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카자흐스탄 공동 탐사 리튬 광산 생산 개시 예정
카자흐스탄 KOTRA 2024/06/21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들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록 자료의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관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o 6.13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산업건설부 장관은 최근 韓 지질자원연구원과의 공동 탐사를 통해 확인된 리튬 광산의 생산을 시일 내에 개시할 수 있다고 언급 - 카자흐스탄의 리튬 매장량은 최대 10만 톤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며, 채굴된 리튬을 향후 완공될 韓 기업 자동차 배터리 공정에 활용하는 것이 최상의 조건 |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o (동) 美·中 무역갈등 지속, 주요국 동 수출증대 및 재고량 증가로 가격 하방압력 발생했으나, 동 최대 소비국인 중국의 수입량 증대 및 칠레 주요 광산 생산 부진으로 상기 하방압력 부분 상쇄
o (니켈) 中 정부가 저탄소 경제전환을 위해 자국 철강산업이 ’25년까지 에너지 소비를 ’23년 대비 2% 삭감해야 한다는 목표를 발표하면서 니켈 가격 하방압력 발생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연료탄(호주 뉴캐슬 FOB 기준, ICE 기준), 원료탄(호주 FOB 기준, Premium Low Vol), 철광석(중국 주요항 CFR 기준, 62% 분광) o (철광석) 中 철강산업 에너지소비 감소계획에 따른 원재료 수요둔화 우려로 철광석 가격 하방압력 발생
o (유연탄) 中 경기부진 및 주요국 석탄발전 감소에 따른 하락세 시현 |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페로망간(중국 FOB 75%), 탄산·수산화리튬(중국 내수가격, 99.5%min, 56.5%min), 코발트(유럽 in-warehouse 99.8%min), 산화디스프로슘(중국 FOB 99.5%min), 산화네오디뮴(중국 FOB 99.5~99.9%)
o (코발트) 中 코발트 금속가는 中 국가물자비축국(SRB)의 비축소식에도 불구, 작년 中 코발트 생산 능력 확대로 공급과잉 상황 지속이 예상되며 전주 대비 가격 하락
o (페로망간) 中 페로망간 가격은 공급업체가 수요업체의 6월 인도분 입찰가를 기다리며 현물 거래활동 감소에도 제안가를 유지하며 전주 가격 유지
o (희토류) 산화 디스프로슘 및 산화 네오디뮴의 수출가는 원료비용 감소 및 시장 수요 감소에 따라 전주 대비 가격 하락세 유지
* 자료원: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등 o (원유) ▲세계 원유 수요 증가 전망, ▲후티 반군 선박 공격 지속 등으로 유가 상승압력 발생했으나, 美 원유 재고 증가 등은 상승폭 제한 - 석유수출기구(OPEC)은 6월 월간 보고서에서 ’24년 세계 석유 수요 증가 규모 전망을 225만 b/d로 유지 - 6.7일(현지시간) 기준 美 상업 원유 재고는 시장 예상과 달리 전주 대비 373만 배럴 증가 |
작성: KOTRA 글로벌공급망실, 참고: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우크라이나 현지정보_0620 | 2024-06-21 |
---|---|---|
다음글 | [러시아] 러 농업부 장관, “2024년 약 108헥타르의 연중 온실 건설 예정… 채소 생산량 최소 2만 톤 증가 할 것” |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