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북한 주변국의 대북제재와 무역대체 효과 무역구조, 북한경제

저자 최장호, 임수호, 이정균, 임소정 발간번호 16-08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6.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18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16년 1월, 9월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으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강도를 더해가고 있다. 이 보고서는 2006년 이후 대북제재가 북한과 그 주변국의 무역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다자ㆍ양자 대북제재의 역사와 내용, 쟁점을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북제재가 북한 무역에 미친 영향을 북한 무역의 중단ㆍ대체ㆍ우회ㆍ창조로 구분하여 정의한 뒤, 무역통계를 활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북ㆍ중 접경지역 대북사업의 역사를 개괄한 뒤, 대북제재 이후 사업가, 품목과 지역(단둥ㆍ옌벤)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향후 대북제재 변화 시나리오와 주요 쟁점,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대북제재의 역사와 내용, 쟁점을 검토하였다. 대북제재는 유엔이 주도하는 다자제재와 미국ㆍEU, 일본, 한국 등이 주도하는 양자제재로 나뉜다. 유엔의 다자제재는 2000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모두 6차례가 있었으며, 모두 북한의 핵 및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를 계기로 채택되었고 후속 결의안은 이전 제재결의를 재확인하면서 추가사항을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왔다. 유엔의 다자제재는 WMD 및 핵실험과 관련된 무역ㆍ금융ㆍ여행을 제약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1949년 제네바 합의에 따라 북한 주민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즉 비민생의 영역을 제약하는 수준에서 제재가 가해졌다. 반면 양자제재는 민생과 상관없이 북한과 경제ㆍ외교적 관계를 단계적으로 단절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미국의 제재는 한국ㆍ일본의 대북제재와 달리 1950년대부터 국내법에 근거하여 안보위협, 공산주의, 테러지원국, WMD 확산 등 4가지 이유로 시작되었으며, 대북 금수조치, 원조 및 금융지원 금지, 북한 관련 자산 동결, 무기수출입 금지, 관련자 입국 금지를 포함한다. 일본의 양자 대북제재는 북한이 일본인을 납치한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2006년 대북 수입 금지 및 관련 항공ㆍ선박 입항 금지, 관계자 입국 금지, 2009년 대북 수출 금지를 포함한다. 한국의 대북제재는 2008년 금강산 민간인 피격사건을 계기로 금강산 관광 전면 중단,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을 계기로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교역 중단, 2016년 개성공단 중단을 포함한다.
  제3장에서는 제재에 따른 북한과 주변국의 무역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북제재는 북한 무역에 변화를 야기하게 되는데, 이를 북한 무역의 중단ㆍ대체ㆍ우회ㆍ창조로 정의하였다. 무역중단은 2006년 일본의 대북제재로 인한 북ㆍ일 무역 약 1억 8,000만 달러(2004~06년 연평균 무역액), 2010년 한국의 대북제재로 인한 남북교역 3억 달러(2007~09년 연평균 무역액)에 이른다. 무역대체를 살펴보면 2006년 일본의 대북제재로 남북교역은 113.1% 증가하였고 북ㆍ중 무역은 95.2% 증가하였으며, 2010년 한국의 대북제재로 북ㆍ중 무역은 195% 증가하였다. 우회무역의 경우 2006년 대북제재 이후 북ㆍ중ㆍ일 무역이 북ㆍ중 무역의 약 2.1% (2007~09년 연평균)를 차지하였다. 2010년 대북제재 이후 북ㆍ중ㆍ한 우회무역은 북ㆍ중 무역의 약 5.6%(2010~12년 연평균)를, 북ㆍ중ㆍ일 우회무역은 약 2.6%(2010~12년 연평균)를 차지하였다. 일본과 한국의 대북제재로 인한 중국으로의 무역대체와 중국을 경유한 우회무역의 증가로 중국의 대북무역 규모는 상당한 규모로 증가하게 되었다.
  제4장에서는 대북제재가 접경지역의 대북사업 주최와 지역, 주요 무역상품, 북한 노동자의 중국 파견 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1990년대 대북사업은 조선족의 주도 아래 옌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2000년대 들어서는 한국인이 주도하는 한국인 경영-조선족 현지 중개인 형태로 단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무역주체는 5ㆍ24 조치 이후 한국인 경영-조선족 현지중개인의 형태가 중국 한족 경영-조선족과 북한 화교 현지중개인 형태로 변화하였다. 접경중심지는 지린성 옌벤에서 랴오닝성 단둥으로 이동하였다. 무역상품은 대북제재 이후 북한의 전통적인 무역상품인 무연탄과 철광석이 줄어드는 반면, 섬유와 수산물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북한 노동자의 중국 파견이 늘었다. 대북제재 이후 대북사업의 주체, 지역, 상품이 변하고 있으나, 북한의 무역은 제재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인적교류 측면에서는 오히려 늘어난 면이 있다.
  제5장에서는 대북제재 변화 시나리오와 쟁점, 파급효과를 전망하였다. 대북제재 강화의 핵심요인은 북한의 추가적인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 여부이다. 대북제재 강화 시나리오는 중국의 적극적인 참여와 미국의 대북제재 강화의 형태로 나타날 것이며 금융 분야 2차 제재, 북한의 주요 수출품인 석탄 및 철광석 수출 제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의류 및 수산물 등 임가공품의 수출 제재, 북한 해외파견 근로자의 차단 등을 포함할 것으로 보인다. 제재 완화의 핵심요인은 북한의 핵을 포함한 대량 살상무기 문제 해결이다. 대북제재 완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UN의 대북제재는 최소한 2006년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일본의 대북제재 완화는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의 대북제재 해결은 관련 법률의 폐기나 수정, 북한 적용 제외 등의 조치가 필요하여 매우 복잡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대북제재 강화 혹은 완화를 결정하는 핵심 변수는 북한의 행동 변화, 한ㆍ미ㆍ일의 정책 변화, 중국의 정책 변화 등 세 가지이며, 이 변수들의 변화 양상에 따라 어떠한 형태의 강화나 완화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대북제재 변화의 파급효과는 강화로 인한 효과와 완화로 인한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제재 강화 시 북한의 무역은 전면 중단될 것이며, 인도적인 목적의 긴급구호 정도만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대북제재 완화 시에는 2006년과 2010년 대북제재로 중단된 북한의 대한ㆍ대일 무역이 빠르게 제재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한편, 대중 무역과 대중 무역을 통한 우회무역은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sanctions are getting tighter due to North Korea’s continued nuclear missile tests in January and September 2016. This report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on its neighboring countries' trade. First, in the 2nd chapter we analyzed the history, main contents, and issues of multilateral and bilater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the 3rd chapter we categorized North Korea’s trade into termination, substitution, detour, creation, and provided empirical analysis using trade data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oncept of detour trade among the concepts of termination, substitution, detour, and creation in trade as a result of sanctions. In general, detour trade(sanction target country-3rd country-sanction sender country) is a trade that makes a detour via a 3rd country in order to avoid sanctions by the sanction sender country, which is based on illegality. However, detour trade concept used in this research is similar to the usual usage of the term in that it maintains the trade route using a detour, but is different in that i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illegal. In this research detour trade encompasses both legal and illegal trade. Legal detour trade is trade that abides by the customary rules of origin. For example, if an item that is traded on a detour from North Korea to a 3rd country via China is 60% produced by China and 40% by North Korea, then its origin is legally China. Therefore in this case even if the item had been in part manufactured in North Korea, it will not be subject to sanctions.
. In the 4th chapter we surveyed the history of cross-border business in the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and how the how the main actors and locations(Dandong and Yanbian) of the cross-border business changed after the sanctions, and how export items changed through trade statistics analysis. Finally in the 5th chapter we analyzed the future scenario, issues and implications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pecifically,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history, and the main contents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re divided into multilateral sanctions led by the United Nations and bilateral sanctions imposed by the US, EU, Japan, South Korea and others. Up until now, there have been a total of six sanctions, and all were adopted due to the test-launch of North Korea's nuclear and long-range missiles. The United Nations resolutions have been strengthened gradually and continually to include additional points while reaffirming the previous sanctioning resolutions. The United Nations multilateral sanctions focus on WMD, nuclear tests and constraints on relevant trade, finance and travel, and in line with the Geneva agreement in 1949, there is no direct effect on the lives of residents of North Korea. In other words, sanctions were enforced so that it does not restrict ??civilian life, and only restrict non-civilian activities.
  Meanwhile, bilateral sanctions were imposed at a level that discontinued economic and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gradually notwithstanding consideration for civilian activities. Unlik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by South Korea and Japan, the United States has stated four reasons based on domestic law, such as security problems, communism, terrorism aid country, WMD diffusion, etc. The sanctions were imposed by the U.S. since the 1950s, which includes ban on aid and financial support, freezing of assets related to North Korea, embargo of weapons, and prohibition of entry by stake holders. Japan'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d been initiated on the grounds of North Korea‘s abduction of Japanese citizens, and features a ban on imports against North Korea, the banning of related aircraft and ships, entry prohibition of stake holders in 2006, and banning exports to North Korea in 2009. South Korea'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cludes the discontinuation of Mt. Geumgang tourism triggered by the attack on a South Korean civilian in 2008, the complete discontinuation of trade relations excep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riggered by the 2010 Cheonan ship attacks, and in 2016 discontinua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 Chapter 3, we analyzed the changes in trade between Nor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due to sanction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riggered changes in North Korea’s trade, which can be divided into trade termination, trade substitution, detour trade, and trade creation. Trade termination was due to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by Japan in 2006 and amounts to about $ 180 million(annual average trade value between 2004 and 2006), and from the South Korea’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2010, which amounts up to $300 million in trade termination(annual average trade amount between 2007 and 2009). As for trade substitution, inter-Korean trade increased by 113.1% in 2006, North Korea and China trade increased by 95.2% to Japan’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North Korea-China trade increased by 195% due to South Korea’s sanctions in 2010. Detour trade North Korea-China-Japan amounts to about 2.1% of total North Korea-China trade(annual average of 2007 to 2009). After the 2010 South Korean sanctions, North Korea-China-South Korea detour trade amounted to about 5.6%(annual average between 2010 and 2012), North Korea-China-Japan detour trade amounted to about 2.6% (annual average between 2010-2012) of North Korea-China trade. Trade substitution to China and increase in detour trade via China due to Japan and South Korean sanctions increased China-North Korea trade to a considerable extent.
  In chapter 4, we analyzed how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mpacts the businessmen and location of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and changes in major trade items as well as dispatch of North Korean workers to China. In the 1990s cross-border business was usually managed by the Chaoxianzu, or the ethnic Koreans in Northeast China, and centered on the Yanbian region. In the 2000s, cross-border business with North Korea was led by the South Koreans in the form of South Korean management and Chaoxianzu local brokers, mainly staged in Dandong. After the 5ㆍ24 measures, the major trading entity has changed its form from South Korean management - Chaoxianzu local broker to Han Chinese management ? Chaoxianzu and ethnically Chinese North Korean broker. The center of cross-border transaction shifted from Yanbian, Jilin Province to Dandong, Liaoning Province. In terms of trade items, North Korea’s traditional trade items such as anthracite and iron ore decreased after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ile the growth of trade in textiles and marine products trade is remarkable. Finally, the number of North Korean workers sent to China has increased. After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subjects, regions and products of the cross-border business with North Korea project have changed, but while North Korea's trade has not been greatly affected by sanctions, human interaction has rather increased.
  In chapter 5, we forecasted scenarios, issues and ripple effects on changes i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 important factor in strengthen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s whether North Korea will conduct additional nuclear tests and long-range missile tests. Contents of the U.S. strengthening it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based on active participation by China include secondary sanctions in the financial sector, restrictions of the main export goods of North Korea which are coal and iron ore, restrictions on trading processed goods such as clothes and marine products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sectors for North Korea, as well as restrictions of dispatch of overseas workers. If the problem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is resolved,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can be relieved at the level of sanctions enforced in 2006. Relaxation of South Korea’s and Japan’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can be done relatively smoothly. However, the U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can be extremely complicated as it is necessary to dispose of relevant laws, amendments, and exemptions for North Korea. More importantly,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determine whether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hould be strengthened or mitigated can be three-fold, such as changes in North Korea's behavior, changes in South Korea, the US and Japan's policies, and changes in China's policies.
  The ripple effect of the change i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as analyzed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effect of strengthening and the effect of relaxation. In the case of strengthening the sanctions, North Korea's trade will be totally suspended and only emergency supplies based on humanitarian purposes will be sustained. The effect of alleviation of sanctions will result in rapid increase in trade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and inter-Korean trade, whereas trade and detour trade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will rapidly decrease.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배경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2장 대북 경제제재의 주요 내용

1. 대북 경제제재의 흐름과 개요
2. 유엔제재
가. USCR 1695(2006. 7. 15)
나. USCR 1718(2006. 10. 14)
다. USCR 1874(2009. 6. 12)
라. USCR 2087(2013. 1. 22)
마. USCR 2094(2013. 3. 7)
바. USCR 2270(2006. 3. 3)
사. USCR 2321(2016. 11. 30)
3. 양자제재
가. 미국
나. 일본
다. 한국


제3장 제재와 무역변화

1. 무역변화
가. 개념
나. 유형별 측정
2. 무역변화 추정
가. 무역중단과 창조
나. 국가간 무역대체
다. 중국을 경유한 우회무역
라. 소결


제4장 접경지역 북ㆍ중 경제협력 변화 실태조사

1. 대북제제가 북ㆍ중 무역주체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양자제재(5ㆍ24 조치)를 중심으로
2. 대북제재 이후 주요 북ㆍ중 무역상품의 변화: 수산물, 농산물, 광물, 의류를 중심으로
가. 2000~05년 북한의 對중국 주요 수출입 품목
나. 2006~10년 북한의 對중국 주요 수출입 품목(대북제재 시기)
다. 2011~16년(9월) 북한의 對중국 주요 수출입 품목 (대북제재 시기)
3. 북ㆍ중 무역의 지역적 변화와 주요 거래 품목: 랴오닝성, 지린성을 중심으로
4. 북ㆍ중 접경지역의 새로운 경협 형태: 북한 노동자의 중국 파견
5. 소결


제5장 제재의 변화와 파급효과 전망

1. 제재의 변화 시나리오와 쟁점
가. 제재 강화
나. 제재 완화
다. 추정을 위한 추가적 검토
2. 제재의 파급효과 전망 
가. 제재 강화의 파급효과
나. 제재 완화의 파급효과


제6장 결론

1. 요약 
2. 시사점 및 정책제언
가. 대북제재의 주요 쟁점
나. 대북제재의 성과
다. 예상하지 못했던 대북제재의 효과
라. 북한의 교역환경 변화
마. 대북제재 강화를 위한 중국의 공조 필요
바. 남북 경제교류 전망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58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국경간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농업과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2022-12-20 Working paper Analyzing DPRK's Food Supply and Demand Condition with Food Culture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 경제·안보의 블록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연구보고서 중국의 통상환경 변화와 국가별 상품 간 수출 대체가능성 연구 2021-05-28 연구보고서 한ㆍ중ㆍ일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의 GVC 연계성 연구 2021-06-30 연구보고서 일방적 통상정책의 국제적 확산과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2020-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의 관광정책 추진 동향과남북 관광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0-08-03 연구보고서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2016년 대북제재 이후 북한경제 변화와 신남북협력 방향 2019-12-30 연구보고서 신남방지역의 가치사슬 분석과 교역 확대 및 고도화 방안 2019-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포용적 통상국가 실현을 위한 추진전략 연구 2019-12-30 연구자료 미얀마의 대외관계 정상화 경험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2019-09-06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