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카타르, AI 투자와 2025-2030 전략 통해 디지털 전환·경제 다변화 추진
카타르 이혜빈 EC21R&C 연구원 2025/03/2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카타르, 중동 디지털 허브 국가로 도약
o 카타르 정부, 스마트 정부 추진 전략 수립
- 지난 3월 17일,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빈 자심 알 타니(Sheikh Mohammed bin Abdulrahman bin Jassim Al Thani) 카타르 총리 겸 외교부장관이 자국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정부 및 디지털 리더십 운영위원회' 설립을 위한 결정문(2025년 제3호)을 발표함. 동 위원회는 총리가 직접 위원장직을 맡고, 내무부 장관이 부위원장으로 참여하는 등 주요 정부 인사들이 대거 포함될 예정임.
- 알 타니 총리는 스마트 정부 전략 이행에 대한 전반적인 감독과 정부 부처 간 협력을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라고 전함. 전문가들은 이번 발표를 ‘카타르 국가비전 2030’ 下 혁신적인 스마트 정부 모델을 구축하려는 범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함.
o AI·클라우드 인프라에 28억 달러 투자… 역내 기술 경쟁 심화
- 카타르는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중동 지역 내 선도 국가로 부상하고 있으며,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에 28억 달러(약 4조 1,100억 원)를 투자하여 기술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또한, 광대역 속도에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1위, 세계 6위를 차지하는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 카타르는 美 AI 기업 Scale AI사와 5년간의 AI 개발 협약을 체결했으며, ▲정부 서비스 개선, ▲스마트 인프라 관리, ▲의료, ▲교육, ▲사이버보안 등 다양한 공공 부문에 AI 솔루션을 구축할 계획임.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주변 걸프 국가들과의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함.
□ 카타르 상공회의소, 민간 부문 성장 촉진을 위한 ‘2025-2030 전략’ 발표
o 민간 부문 지원 및 글로벌 허브 구축 목표 수립
- 지난 3월 22일 카타르 상공회의소(Qatar Chamber)는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경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2025-2030 전략(2025-2030 strategy)’을 발표함. 해당 전략은 민간 부문에서 카타르를 글로벌 전략적 허브로 자리매김시키고, 비즈니스 수행에 있어 최우선 선택지로 변모시키는 것을 비전으로 삼고 있음.
- 칼리파 빈 자심 빈 무하메드 알 타니(Sheikh Khalifa bin Jassim bin Mohammed Al-Thani) 카타르 상공회의소 이사회 의장은 상기 전략을 통해 ▲비즈니스 환경 개발, ▲중소기업 및 기업가 지원·장려, ▲디지털 경제로의 발전, ▲성과 개선을 통한 상공회의소의 긍정적 이미지 구축, ▲재정적 지속가능성 달성 등을 목표로 추진되었다고 설명함.
o 중소기업 지원 확대 및 디지털 전환 추진
- 칼리파 빈 자심 알 타니 의장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시장 연구 및 사업타당성 조사를 위한 전문 부서 설립, 유엔 산업개발기구(UNIDO)와 협력하여 기업가정신 개발 센터 설립, 혁신 및 중소기업을 감독하는 전담 기관 설치 등을 추진한다고 발표함. 또한, 정부 투자 프로젝트, 국제 투자 전망, 자금 조달 방안 등을 소개하는 투자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임.
- 카타르 상공회의소는 자국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내부 서비스의 디지털화 및 상공회의소 업무 운영에 AI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고 밝힘. 또한, 향후 아랍 국가와 글로벌 시장을 연결하는 카타르 e-마케팅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며, 이와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상공회의소의 수익을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함.
□ 카타르, 전방위적인 경제 개혁의 성과 나타나
o 카타르 경제, 2024년 2.4% 성장... 비석유 부문 활약 돋보여
- 압둘아지즈 빈 나세르 알 할리파(Abdulaziz bin Nasser Al Khalifa) 카타르 국가기획위원회(NPC) 사무총장은 자국 경제가 지속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고 전함. 2024년 GDP 데이터에 따르면, 카타르는 2023년 대비 2.4% 실질 성장률 상승을 기록했으며, 2024년 카타르의 실질 GDP는 7,130억 카타르 리얄(약 286조 9,100억 원)을 달성함.
- 또한, 2024년 비석유 부문은 전체 GDP의 약 64%를 차지하여 2023년(약 63%) 대비 꾸준한 성장률을 기록함. 전문가들은 카타르가 석유 및 가스 가격 하락 및 해당 자원에 대한 수요 감소 등 경제적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고 분석함.
o 카타르, 글로벌 경제자유지수에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2위로 상승
- 카타르는 헤리티지 재단이 발표한 2025 글로벌 경제자유지수(Economic Freedom Index)에서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 2위를 달성함. 최근 평가에서 작년의 68.8에서 1.4점 상승한 70.2를 기록했으며, 이는 국가의 무역 개방성 향상, 규제 효율성 개선, 재정 회복력 강화에 대한 성과를 보여줌.
- 한편, 2025 글로벌 경제자유지수에서는 카타르가 세금 부담(99.9), 재정 건전성(96.2), 무역 자유도(81.6) 등의 부문에서 강점을 보였다고 평가함. 카타르는 총점 70.2로 미국(26위)에 이어 글로벌 27위를 기록했으며, 전문가들은 카타르가 ‘국가비전 2030’에 입각한 경제 다변화 전략과 석유 부문 의존도를 낮추는 정책에 힘입어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함.
< 감수 :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The Peninsula Qatar, Qatar investing in AI education, workforce development, 2025.03.20.
The Peninsula Qatar, ‘Qatar stands out as regional leader in digital transformation’, 2025.03.21.
The Peninsula Qatar, Qatar Chamber launches 2025-2030 Strategy to achieve resource sustainability, develop services, 2025.03.22.
The Pinnacle Gazette, Qatar Chamber Launches 2025-2030 Strategy For Economic Growth, 2025.03.23.
The Peninsula Qatar, Prime Minister inaugurates first strategy of National Archives of Qatar 2025-2030, 2025.02.27.
Precedence Research, Qatar Signs Landmark AI Deal with Scale AI to Enhance Government Services, 2025.02.25.
The Peninsula Qatar, Qatar improves ranking in Global Economic Freedom Index in MENA region, 2025.03.23.
The Peninsula Qatar, Qatar to establish Steering Committee for Smart Government and Digital Leadership, 2025.03.17.
Gulf Times, Qatar Chamber launches 2025-2030 strategy to achieve resource sustainability and develop services, 2025.03.22.
The Peninula Qatar, ‘Qatar’s economy sustains growth and progresses steadily towards diversification’, 2025.03.21.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짐바브웨, 러시아와 국제사회의 제재 공동 대응 및 브릭스 가입 관련 협력 강화 | 2025-03-28 |
---|---|---|
다음글 | [월간정세변화] 美 국제개발처(USAID) 예산 삭감이 아프리카 원조에 미치는 영향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