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 유망국가 산업연구: 방글라데시의 주요 산업-교통인프라, 통신 경제개발, 경제협력

저자 송영철, 이정미 발간번호 13-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3.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28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방글라데시는 2000년대 후반 미국발 금융위기와 이후 세계경제위기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년간 5~6%의 꾸준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비록 천연자원은 부족하지만 약 1억 5,000만 명의 풍부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청년층 노동비중이 높아 미래시장으로서 높은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높은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사회간접자본시설 등은 방글라데시의 고속성장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 향후 방글라데시가 고속성장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도로, 철도, 항공, 항만 등의 교통인프라는 물론 통신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개발이 필수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위해 방글라데시 정부는 각종 중장기 개발계획은 물론, 관련 산업정책, 로드맵 등을 마련, 구체적인 프로젝트 시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글라데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개발에 대한 의지는 우리 기업의 진출기회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동 보고서는 방글라데시의 교통인프라와 통신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리 기업의 방글라데시 해당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아울러 진출기회 모색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동 보고서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범위, 방법론 등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다. 2장은 방글라데시의 거시경제와 산업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또한 방글라데시의 주요 국가개발계획과 산업정책에 대해 다루었다. 3장과 4장에서는 각각 교통인프라, 통신 산업의 개황, 세부산업별 현황, 관련 주요개발계획과 정책, 진출사례, 성장잠재력 및 전망에 대해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앞서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방글라데시 교통인프라 및 통신 산업 협력 방향을 설명했고 또한 각 산업별로 우리 기업의 진출기회와 전략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대방글라데시 산업협력 방향으로 △대외개발협력기금의 활용 △국제개발자금 활용 △공동 프로젝트 개발펀드 조성 △개발협력 외교역량 강화 등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한편 산업별 진출기회 및 전략의 경우 먼저 교통인프라 부문은 해외개발협력기금과 해외개발자금을 활용하여 비교적 부가가치가 높은 방글라데시의 대규모 교량사업과 철도 분야(통신, 신호시스템 등), 인프라 설계, 감리 등의 진출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설명하였다. 한편 통신 분야의 경우 교통인프라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와의 해외개발 자금을 활용하여 단기적, 중기적으로는 유선, 무선 등의 통신 인프라 개발 분야에 집중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소프트웨어, IT기반 솔루션 등 부가서비스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설명했다.

머리말  
국문요약  


Ⅰ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방글라데시의 경제동향 및 산업구조 
1. 거시경제 및 산업구조 
가. 최근 거시경제 동향 및 전망  
나. 산업구조와 특징 
2. 주요 국가개발계획 및 산업정책 
가. 중장기 국가개발계획 
나. 산업정책 및 전략 
다. 민관협력(PPP) 및 외국인투자 정책 


Ⅲ 교통인프라 산업 
1. 산업 개황 
2. 세부 산업별 현황 
가. 도로  
나. 철도 
다. 항만 
라. 공항 
3. 주요 개발계획 및 정책 
가. 도로, 교량 및 관련 인프라 
나. 철도 및 관련 인프라 
다. 항구 및 관련 인프라 
라. 공항 및 관련 인프라 
4. 최근 진출사례 
가. 삼일회계법인, 데코컨설턴트: F/S 프로젝트 수주 
나. LS산전: 철도신호 시스템 
5. 성장잠재력 및 전망 
가. 개발예산 규모 
나. 분야별 개발계획 및 목표 
다. 주요 개발 분야 및 프로젝트 
라. SWOT 분석 


Ⅳ 통신산업 
1. 산업 개황 
2. 세부 산업별 현황 
가. 유선통신(유선전화) 
나. 무선통신(모바일) 
다. 인터넷 서비스 
라. 소프트웨어 및 IT기반 서비스 
3. 주요 개발계획 및 정책 
가. 디지털 방글라데시 
나. PPP 및 외국인투자 정책 
4. 최근 진출사례 
가. KT: 통신망 현대화 프로젝트 
나. SK C&C: 정부통신망 프로젝트 
5. 성장잠재력 및 전망  
가. 분야별 성장잠재력  
나. 주요 잠재 성장 분야
다. SWOT 분석 


Ⅴ대(對)방글라데시 산업협력 방향 및 진출 전략 
1. 교통 인프라 및 통신산업 협력 방향 
가. 대외개발협력기금(EDCF) 활용 
나. 해외개발자금 활용 
다. 공동 프로젝트개발펀드 조성 
라. 개발협력 외교역량 강화 
2. 우리 기업의 진출기회 및 전략 
가. 교통 인프라 산업 
나. 통신산업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주요 유관기관 
부록 2 주요 기업 
부록 3 주요 진출 한국기업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415
판매가격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타 2024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5-04-30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Strengthening Korea’s Economic and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frica: Focusing on Key Agendas of the 2024 Korea-Africa Summit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