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Determinants of Exports: Productivity or Fixed Export Costs 무역정책, 자유무역

저자 Young gui Kim, Jeongmeen Suh 발간번호 10-06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39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수출성과 결정요인으로서 생산성과 수출고정비용에 관한 이론적 틀을 개발하고 이에 기반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Melitz(2003)의 연구 이래 기업의 수출성과와 생산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려는 연구들이 여러 차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Melitz(2003)의 이론적 모형을 확장하여 기업의 이질성을 생산성과 수출고정비용이라는 두가지 측면에서 고려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업의 생산 성이 낮더라도 상대적인 수출고정비용이 낮은 경우에는 수출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실증분석 결과들의 논쟁을 해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기업수준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기업의 수출여부를 결정하는 데는 생산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수출비중을 결정하는 요소로서는 수출고정비용이 더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 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to take several key determinants of exports into consideration and to propose an empirical model to identify which factors affect firms’ export performance, whether to start exporting (export extensity) and how much they will export (export intensity). Extending the Melitz (2003) model, in our theoretical part, we consider firm heterogeneity in two dimensions; fixed cost as well as productivity. As a result, when a firm with low productivity engages in exporting, there can also be a higher productive firm facing relatively high fixed cost. This allows us to resolve the difficulty in interpreting controversial empirical results, for example, whether productivity or firm size is a key determinant of export. Furthermore, in our empirical part, by using Korean firm-level data, we conclude that produ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when a firm decides whether to start exporting, while fixed export costs variable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fractions of outputs to be exported.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Model 
1. Basic Elements 
2. A Benchmark Case: Autarky 
3. Open Economy 
4. Policy Implications 


III. Empirical Model 
1. Data 
2. Variables 
3. Estimation Model 


IV. Conclusion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48
판매가격 3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보호무역정책의 정치경제적 결정요인 연구: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EU의 기후중립 전략기술 육성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주는 함의 2024-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력과 공급망 구조 분석 2024-12-27 연구자료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2024-11-08 Working paper The Recent Rise of the Far Right and Voters’ Anti-Refugee Attitudes in Europe 2024-11-2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2024-10-11 기본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기본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하이난(海南) 자유무역항의 무역·투자자유화 성과와 시사점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 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기본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