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아프리카의 경제 회복력과 역내 포용적 성장에 대한 도전 과제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Samuel Igbatayo Afe Babalola University, Nigeria Professor of Economics 2025/03/25
첨부파일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론
아프리카 경제는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지역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천연자원에 대한 세계적 수요 약화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지역 경제 생산량은 지난 2020년에 -1.8%로 급격한 하락을 겪은 이후 2021년 4.6%로 회복되었으나, 2022년 3.6%, 2023년 3.1%로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제 관광업의 재개로 인한 경제 활성화는 2022년 아프리카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이었으나, 2023년에는 관광업 활성화에 대한 효과가 감소한 것으로 관찰된다.
그러나, 아프리카는 세계 최대 자유무역지대와 약 12억 명에 달하는 시장 규모를 기반으로 2025년 아시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알제리 등 주요 국가들의 잠재적 경제 성과는 역내 포용적 성장의 가능성을 제고하고 지역 경제를 빈곤의 악순환에서 번영의 선순환으로 끌어올릴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1980-2020년 경제적 성과에 나타난 아프리카의 경제 회복력
아프리카 국가들은 지난 1980-1990년대에 높은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심각한 경기 침체를 겪은 바 있으며, 이는 정치적 불안정 및 채무 증가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 속, 다수 아프리카 국가들은 세계은행(World Bank) 및 국제통화기금(IMF) 등에 금융 지원을 요청하였으며, IMF는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구제 금융 지원의 조건으로 역내 구조적 불균형을 완화하고 경제 자유화를 촉진하기 위한 구조조정프로그램(SAP: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을 제시하였다. SAP는 역내 다수 국가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수용되었으며, 동 국가들은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 SAP를 기반으로 포괄적인 경제 개혁을 시행, 거시경제 안정성을 제고하고 성장률을 증가시키며 회복력을 입증하였다.
특히, 2000년대 초 아프리카는 원자재 가격 상승, 거버넌스 개선, 외국인 투자, 서비스 부문 성장 등을 통해 GDP 성장률을 크게 증가시켰다. 동 기간 연간 GDP 성장률은 약 5.2%로 1980년대 대비 두 배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2000년대 초의 성장은 기존 아프리카의 경제 성장 전략(천연자원 의존)과는 대조적으로 정보 기술, 은행업, 소매업 등 서비스 부문의 기여를 통해 이루어졌다.
아울러, 맥킨지 글로벌 연구소(MGI)의 아프리카 경제 성장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 경제는 2000-2010년 간 광범위한 경제 성장을 경험하였으며, 동 기간 역내 실질 GDP는 연간 약 5.1% 상승하여 1990년대 대비 약 두 배에 달하는 성장률을 보였다. MGI는 강력한 글로벌 원자재 수요가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아프리카 광산업 붐을 촉발했으며, 동 기간 금속 가격이 약 3배 가량 상승했다고 설명하였다.
한편, 2010년대 후반 원자재 가격 하락은 아프리카의 경제 성장을 둔화시켰으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은 이러한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그러나, 아프리카는 코로나19의 영향에서도 빠른 회복세를 보였는데, 특히 원자재 수요 증가, 원유 가격 상승, 관광 규제 완화, 역내 국가들의 소비 및 투자 증가를 기반으로 아프리카 지역의 연평균 GDP가 2020년 -1.8%에서 2021년 4.6%로 급격하게 상승한 바 있다.
또한, 아프리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으로 인한 높은 식품 및 에너지 가격, 기후 변화,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의 정치적 불안정 및 분쟁 등으로 인해 2022년(3.7%)과 2023년(3.1%)에 성장률이 둔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23년 기준 15개 아프리카 국가들이 약 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된다. 동아프리카(르완다, 에티오피아 등)는 농업 부문의 성장과 인프라 개발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서아프리카는 코트디부아르, 세네갈 등의 강력한 경제 성과를 기반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북아프리카(이집트, 모로코 등) 역시 에너지 가격 및 관광 부문의 회복을 기반으로 점진적인 개선이 관찰되나, 남아프리카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전력 공급 문제 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느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4/25년 아프리카 주요 경제국 분석과 지역별 성장 전망
2024-25년 아프리카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은 ▲서비스 부문의 확장, ▲인프라 투자 증가, ▲자원 가격 안정화, ▲관광 및 수출 시장의 지속적인 회복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의 보고서는 아프리카의 실질 GDP 성장이 2023년 3.1%에서 2024년 3.7%, 2025년 4.3%로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2024년(3.2%)과 2025년(3.3%) 세계 평균 성장률 전망치를 상회하는 수치이다. 아울러,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구축을 통한 역내 무역 증가 가능성 역시 경제 성장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서 경제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지역별 성장세는 상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AfDB에 따르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경제는 2023년 2.4%에서 2024년 3.0%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26년에는 4% 성장이 예상된다. 또한 동아프리카 경제는 2023년 1.7%에서 2024년 2.2%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서아프리카는 2023년 3.3%에서 2024년 3.9%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아프리카의 10대 경제국(GDP 기준)은 아래 <그림1>과 같다.
자료: Agbetiloye, 2024
아프리카 경제의 핵심 도전 과제: 제도·행정적 역량 부족 및 높은 해외 시장 의존도
아프리카 경제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다양한 도전 과제 속에서도 강력한 회복력을 입증하며 경제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나, 지역 전반의 포용적 성장을 달성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기반으로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7% 이상의 경제 성장을 기록하며 아시아와 함께 빠른 경제 성장을 경험하였으나,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 성장은 '아시아의 기적(Asian Miracle)'과는 대조적으로 구조적 전환(structural transformation)을 동반하지 않았다. 실제, 아프리카 자원 부국들의 풍부한 천연자원은 정부 수입과 외환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다수 국가 내 공공 재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제도적·행정적 역량이 부족하여 이러한 이점을 역내 포용적 성장으로 전환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울러, 아프리카 자원 부국들의 글로벌 시장에 대한 높은 의존도 역시 지역의 포용적 경제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아프리카 자원 부국들의 풍부한 천연자원을 기반으로 한 수출 중심의 경제는 동 국가들 내 제도·행정적 역량 부족으로 인해 ‘경기순응성(pro-cyclicality)*’을 심화시켜 ‘자원의 저주(natural resource curse)’로 명명되는 부정적인 경제 성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일례로, 2000년대 초반 앙골라,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실질 공공 지출과 원자재 수출 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2015년 원자재 가격 급락 이후 앙골라와 나이지리아에서는 환율이 급격히 하락하였고, 3개 국가 모두에서 인플레이션율이 급등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다.
*경기가 호황일 때 정부 지출을 확대하고, 경기가 침체될 때 정부 지출을 축소하는 방식
결론 및 시사점
아프리카 경제는 1980년 시작된 경제 개혁, 원자재 가격 상승, 외국인투자 증가 등을 기반으로 2008-2009년 글로벌 경제 위기 및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등을 극복하며 강력한 경제 회복력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풍부한 천연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수출 중심의 아프리카 경제는 해외 시장에 대한 높은 의존도, 낮은 제도·행정적 역량, 일부 자원 부국에 집중된 경제 성장이라는 구조적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상황 속, 향후 아프리카의 포용적 경제성장 달성 여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며, 아프리카는 강력한 경제 회복력과 포용적 성장을 통해 2025년 아시아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으로 부상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자료>
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2007): Africa’s Natural Resources: The Paradox of Plenty. Available at: https://www.afdb.org/fileadmin/uploads/afdb/Documents/Publicatons/(E)AfricanBank2007 ch4.pdf/ Accessed: 15./12/2024.
(AfDB) (2024): African Economic Outlook 2024: Driving Africa’s Transformation. Available at: https://www.afdb.org/en/knowledge/publications/african -economic-outlook/Accessed: 10/12/2024.
Agbetiloye, A. (2024): Ten Largest Economies in Africa – IMF. Available at: https://africa.businessinsider.com/local/markets/10-largest-economies-in-africa-in-2024-imf/3t0f1j1?op=1/Accessed: 10/12/2024.
Igbatayo, S. (2021): The Korea Model: An Analytical Perspective on
StructuralTransformationandLessonsforSub-SaharanAfrica.AfeBabalolaUniversityPress,Ado-Ekiti,Nigeria.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2013): Boom, Bust, or Prosperity? Managing Sub-Saharan Africa’s Natural Resource Wealth. Available at: https://www. inf.org/en/Publications/Department-papers-policy-papers/Issues/2016/12/31/Boom-Bust-or-Prospeity-Managing-Sub-Saharan-Africas-Natural-Resource-Wealth-40476/ Accessed: 15/12/2024.
McKinsey Global Institute (MGI) (2020): Reimaging Economic Growth in Africa: Turning Diversity into opportunity. Available at: https://www.mckinsey.com/ ᷈ /media/mckinsey globalinstitute/ourresearch/reimagingeconomicgrowthinafricaturningdiversityintoopportunityreimaging-economic-growth-in-Africa-v6.pdf/ Accessed: 10/12/2024.
Reents, J. and K.Gern (2018): Economic Growth in Africa. Available at: https://africamonitor-ifw-kiel.de/datastories/growth_in_africa.html/ Accessed: 10/12/2024.
United Nation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 (UNECA) (2023): Building Africa’s Resilience to Global Economic Shocks. Available at: https://repository.uneca.org/ handle/10855/49992/ Accessed: 10/12/2024.
United Nations (2024): World Economic Situation and Prospects 2024. Available at: https://www.un.org/development/desa/dpad/publication/world-economic-situation-and-prospects-2024/ Accessed:10/12/2024.
World Bank (2024): Overview of the African economy. Available at: https://www.worldbank. org/en/region/afr/overview/ Accessed: 10/12/2024.
The English version of the original article can be downloaded below.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동향세미나] 가나, 원자력 발전소 후보지 안전성 검사 통과 | 2025-03-24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짐바브웨, 러시아와 국제사회의 제재 공동 대응 및 브릭스 가입 관련 협력 강화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