와 FTA 체결의 효과를 얻고자 노력해왔음.

ㅇ 멕시코는 FTA 협상 재개와 함께 한국의 PA 준회원국 가입에 공조하기로 합의함.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