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중국의 미래 내수시장 형성전략과 시사점: 중부지역의 4대 도시군 형성전략을 중심으로 경제개발, 경제발전

저자 중국권역별·성별 연구단 발간번호 10-1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24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중국은 과거 외국인직접투자와 대외수출에 의존하던 경제성장방식에서 벗어나 소비, 투자, 수출의 균형 있는 발전을 꾀하게 되었다. 특히 내수시장에서 경제침체의 돌파구를 찾고 있다. 이러한 내수 중심의 성장패러다임 전환은 지역발전전략과도 맞물려 있다. 2009년부터 본격화된 중부지역 발전전략인 “중부굴기(中部崛起)” 전략은 중부지역 도시화 및 도시군 형성을 핵심내용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되어 온 중국 내수시장 관련 연구는 중국 지역발전전략의 시기별 추이에 따라 동부연해지역에서 서부, 동북지역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어 왔다. 그러나 중부지역에 대한 연구자료는 아직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더욱이 중부지역을 도시군의 관점에서 연구한 사례는 국내외적으로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미래 내수시장 핵심을 중부지역 도시군으로 보고, 중부 6개 성 가운데 4대 도시군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대상은 후베이(湖北)성의 우한(武漢)도시군, 후난(湖南)성의 창주탄(長株潭)도시군, 허난(河南)성의 중위안(中原)도시군, 안후이(安徽)성의 완장(皖江)도시군이다. 
먼저 중부굴기전략 및 도시화 전략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본 후, 연구대상인 중부 4대 도시군이 중국 및 해당 성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위상과 특징을 주요경제지표를 통해 분석했다. 또한 베이징, 상하이, 선전, 칭다오, 청두 등 5개 대도시와 성장성(GRDP, 1인당 GRDP, 성장률), 시장성(시장규모, 소비성향), 활용성(임금수준, 대학 재학생 규모), 개방성(대외무역규모, FDI)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부도시군은 경제규모와 발전수준 등이 비교적 낙후되어 있었지만, 성장속도나 투자여건 등에서는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했다.      
각론에서는 연구대상인 4대 도시군별로 주요 도시의 현황을 소개하고, 도시군 발전전략을 평가하였다. 또한 내수시장을 크게 생산재 시장, 소비재 시장, 프로젝트 시장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현황 및 특징을 분석하고, 외자기업의 진출 현황 및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신규 또는 확대진출을 모색하는 우리 기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4개 도시군은 중장기 발전전략에서 모두 자원절약형ㆍ환경친화형 사회를 건설하고 동부 연해지역의 산업 이전을 적극 수용하겠다는 공통된 구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각 지역의 유사한 발전목표와 산업구조로 인해 중복투자의 우려가 크다. 때문에 시장과 산업기반이 탄탄하면서 지역정부의 지원의지가 확고한 지역 특화산업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입시장과 산업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살펴본 생산재시장의 경우, 4대 도시군이 속한 중부 4개 성의 수입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과 중국 전체 수입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한국의 중부지역 수입시장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부지역의 각 성별 수입시장의 규모와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제품수출전략이 필요하다.
소득수준 상위 20%에 속하는 그룹을 핵심 소비주체로 보았을 때 4개 성의 핵심 소비주체 규모는 상하이시의 핵심 소비주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소비구조상으로는 상하이시 핵심 소비주체와 달리 식품, 의복, 주거 등의 기초소비 지출비중이 교통ㆍ통신, 교육ㆍ문화ㆍ오락 등 서비스에 대한 지출비중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내구소비재에 대한 지출이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하이시보다 높았으나, 보급률은 여전히 상하이시보다 낮아 잠재시장규모가 막대하며, 특히 에어컨, 휴대폰, 컴퓨터, 컬러TV의 잠재시장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부 4개 성의 외국인직접투자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반적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 지방정부 및 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십 구축, 독자적인 기술력 확보, 비(非)핵심도시로의 진출, 현지인 채용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적극적인 진출을 모색해야 한다.

After global financing crisis in 2008, China broke from the economic growth model which mainly depends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xport and tried to find a balance among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 especially focusing on development of domestic market. This change of paradigm of economic growth which is emphasizing on domestic demand is closely related to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And the strategy of developing central region in China, in other words, the strategy of the rise of Central China whose keystone is urbanization and developing megalopolis has been progressed since 2009.
The scope of existing researches about Chinese domestic market in Korea has been extended from eastern region to western region and northeastern region, while the researches about central region are relatively few. Besides, the research about central region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megalopolis is extremely rare. Therefore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re of future domestic market in China is megalopolis in central region, this study selected four main megalopolises among six provinces in central China, which are Wuhan megalopolis in Hubei province, Changzhutan megalopolis in Hunan province, Zhongyuan megalopolis in Henan province, and Wanjiang megalopolis in Anhui province.   
First, this report went through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rise of central China and analyzed economic features of the four megalopolises using several main economic indicators. Also, it made a cross- comparison of growth possibility(GDP, GDP per capita and growth rate), marketability(market size, consumer propensity), human resources (wage level, number of college graduates), and openness(the size of foreign trade, FDI) in five major cities such as Beijing, Shanghai, Shenzhen, Qingdao and Chengdu. As a result, it proved that the central China contains great potential in the speed of growth and investment environment though not being in superior position to other regions in terms of the economic indicators.
As for each megalopolis, we introduced the status of major city and evaluated megalopolis development strategy. Then we divided Chinese domestic market into three markets-industrial market, consumer market and project market and analyzed each market’s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 Finally we provided some implication to Korean enterprises which are searching for the chance to enter into central market in China through introducing some cases of foreign invested companies in those regions.
The four megalopolises clarify common ideas on its long-term development strategy which are to establish resource-saving and eco-friendly society and accept the industry  relocation from the East coastal region in China. It is much concerned that overlapping investment would occur due to similar plans and indistinctive industrial structure.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discover business projects fully supported by the local government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In case of industrial market which consists of import market and industrial network, the market share of Korea in the import markets in those four provinces is not big compared with that of Korea in total import market in China. Therefore the differentiated export strategy considering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rovince’s import market is mostly needed.
As for the core consumer whose income level in upper 20%, the scale of the four provinces is comparable to that of Shanghai. However, people in the Provinces spend more on necessities(food, clothes, housing, etc.) than on service goods(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culture and entertainment, etc.).
Meanwhile, data shows the proportion of durable goods in Provinces is relatively higher than in Shanghai, whereas their penetration rate is still remains lower. These figures lead to the room for huge potential markets of durable goods such as air conditioner, mobile phone, computer and color TV.
While the share of Korean investment in total FDI in four provinces of China is mostly insignificant level, the biggest advantage in investing those provinces is geographical cond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find out market entry with the strategies such as far-sighted perspective, partnership with local government and local firm, development of own technology, local employment, entering into non-core cities.

국문요약 


제1장 서론(김부용, 정지현)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기존 연구의 검토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중국의 지역발전전략과 중부굴기(이상훈) 
제1절 중국의 지역발전전략 
1. 시기별 지역발전전략의 추이 
2. 공간적 지역발전전략 
제2절 중부지역 발전전략: 중부굴기(中部崛起) 
1. 중부굴기 발전전략의 추진 배경 및 의의 
2. 중부굴기 발전전략의 주요 내용 
제3절 도시군(城市群) 발전전략과 중부굴기 
1. 새로운 지역발전전략 모델: 도시군 발전전략 
2. 중부굴기와 도시군 발전전략 


제3장 중부 4대 도시군의 경제적 위상(정지현) 
제1절 중부 4대 도시군의 중국 내 위상 
제2절 중부 4대 도시군의 중국 5개 대도시 대비 특징
1. 성장성 
2. 시장성 
3. 활용성 
4. 개방성 


제4장 우한(武漢)도시군 발전전략 및 내수시장(정지현, 최보연) 
제1절 우한도시군 개황 
1. 도시군 개황 
2. 주요 도시 경제 현황 
3. 요약 및 특징 
제2절 우한도시군 발전전략 
1. 발전전략의 형성 
2. 발전전략의 내용 
3. 발전전략의 평가 
제3절 시장잠재력 분석 
1. 생산재 시장 
2. 소비재 시장 
3. 프로젝트 시장 
제4절 외자기업 진출 현황 및 사례 분석 
1. 외자기업 진출 현황 
2. 기업사례 분석 


제5장 창주탄(長株潭)도시군 발전전략 및 내수시장(이혁구, 오종혁)  
제1절 창주탄도시군 개황 
1. 도시군 개황 
2. 주요 도시 경제 개황 
제2절 창주탄도시군 발전전략 
1. 발전전략의 형성 
2. 발전전략의 내용 
3. 발전전략의 평가 
제3절 시장잠재력 분석 
1. 생산재 시장 
2. 소비재 시장 
3. 프로젝트 시장 
제4절 외자기업 진출 현황 및 사례 분석 
1. 외자기업 진출 현황 
2. 기업사례 분석 


제6장 중위안(中原)도시군 발전전략 및 내수시장(김부용, 이상훈) 
제1절 중위안도시군 개황 
1. 도시군 개황 
2. 주요 도시 경제 현황 
3. 요약 및 특징 
제2절 중위안도시군 발전전략 
1. 발전전략의 형성 
2. 발전전략의 내용 
3. 발전전략의 평가 
제3절 시장잠재력 분석 
1. 생산재 시장 
2. 소비재 시장 
3. 프로젝트 시장 
제4절 외자기업 진출 현황 및 사례 분석 
1. 외자기업 진출 현황 
2. 기업사례 분석 


제7장 완장(皖江)도시군 발전전략 및 내수시장(노수연, 임민경) 
제1절 완장도시군 개황 
1. 도시군 개황 
2. 도시별 주요 경제 현황 
3. 요약 및 특징 
제2절 완장도시군 발전전략 
1. 발전전략의 형성 
2. 발전전략의 내용 
3. 발전전략의 평가 
제3절 시장잠재력 분석 
1. 생산재 시장 
2. 소비재 시장 
3. 프로젝트 시장 
제4절 외자기업 진출 현황 및 사례 분석 
1. 외자기업 진출 현황 
2. 기업사례 분석 


제8장 결론(이혁구, 이상훈, 정지현, 노수연, 최보연, 임민경) 
제1절 요약 
제2절 종합 및 비교 
1. 중국 미래전략의 교차 
2. 잠재력 현실화의 집중점 
3. 수입시장 확대전략 
4. 품목별 잠재시장 평가 
5. 핵심 소비주체의 규모와 성향 
제3절 시사점 
1. 정책적 시사점 
2. 기업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356
판매가격 1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Global Supply Chains in a Post-Covid Multipolar World: Korea’s Options 2022-10-2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벨라루스 디지털 경제 발전과 한·벨라루스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연구자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한ㆍ러 경협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과제 2021-12-24 ODA 정책연구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021-08-31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