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사우디아라비아 시멘트 산업의 갈림길: ‘비전 2030’의 야망과 시장 현실 간의 괴리

사우디아라비아 Doaa Mohamed Salman Vice Dean MSA university, Egypt 2025/06/13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비전 2030(Vision 2030)’ 이니셔티브 아래 경제 다각화, 산업 발전, 지속가능성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특히 석유 중심의 경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초대형 인프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건설업 주도의 경제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시멘트 산업에 대한 수요 역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사우디 시멘트 산업은 ▲공급 과잉, ▲운영 비용 상승, ▲무역 규제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본고는 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 및 시멘트 산업의 거시경제적 목표와 시장 현황 간의 괴리를 살펴보고, 향후 전망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론

사우디아라비아의 시멘트 산업은 ‘비전 2030’의 야망과 시장 경제의 냉혹한 현실 사이의 갈림길에 놓여 있다. 정부는 국내 인프라 환경을 재편하기 위해 약 4조 8,700억 리얄(약 1,800조 원)를 투자할 계획을 발표1)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을 전개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조는 다수 기업들의 과도한 시장 참여를 촉진하여 시장 포화를 야기하였다. 

대표적으로, ‘비전 2030’ 아래 추진되고 있는 약 1조 8,700억 리얄(약 680조 원) 규모의 네옴(NEOM) 개발 프로젝트, 300억 리얄(약 10조 원) 규모의 키디야(Qiddiya) 엔터테인먼트 도시 구축 계획, 150만 채 규모의 주택 제공 프로젝트 등의 초대형 프로젝트들은 2030년까지 약 7%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하며 시멘트 산업 수요 증가를 견인, 국내 시멘트 기업들에게 이상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 바 있으나, 실질적으로 현재 사우디 시멘트 산업은 과잉 생산량이 약 3,500만 톤(t)에 달하는 등 공급 과잉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로 인한 시멘트 가격 하락 등의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 사우디 시멘트 산업은 도전 과제 극복을 위해 향후 몇 년 간 전략적 통합, 기술 혁신, 지속가능성 강화 등의 구조적 변화를 경험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자와 산업 지도자들은 이러한 잠재적 위험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비전 2030’ 이니셔티브의 희생자가 될 위험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전 2030’ 이니셔티브, 건설 프로젝트에 중점

정부는 ‘비전 2030’ 이니셔티브 아래 다양한 부문에 대한 메가 프로젝트(mega project)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건설 부문에 집중하고 있다. 아래 <그림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설 부문은 사우디 메가 프로젝트 중 약 3조 1,380억 리얄(약 1,100조 원)을 차지하며 사우디아라비아 경제 다각화 전략의 핵심 동력으로 지목되고 있다.2)

<그림 1> ‘비전 2030’ 주요 부문별 메가 프로젝트 규모 (단위: 10억 리얄)
출처: (Sukuk Capital, 2024)

‘네옴 메가시티 프로젝트(NEOM megacity project)’는 건설 분야의 핵심 프로젝트로, 약 2만 6,500 제곱킬로미터(㎢) 규모의 친환경 스마트 도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 아울러, 정부는 럭셔리 관광(luxury tourism)에 중점을 둔 홍해 프로젝트(Red Sea Project)와 키디야 엔터테인먼트 도시(Qiddiya's entertainment city) 등의 계획을 통해 전통적인 건설 부문을 넘어 럭셔리 관광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 등 신규 건설 분야로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으며, 킹 살만 공원(King Salman Park) 및 사우디 랜드 브릿지(Saudi Land bridge) 프로젝트 등 주요 인프라 사업 역시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우디 정부의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집중 기조 아래 현지 시멘트 산업 역시 전례 없는 수요 증가를 경험하고 있으나, 이와 동시에 시장 포화로 인한 공급 과잉, 노후화된 인프라로 인한 운영 비용 상승, EU 무역 규제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시멘트 산업의 주요 도전 과제

(공급 과잉) 사우디 시멘트 시장은 사우디 시멘트(Saudi Cement), 남부 시멘트(Southern Cement), 야마마 시멘트(Yamamah Cement), 카심 시멘트(Qassim Cement), 얀부 시멘트(Yanbu Cement) 등 5대 핵심 기업(약 45~55% 점유율)과 12개 소규모 경쟁사(각 2~7% 점유율) 간의 치열한 경쟁이 지속되고 있다. 사우디 시멘트 시장의 허핀달-허쉬만 지수(HHI: Herfindahl-Hirschman Index)*는 700 이하로, 단일 기업의 독점이 아닌 수많은 경쟁자가 존재하는 분열된 시장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기업들은 ‘비전 2030’ 관련 프로젝트 수주 및 민간 부문과의 계약 체결 등을 목표로 활발히 경쟁하고 있으나, 이러한 분열된 시장 형태는 공급 과잉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한 산업이나 시장에서 소수 기업이 얼마나 많은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지를 수치화(0~10,000)한 지수로, 낮은 수치일수록 분산된 경쟁 시장으로 분류

<그림 2> 사우디 시멘트 기업 별 시장 점유율 (2023)
출처: Sukuk Capital. (2024)

이러한 상황 속, 일부 기업들은 인수합병을 통한 포화 문제 완화에 나서고 있으나, 사우디 시멘트 시장은 일반적으로 3~5개 기업이 시장 점유율의 약 70~80%를 차지하는 글로벌 시장에 비해 여전히 분열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표 1> 사우디 주요 시멘트 기업 간 인수합병 동향
출처: 참고자료 종합하여 저자 직접 작성

(운영 비용 상승) 국내 시멘트 기업들은 정부의 보조 에너지 및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 등의 지원 정책을 기반으로 고성장 건설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있으나,4) 노후화된 생산 인프라와 노동력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한 운영 비용 상승 문제가 이러한 재정적 이점을 상쇄하고 있다.

(무역 규제) 대외적으로는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등의 무역 규제가 시멘트 수출에 대한 주요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CBAM은 탄소 집약적인 제품 수출 시 제품 별 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추가 비용을 부과하고 있는데, EU는 동 법안을 통해 사우디 시멘트에 톤당 87달러(약 12만 원) 이상의 비용을 부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5) 친환경 운영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역량이 부족한 기업들은 이러한 규제 대응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관찰된다.

도전 과제 극복을 위한 전략

사우디 시멘트 기업들은 상기 도전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전략적 인수합병,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운영 업그레이드 가속화, ▲지속가능한 제품군 개발 등의 조치를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관찰된다. 실제, 일부 전문가들은 얀부 시멘트-남부 시멘트 등 주류 기업들 간의 인수합병이 2030년까지 사우디아라비아 시멘트 부문의 HHI를 약 2,300까지 상승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 기반의 자동화 및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변환은 산업 생산성을 약 25~30%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EU CBAM 등의 무역 규제에 대한 대응을 위해서는 도시 폐기물의 대체 연료 전환 및 저탄소 시멘트 품종 개발 등 친환경 혁신에 대한 연구개발(R&D)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조치는 지속가능성 목표를 발전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소비 비용을 약 15~20% 감축할 것으로 평가된다.6) 또한, 기업들은 EU 이외의 국가들로의 수출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등 신(新)시장 진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관찰된다.

결론: 변화하는 산업 구조 속 전략적 기회 탐색 필요

사우디아라비아의 시멘트 산업은 정부의 야심찬 ‘비전 2030’ 이니셔티브 아래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상당한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 ‘비전 2030’의 전례 없는 인프라 개발 프로그램은 시멘트 제품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견인하고 있으나, 동시에 정부와 기업은 약 3,500톤에 달하는 과잉 공급과 운영 비용 상승 및 무역 규제 준수 등으로 인한 재정적·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향후 사우디 시멘트 기업들의 성공 여부는 전략적 통합을 통한 과잉 공급 완화, 첨단 기술 도입 및 디지털 전환을 통한 운영 효율성 증대, 무역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생산 기술 관련 연구개발(R&D) 강화 등 전략적 우선 순위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은 사우디아라비아 경제 다각화 전략의 핵심적인 부문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정부는 건설업 중심의 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기존 석유 중심 경제의 이점과 건설 주도 경제의 필요성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업 관계자들은 장기적인 회복력과 성장을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전환 과정을 신중하게 헤쳐나가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기업들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포스트 오일 경제(post-oil economy) 환경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각주
1) Ministry of Investment, 2024
2) Saudi Arabia's Vision 2030: A Roadmap for Economic Diversification, 2016
3) NEOM: A Vision for the Future, 2021
4) Nader, 2024
5) Bashir, 2023
6) Nader, 2024

[참고자료]
Abdou, D. M. S., & El Adaway, N. S. (2018). Application on game theory: cement industry in Egypt-Arabian cement company. American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and Management, 6(3), 49-56.
Annual Report on the Saudi Cement Industry. (2021). Saudi Cement Company Annual Report 2021. https://www.saudicement.com.sa 
Bashir, M. (2023). CBAM impact assessment for GCC exporters. European Cement Research Network.
Cement in the AUCBM states. (2024). Arab Union for Cement and Building Materials Market Report.
Economic Review of the Cement Sector in Saudi Arabia. (2022). Saudi Industrial Development Fund Annual Analysis.
Ministry of Investment. (2019). Investment opportunities in Saudi Arabia's construction sector.  Ministry of investment | وزارة الاستثمار
Ministry of Investment. (2024). Vision 2030 infrastructure spending report. Kingdom of Saudi Arabia.
Nader, A. (2024). Energy transition strategies for heavy industries in GCC. King Fahd Petroleum Studies Center.
NEOM: A Vision for the Future. (2021). NEOM Project White Papers. Retrived from: NEOM: Made to Change
Sukuk Capital. (2024). GCC infrastructure investment tracker: Saudi Arabia special report.
The Red Sea Project: A New Era in Luxury Tourism. (2022). Red Sea Global Corporate Publications.
Verma, J. (2024, January). Cement market dynamics in Saudi Arabia. Global Cement Magazine, 56-60.

The English version of the original article can be downloaded below.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