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중동 정책: 전략적 모호성과 지역 질서 재편 가능성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3/21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중동 외교 관련 특징 및 전략 변화
o 즉흥적 외교와 전략적 일관성 부족
-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2기 행정부의 중동 정책은 ‘대담하고 즉흥적인 외교(bold, unorthodox diplomacy)’와 ‘전략적 일관성 부족(lack of strategic coherence)’이 혼재된 양상을 보이고 있음. 이는 특히 ▲이스라엘-하마스 간 가자지구 휴전 협상 과정, ▲이란과의 갈등, ▲시리아 문제 등에서 부각되고 있는데, 일례로 미국은 테러단체로 지정한 하마스와의 직접적인 대화를 시도(3.5)한 바 있으며, 이에 이스라엘을 포함한 동맹국들은 미국의 장기적 전략에 대한 의문을 제기함.
- 이러한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 정책은 중동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돌파구를 마련할 가능성과 지역 불안정을 심화시킬 위험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이는 최근 美 행정부의 對이란 접근 방식에서도 확인되는데, 미국은 이란에 대한 ‘최대 압박(maximum pressure)’ 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알리 하메네이(Ali Khamenei) 이란 최고지도자에게 협상을 제안하는 등 모호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미국은 이라크에 이란으로부터의 에너지 수입을 허용한 바 있으나, 최근 동 사안에 대한 제재 면제를 철회
☐ 주요 중동 국가별 정책 추진 동향 및 각국의 반응
o 가자지구 통제 계획 발표 및 주요 국가들의 입장
- 트럼프 대통령은 벤야민 네타냐후(Benjamin Netanyahu) 이스라엘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2.4)에서 가자지구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이 가자지구를 통제하고 약 230만 명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영구적으로 이주시키는 방안을 제안(2.4)함.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가자지구를 소유하고 책임져야 한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하였으며, 이를 통해 가자지구를 ‘중동의 리비에라(Riviera)’로 변모시키겠다는 의지를 표명함.
- 이스라엘 극우파들은 동 계획에 대한 열렬한 지지 의사를 표명하였으나, 아랍 국가들과 국제사회는 동 계획을 크게 비판함.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요르단, 이집트 등 5개국 외교부장관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팔레스타인 주민들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침해하는 어떠한 시도도 거부한다”는 입장을 밝힘.
o 이란과의 관계에서 이중적 접근법 추진
- 트럼프 행정부의 對이란 정책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최대 압박 전략의 강화와 조건부 협상 제안의 이중 접근법으로 평가됨.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을 다룰 수 있는 방법은 두가지다. 군사적으로 대응하거나, 타협을 이루는 것”이라고 언급하였는데, 이는 이란과의 관계에 있어 외교적 해결책을 선호하면서도 군사적 개입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석됨.
- 이란은 이러한 트럼프 대통령의 이중적 전략에 대해 복합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음.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는 공개적으로 미국을 ‘약탈적 정부(bullying government)’라고 비난하였으나, 일부 이란 관료들은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확인됨.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의 접근 방식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였는데, 실질적으로 이란에 대한 경제 및 정치적 압력은 증가하고 있지만, 미국은 궁극적인 목표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함.
o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협력 강화 및 '아브라함 협정 2.0' 추진 가능성
-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첫 해외 정상과의 통화 상대로 무함마드 빈 살만(Mohammed bin Salman) 사우디 왕세자를 선택하였으며, 사우디 주최 '미래투자이니셔티브 우선순위 정상회의(Future of Investment Initiative Priority Summit)'에 참여하는 등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견고한 협력 관계를 확인함.
- 한편, 미국의 이란, 가자지구, 석유 정책 등에 대한 전략은 사우디의 이해관계 및 우선순위와는 다소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 특히, 이스라엘의 지속적인 군사 작전과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에 대한 소극적 태도는 이스라엘-사우디 협정 체결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파이살 빈 파르한(Faisal bin Farhan) 사우디 외교부장관은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독립적인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음. 이러한 상황 속,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기간 최대 외교적 성과 중 하나로 평가되는 '아브라함 협정(Abraham Accords)*'을 확장하여 '아브라함 협정 2.0'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이스라엘 간 국교 정상화 등에 중점을 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미국 중재 下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수단, 모로코)들이 외교 관계를 수립한 협정
o 시리아·이라크 내 미군 주둔 정책에 대한 내각 인사들의 입장
- 트럼프 행정부는 ‘끝없는 전쟁(endless wars)’을 종식시키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면서도, 시리아와 이라크의 미군 주둔 문제에 대한 명확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지 않고 있음. 시리아에는 현재 약 900명의 미군이 주둔하고 있으며, 이라크에는 약 2,500명의 미군이 이라크 보안군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Robert F. Kennedy Jr.) 미국 보건사회복지장관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시리아에 잔류중인 미군을 철수시켜 지역 분쟁의 ‘희생양’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고 밝힘. 그러나, 마이클 월츠(Michael Waltz)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은 지난 2019년에도 트럼프의 시리아 주둔군 철수 결정에 강력히 반대한 바 있어, 향후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시리아 및 이라크 정책에 대한 귀추가 주목됨.
☐ 향후 전망 및 시사점
o 미국의 중동 정책 전망 및 지정학적 영향
- 미국의 중동 정책은 트럼프 대통령의 ‘고립주의(isolationism)’ 성향과 일부 내각 장관들의 ‘활동주의(activism)’ 정책 간의 갈등이 반영될 것으로 보임. 일부 전문가들은 어느 한 쪽도 완전한 통제권을 획득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에 미국의 중동 정책 역시 양방향으로의 변화를 거듭할 것으로 관찰됨.
-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美 정책입안자들은 미국이 '아브라함 협정2.0' 등을 기반으로 지역 질서를 재편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그러나, 미국의 역내 영향력을 유지를 위해서는 동맹국과의 협력 강화가 필수적일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일정 수준의 군사적 주둔 및 개입 등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 감수 : 김은비 국방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Modern Diplomacy, Trump’s Middle East Policy: A Strategy of Improvisation or Uncertainty?, 2025.03.19.
Modern Diplomacy, Trump 2 and the New Middle East Dilemma, 2025.03.18.
Newsweek, Donald Trump Promised to Bring Peace to Middle East. Here's How It's Going, 2025.03.18.
New Lines Institute, Trump’s Middle East Policy and Its Impact on Saudi Arabia, 2025.03.13.
The Tahrir Institute, Priorities for President Trump’s MENA Policy, 2025.01.22.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Between Activism and Isolationism: What to Expect From Trump’s Middle East Policy, 2024.11.15.
Foreign Affairs, How Trump Could Reshape the Middle East, 2025.01.20.
Al Jazeera, US confirms direct talks with Hamas over Gaza captives, 2025.03.05.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미 행정부의 국제개발처(USAID) 프로그램 예산 삭감과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영향 | 2025-03-17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아프리카 청년층 해외 이주 위기 심화...실업난과 인프라 격차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