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최근 인도 외국인직접투자(FDI) 확대 배경과 전망

인도 신세린 KIEP 인도남아시아팀 연구원 2015/06/19

■ 2014/15년(2014년 4월~2015년 3월) 인도의 외국인직접투자는 전년 동기대비 약 27% 증가한 309억 달러를 기록함.

- 특히 외국인직접투자 비중이 높은 서비스(46.2%)1), 통신(121.5%), 컴퓨터(95.3%), 자동차(69.4%) 부문을 중심으로 투자가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남.
o 자동차 및 부품산업과 통신분야에 M&A를 통한 외국인직접투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2).

- 반면 건설부문의 경우 투자규제 완화에도 불구하고 토지수용 문제 및 높은 지가, 자금조달 문제 등으로 전년대비 38.1% 감소함3).

■ FDI 증가는 최근 인도의 거시경제여건이 비교적 안정된 상황에서 모디 정부가 적극적으로 외국인투자규제를 완화하고 투자환경을 개선한데 힘입은 것으로 분석됨.

- 모디 정부는 2014년 5월 출범 이후 외국인직접투자 지분 확대, 최소투자기준 완화, 투자승인절차 간소화 및 세제혜택 등의 조치를 실시
o 인도는 지속적인 규제완화와 개혁정책을 바탕으로 현재 189개국 중 142위에 불과한 기업환경평가 순위를 50위권으로 개선한다는 목표임4).

■ 추가적인 개혁개방정책이 조속히 추진된다면 모디 정부의 핵심 과제인 제조업 육성과 인프라개발 확대에 필수적인 외국인직접투자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 현재 인도정부는 토지법 및 노동법 개정과 통합물품세(GST: Goods and Service Tax) 도입을 추진 중에 있음.

- 무디스와 노무라 증권은 최근 외국인투자규제완화 정책의 효과로 향후 인도의 FDI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6), A.T. Kearney 역시 현재 11위인 인도의 FDI신뢰지수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함.7)


<참고자료:  Economic Times, Times of India 등 현지 언론 종합>

 

1) 금융, 은행, 보험, 비금융/기업(Business), 아웃소싱, R&D, 운송, 기술 시험 및 분석을 포함
2) Times of India(2014.10.2). "FDI in telecom sector jumps manifold to $2.33bn in April-July" 3) Rajeswari&Akilandeswari., “Sector-Wise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Into India.”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 Social Sciences Research Volume 4, No.1, 2015.1.
4) Economic Times(5 May, 2015). 'Make in India: Government taking steps to improve ease of doing business'. 5) 최저한세(MAT)란 감면세액을 적용한 납부세액이 최저한세(18.5%) 이하로 되었을 때 부과하는 세금임.
6) Economic Times(27 May, 2015). '$34.9 bn FDI inflows to India in FY 2015: Nomura'.
7) PR Newswire(26 April, 2015). '2015 A.T. Kearney FDI Confidence Index® Nearly Three-Quarters of Countries Ranked in Top 25 are Developed Economies'.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