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에티오피아, AfrEA 회의 계기 데이터 기반 거버넌스 강화 촉구

에티오피아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7/0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에티오피아, 증거 기반 정책결정 및 평가시스템 강화 의지 표명

o 티루마르 아바테 기획개발부 차관, 투명성과 책임성 강화를 위한 모니터링·평가(M&E) 시스템 구축 강조
- 티루마르 아바테(Tirumar Abate) 에티오피아 기획개발부 차관은 아프리카평가협회(AfrEA: African Evaluation Association)* 25주년 기념회의 폐회식에서 증거 기반의 정책결정 문화를 촉진하기 위한 에티오피아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재확인함. 특히, 공공서비스 제공에 있어 투명성과 책임성,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모니터링·평가 시스템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이를 통해 정책 실패를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것이라고 언급함.

     * 1999년 설립된 아프리카 전역의 모니터링 및 평가(M&E) 역량을 강화하는 대표적인 전문가 단체

- 아바테 차관은 "제한된 자원과 높은 공공의 기대치가 존재하는 現 시대에서 평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역설하였는데, 이에 따라 에티오피아 정부는 ▲국가 평가 시스템 강화, ▲제도적 역량 구축, ▲개발 프로그래밍 및 정책 주기 전반에 걸친 평가 프레임워크 통합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할 예정임.

o 정부기관 전반에 걸친 모니터링·평가 제도화 추진
- 에티오피아 정부는 각 부처와 정부기관 전반에 걸쳐 평가를 제도화하고, 이행 과정에서 도출된 교훈이 국가 발전 경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음. 피츠움 아세파(Fitsum Assefa) 기획개발부 장관은 "강력한 모니터링·평가 시스템은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필요한 정책 수정을 하는데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강조하며, 에티오피아의 평가 생태계 심화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표명함.
- 미셰 우에드라오고(Miche Ouedraogo) AfrEA 회장은 에티오피아를 정책 평가 이행에 있어 아프리카의 모범 국가로 평가하였으며, 특히, 각국이 서로 다른 발전 과정과 국가 평가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에티오피아의 체계적인 평가 시스템 구축 노력은 여타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중요한 벤치마킹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함.

☐ 아프리카평가협회(AfrEA) 25주년 기념회의 주요 성과

o 아프리카 주도의 평가 방법론 및 전문성 강화 논의
-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에서 개최된 AfrEA 25주년 기념회의는 ‘아프리카 중심 평가의 25년 우수성 기념: 함께 더 강한 미래 구축(Celebrating 25 Years of Excellence in Africa-Rooted Evaluation: Building a Stronger Future Together)’이라는 주제로 진행됨. 동 회의는 지식 공유, 정책 대화, 평가 실무의 혁신을 위한 지역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아프리카의 특수성을 반영한 현지 평가 방법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음.
- 1999년 설립된 AfrEA는 아프리카 주도의 평가 관행을 촉진하고, 전문적 기준을 수립하며, 글로벌 평가 담론에서 아프리카의 목소리를 증폭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옴. 이번 회의에서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평가 방법론 개발과 함께, 아프리카의 발전 의제에 부합하는 평가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됨.

o 청년층과 여성의 평가 분야 참여 확대 촉구
- 데레제 마모(Dereje Mamo) 에티오피아평가협회(EEvA) 회장은 국가 평가 역량 구축에 있어 에티오피아의 진전을 강조하면서, 특히 평가 분야의 지속가능성과 적실성 제고를 위해 청년과 여성의 참여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언급함.
- 회의 참가자들은 ▲아프리카의 평가 생태계 강화, ▲현지 맞춤형 혁신적 접근방식 개발, ▲대륙 전반의 평가 미래를 형성하는 데 있어 포용성 보장을 위한 통합된 행동 계획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향후 아프리카 평가 분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전망됨.

☐ 국제사회와의 협력 강화 방안 모색

o AU 아젠다 2063 및 UN SDGs와의 연계성 강화
- 에티오피아는 이번 회의를 통해 아프리카연합(AU)의 아젠다 2063과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강력한 이행 의지를 재확인함. 아바테 차관은 이 두 프레임워크가 평화롭고 번영하며 통합된 아프리카를 위한 공동의 열망을 구현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AfrEA의 비전과 노력이 이러한 글로벌·대륙적 의제와 긴밀히 연계되어 있음을 높이 평가함.
- 특히, 에티오피아는 평가를 SDGs 이행 상황 추적과 포용적 발전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아프리카의 발전 의제에 부합하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증거와 데이터가 필수적"이라는 AfrEA 회장의 강조와도 일맥상통함.

o 기술협력 및 제도적 파트너십 확대 추진
- 에티오피아 정부는 기술협력과 제도적 파트너십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AfrEA의 향후 활동을 적극 지원할 것을 천명하였으며, 특히, 인공지능(AI)과 혁신 기술을 활용한 공공정책 평가 분야의 혁신이 향후 주요 협력 의제가 될 것으로 전망됨.
- AfrEA는 향후 수년간 ▲기술·혁신 분야 협력 강화, ▲평가 전문인력 양성, ▲지역 간 지식공유 플랫폼 구축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인데, 이를 통해 아프리카 평가 시스템의 질적 도약과 함께, 글로벌 평가 커뮤니티에서 아프리카의 영향력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감수 :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All Africa, East Africa: Ethiopia Renews Call for Data-Driven Governance At AfrEA Conference, 2025.6.19.
Fanamc, Ethiopia reaffirms commitment to strengthening national evaluation systems, 2025.6.19.
ENA, Ethiopia Will Continue Investing in Nat’l Evaluation Systems: Ministry of Planning & Dev't, 2025.6.18.
All Africa, Ethiopia Among Exemplary African Countries in Implementing Policy Evaluation, Says Afrea President, 2025.6.17.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