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짐바브웨, 러시아와 국제사회의 제재 공동 대응 및 브릭스 가입 관련 협력 강화

짐바브웨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3/28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러시아-짐바브웨, 외교장관 고위급 회담 통해 역사적 우호관계 재확인

o 2025년 3월 6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외교장관 회담 개최 
- 세르게이 라브로프(Sergey Lavrov) 러시아 외교장관과 아몬 무르위라(Amon Murwira) 짐바브웨 외교·국제무역장관은 모스크바에서 역사적인 회담을 갖고 양국간 긴밀한 협력관계 강화 의지를 확인함. 이번 회담은 무르위라 장관이 2024년 10월 짐바브웨 외교·국제무역장관으로 임명된 이후 처음으로 진행된 것으로, 양국 간 평등과 상호존중 원칙에 기반한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함.
- 라브로프 장관은 에머슨 음난가그와(Emmerson Mnangagwa) 짐바브웨 대통령이 2024년 6월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에서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합의한 사항을 포함해 양자 파트너십 심화에 대한 불변의 의지를 높이 평가함. 이번 회담은 러시아의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과 특히 짐바브웨와의 관계 발전 의지를 상징하는 중요한 계기로 평가됨.

o 서방의 제재에 대한 공동 대응 협정 체결 
- 양국 외교장관은 회담을 통해 서방의 일방적 제재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협정을 체결함. 짐바브웨는 인권 침해 및 선거 불법행위 관련 의혹으로 미국과 유럽연합으로부터 20년 이상 제재를 받아왔으며, 짐바브웨 정부는 이러한 제재가 자국의 경제적 어려움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있음.
- 러시아 역시 2014년 크림반도 병합 이후 서방의 지속적인 제재에 직면해왔으며, 2022년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 이후 유럽연합은 15차례의 제재를 시행하여 모스크바의 국가 자산을 동결하고 거의 모든 무역 및 에너지 관계를 단절시킨 바 있음. 이번 협정은 양국이 제재로 인한 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상호 협력을 통해 경제적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됨.

☐ 주요 분야별 양자협력 확대 및 심화 합의

o  경제·무역·투자 협력 확대방안 논의 
- 라브로프 장관과 무르위라 장관은 지질탐사, 광물자원 개발, 에너지, 농업, 우주기술, 정보통신기술 등 유망 분야에서 공동 참여 기회를 모색하기 위한 추가 조치에 합의함. 특히 양국 무역진흥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해 짐바브웨 무역개발증진기구(ZimTrade)와 러시아 비즈니스협회(Delovaya Rossiya)는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여 짐바브웨에 대한 러시아의 직접 투자 증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함.
- 무르위라 장관은 짐바브웨와 러시아 간 정치적 유대관계가 ‘탁월하다’고 평가하며, 이를 ‘상호 호혜적인 경제 협력으로 전환’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함. 아울러 러시아는 짐바브웨와의 경제적 연관성을 바탕으로 아프리카 전역에 경제 협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양국은 러시아 기업이 전문지식을 제공하고 짐바브웨는 잠재적 러시아 파트너와 협력 가능한 분야를 제시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

o 교육·문화·안보 분야 협력 심화 
- 양국은 교육·문화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매년 짐바브웨 학생들에게 125개의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음. 수요가 명백히 증가함에 따라 러시아는 이 할당량을 늘릴 준비가 되어 있음을 표명하였고, 현재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의 짐바브웨 사이버교육센터는 500명 이상이 온라인 러시아어 과정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 수치는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안보 분야에서는 러시아가 짐바브웨 및 남아프리카 지역의 군대 전투 능력 강화, 군 인력 훈련, 보안 및 법 집행 기관 강화를 위한 지원을 약속하였다. 라브로프 장관은 아프리카 파트너들이 테러리즘, 마약 밀매, 조직범죄 및 기타 범죄 활동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음을 강조하였으며, 러시아는 아프리카 대륙에서의 분쟁 해결 및 안정화를 촉진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을 약속함.

☐  짐바브웨의 브릭스 가입 추진과 러시아의 지역 영향력 확대

o  짐바브웨의 브릭스 가입 지원 확약
- 무르위라 장관은 회담에서 짐바브웨가 브릭스(BRICS) 가입을 위한 정식 신청 단계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음난가그와 대통령은 2024년 6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푸틴 대통령과 함께 이에 대해 논의한 바 있음. 짐바브웨는 포괄적이고 공정한 세계, 특히 개발도상국을 위한 생태계 구축을 보장하는 비공식 협의체인 브릭스에 가입하기 위한 러시아의 지지와 지원을 기대하고 있음.
- 러시아는 짐바브웨의 브릭스 가입을 지지하고 있으며, 이는 브릭스가 확장되는 추세와도 부합함. 현재 브릭스는 13개 파트너 국가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는 나이지리아와 우간다를 포함한 3개의 아프리카 국가가 있음. 브릭스는 2006년 러시아, 브라질, 인도, 중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은 2010년에 가입함. 2024년 1월에는 이집트, 에티오피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를 포함하도록 확장됨.

o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한 과제 및 미래 전망
- 러시아-짐바브웨 관계는 다양한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음. 과거 러시아는 2014년 9월에 계약된 30억 달러(약 4조 3,000억 원) 규모의 다르웬데일(Darwendale) 플래티넘 광산 프로젝트를 포기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양국 간 경제 협력의 한계를 보여준 것으로 평가됨. 따라서 양국은 향후 실질적인 경제 협력 프로젝트를 구체화하고 실행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관찰됨.
- 짐바브웨 국회의장 제이콥 무덴다(Jacob Mudenda)는 2023년 3월, 러시아가 아프리카와의 관계를 재활성화하기 위해 새로운 장을 열었으나, 양자 간 합의와 선언이 적극적이고 신속하게 이행되지 않는다면 러시아의 영향력이 뿌리내리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함. 제1차 및 제2차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담, 2024년 11월 소치에서 열린 제1차 러시아-아프리카 파트너십 포럼 장관급 회의 등의 결과를 완전히 이행하기 위해서는 양국 모두 실질적인 약속과 행동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됨.

< 감수 :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Modern Diplomacy, Russia-Zimbabwe: An Analytical Review, 2025.3.14
APA News, Zimbabwe, Russia sign pact to counter sanctions, 2025.3.7
VOA, Zimbabwe is applying to join BRICS, foreign minister announces on Moscow visit, 2025.3.6.
The Zimbabwe Mail, Russia and Zimbabwe Sign Agreement ‘to Counter Sanctions’, 2025.3.7.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