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파키스탄 최근 교역동향

파키스탄 KOTRA 2016/01/13

한-파키스탄 최근 교역동향

- 2013년 이후 3년 연속 무역규모 감소 예상 –

- 한-파 FTA 추진, 상호교류 증대 필요 –

 

 

 

□ 한-파키스탄 교역 현황

 

 ○ 교역규모 및 수출 감소세

  - 한국은 파키스탄과의 교역에서 무역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나, 2012년 이후 수출 및 교역규모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임.

  - 대파키스탄 수출액은 2014년 7억7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0% 감소하며 2012년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기록함. 대파키스탄 수입액 동반 축소에 따라 양국 교역규모 역시 2012년 16억2300만 달러를 기록한 이후 감소 추세

  - 2015년 들어서도 10월까지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어 교역규모 축소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최근 한-파키스탄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10월

수출액

818(4.8)

847(3.6)

819(-3.3)

770(-6.0)

654

수입액

737(84.4)

776(5.3)

522(-32.7)

402(-23.0)

242

교역규모

1,555

1,623

1,341

1,172

896

주: 괄호 안은 증감률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주요 수출입 품목 분석

  - 대파키스탄 주요 수출품목으로는 플라스틱, 기계류, 철강, 유기화합물, 의약품 등을 꼽을 수 있음.

  - 특히 건설중장비의 경우, 2015년 10월 누계 기준 전년동기대비 100%를 상회하는 증가율을 기록해 눈길을 끎. 이는 현지 중고 건설기계 수입 수요 증가에 따른 결과로 보임.

 

대파키스탄 주요 수출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MTI

수출품목

2014년

2015년 1~10월

증감률

1

2140

합성수지

99,124

79,689

-7.5

2

7251

건설중장비

27,551

42,785

100.5

3

1336

윤활유

54,047

39,226

-15.9

4

6133

냉연강판

31,989

28,921

7.8

5

2190

기타 석유화학제품

34,187

27,797

-3.2

6

6134

아연도강판

31,919

26,187

4.9

7

2262

의약품

63,872

24,233

-46.2

8

4490

기타 섬유제품

24,695

24,033

17.3

9

7420

자동차부품

16,886

21,591

50.6

10

2211

염료

19,396

19,610

16.2

주: 증감률은 전년동기(1~10월)대비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대파키스탄 주요 수입품목은 섬유, 석유제품, 기호식품, 구리 등임. 이는 파키스탄이 세계 5위의 면화 생산국이자 세계 3위의 방적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 반영된 결과로 보임.

  - 2015년 들어 대부분의 주요 품목 수입이 감소했으나, 직물제 의류 수입은 130%의 높은 증가세를 나타냄. 아울러 특이사항은 이슬람 공화국인 파키스탄에서 주류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며, 이는 과거 영국 식민지 시절 건설된 양조시설을 수출용으로 활용한 결과로 추정됨.

 

대파키스탄 주요 수입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MTI

수출품목

2014년

2015년 1~10월

증감률

1

4331

순면직물

57,254

47,826

-0.9

2

4213

면사

57,879

39,081

-16.9

3

1334

나프타

88,699

22,852

-68.7

4

0157

주류

46,885

21,737

-48.2

5

3319

기타가죽

28,430

18,180

-24.4

6

6221

동괴 및 스크랩

31,421

13,286

-51.2

7

0451

어육

9,739

10,951

32.6

8

1290

기타 비금속광물

12,737

10,810

0.5

9

4412

직물제 의류

5,407

9,502

130.1

10

4411

편직제 의류

7,315

8,408

33.9

주: 증감률은 전년동기(1~10월)대비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수출부진 원인 분석

 

 ○ 중국 제품의 현지 시장 잠식

  - 중국은 2007년 7월 파키스탄과 FTA를 발효한 이래 자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인하 혜택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 또한 올 들어 상호 FTA 수혜품목을 추가 확대하는 2단계 협상을 진행 중이며,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는 것으로 전해짐.

  - 월등한 가격경쟁력을 무기로 한 중국이 2015년까지 꾸준하게 대파키스탄 수출 두 자리 수 증가율을 보이며 현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점은 상대적으로 한국 제품의 현지 시장 진출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 상호 인적, 물적교류 저조

  - 기본적으로 파키스탄향 직항편이 부재하고, 여행자보험 가입도 불가능한 상황에 있어 양국간 인적, 물적교류가 크게 제약을 받고 있음.

  - 특히 파키스탄에서 빈발하는 폭탄테러 등 치안 여건 악화에 따라 한국 기업의 진출 의지가 저하되고 있으며, 현지 비즈니스 출장 및 무역활동도 덩달아 위축돼 교역규모 감소를 낳고 있음.

  - 이는 단기간에 해결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나, 파키스탄의 치안 사정이 한층 개선되는 동시에 양국간 문화, 인적교류 활성화가 수반될 때 개선의 여지가 나타날 것으로 보임.

 

□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한-파 FTA 체결 추진

  - 중국뿐 아니라 말레이시아도 FTA 체결 이후 대파키스탄 수출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터키 역시 파키스탄과의 FTA 협상을 마무리할 예정임. 이에 따라 한국 제품의 시장점유율 추가 하락을 막기 위해서도 한-파 FTA 체결 추진이 필요한 상황

  - 이러한 시점에서 2015년 7월 쿠람 다스트기르 칸(Khurram Dastgir Khan) 파키스탄 상무부 장관의 방한을 계기로 한-파키스탄 FTA에 대한 공동연구가 시작됐다는 점은 고무적인 사건임. 아울러 양국간 산업구조의 차이로 민감품목이 거의 없다는 점은 향후 협상 진행 시 합의를 이끌어내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됨.

 

 ○ 상호 문화교류 활성화

  - 낮은 소득수준, 종교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해 파키스탄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그리 높지 않은 것이 현실임. 또한, 파키스탄에서 한국의 인지도 역시 중국에 비하면 매우 낮은 편이며, 아직까지 한류라고 부를 수 있는 대중문화 교류도 미미한 상황임.

  - 장기적인 교역규모 및 수출 증가를 위해서는 상호 인적, 문화교류 확대가 필요한 상황임. 이런 측면에서 한국 드라마 ‘대장금’이 12월 31일부터 파키스탄 PTV에서 방영된다는 소식은 양국간 문화교류 증대의 첫 걸음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State Bank of Pakistan, 주파키스탄 한국대사관 및 KOTRA 카라치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AIF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