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우리나라 다자원조 추진 전략과 정책과제 경제개발, 경제발전

저자 정지원, 권율, 한바란, 정지선, 박수경 발간번호 10-2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45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우리나라 다자원조 추진 전략과 정책과제
우리나라는 2010년 개발원조위원회(OECD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가입 이후 ODA 규모 증대는 물론 원조정책의 선진화를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 이에 따라 다자원조 규모도 점차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유엔 및 국제기구에 대한 분담금 및 기여, 국제개발은행에 대한 출자 및 출연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영향력 확대, 조달시장 진출 기회 증대, 양자원조와 다자원조의 상호 연계 등 다양한 정책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국제적인 다자원조 현황 및 논의 쟁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다자원조의 추진 전략과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AC 회원국들의 다자원조 추이, 유엔(UN)의 조직과 유엔기구의 재원 구성 및 현황, 그리고 다자개발은행별 재원 현황 및 주요 회원국의 출자‧출연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최근 다자원조 현황과 주요 활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 세계 다자원조 규모는 2008년 기준 약 355억 달러에 달해 총 ODA의 26%가량을 차지하였으며, 같은 기간 우리나라 다자원조 규모는 2억 6,800만 달러였으나 우리나라 총 ODA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로 DAC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덴마크, 호주, 스위스의 다자원조 현황 및 전략을 살펴보았다. 덴마크는 1990년대 중반에 이미 다자전략을 마련하였으며, 최근에는 개발협력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다자전략을 수립하는 등 DAC 회원국 중 가장 체계적으로 다자원조를 추진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다자원조의 효과성 평가를 위한 국제적인 공조는 물론 자체적인 평가 수단을 갖추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호주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규모의 다자원조를 운영하고 있는 국가로 유엔기구보다 다자개발은행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다는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호주는 지정기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특징인데, 지정기여를 통해 아시아‧태평양지역에 대한 지정학적 관심을 충족하고 효과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점은 우리나라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스위스는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이원화된 원조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나, 다자원조의 전략적 추진을 위하여 개발협력청과 경제사무국이 공동의 다자개발전략을 수립한 점이 큰 특징이다.
4장에서는 다자원조의 분절화 및 지정기여의 확대 추세에 따른 영향, 경제위기 이후의 다자개혁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자기구 성과 평가네트워크(MOPAN: Multilateral Organisation Performance Assessment Network) 중심으로 한 다자원조 효과성 평가체제를 분석하고 최근 증가하는 글로벌 펀드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원조 조달시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개발원조 조달시장 진출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우리나라의 다자원조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우리나라는 다자원조에 관한 종합적인 전략 마련과 지원 대상의 선택 및 집중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다자원조의 70%를 차지하는 국제개발은행에 대한 지원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체계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중점 협력 대상기구와의 중장기적 협력방향을 담은 포괄적 협력협정 체결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향후 다자원조 규모 확대를 위한 과도기적 대안으로서 지정기여 확대를 제안하였다. 아울러 선진공여국의 다자기구 모니터링 및 평가에 공동으로 참여하여 다자기구의 운영과 집행에 있어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발휘하고, 그 결과를 우리나라 다자원조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제기구 인력 진출 및 조달시장 참여 확대를 각각 양자원조의 질적 제고와 국민의 개발원조에 대한 관심 고취라는 측면에서 다자원조 수립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제시하였다.

Korea tries to play an active role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mmunities as a new member of th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Korea has taken steps to strengthen its position as a donor by increasing its aid volume and quality. In this context, Korea’s engagement with multilateral development organizations is expected to grow and Korea should take the opportunity to extend its global influence and develop strategic linkages between its bilateral and multilateral assistance. This study analyzed the global trend and major issues of multilateral aid to suggest Korea’s strategic direction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This paper firstly reviewed the trend of multilateral aid of DAC donors, the structure and main activities of key multilateral agencies such as UNs and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MDBs). The global volume of multilateral aid as of 2008 reached at 35.5 billion dollars which takes 26% of total ODA flow. Korea provided 268 million dollars for the same period, standing at the second highest among the DAC members in terms of the share of multilateral aid in a country’s total ODA.


A review of the multilateral aid strategies of Denmark, Australia, and Switzerland was conducted. Denmark established its multilateral strategy in 1990s and has been systemically approaching with its efforts to cooperate with other donor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multilateral aid and develop its own multilateral evaluation framework. Australia has similarity with Korea in terms of multilateral aid volume and its strong focus on MDBs. Australia has high portion of non-core contribution to actively engage with the Asia Pacific region and flexibly respond to regional challenges, meeting its economic and security interests. Switzerland has two main pillars of aid similar to Korea but effectively cooperates among various domestic actors to build common multilateral aid strategies.


The following chapter presented its analysis around the recent issues of fragmentation, balance between core and non-core contribution as well as multilateral organizations’ reform after the global economic crisis. It also reviewed multilateral effectiveness evaluation systems and surveyed growing trend of global funds. Lastly, it also examined the participation in aid procurement to identify Korea’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is paper concluded with recommendations for Korea’s multilateral aid strategy and policy actions. Korea needs to set up a comprehensive multilateral strategy with more focused and selective perspectives. Given the high level of aid going into MDBs, Korea needs to develop a systematic approach to fully utilize its multilateral assistance programs. As a recommend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long-term partnership agreement with core multilateral partners. It also carefully advises the expansion of non-core contribution as a transitional approach to the fully scaled-up multilateral aid while the strategy of multilateral aid should be aligned with that of bilateral aid.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Korea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joint multilateral aid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s to feedback the relevant outcom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its multilateral aid.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국제사회의 다자원조 현황 
1. DAC 회원국의 다자원조 현황 및 특징 
2. 다자기구의 주요 활동 
가. 유엔의 구성 및 지원 현황 
나. 다자개발은행의 주요 활동 


제3장 주요국의 다자원조 정책과 특징 
1. 덴마크 
가. 원조정책의 기본 방향 
나. 다자원조 추진 현황 
다. 주요 특징 및 시사점 
2. 호주 
가. 원조정책의 기본 방향 
나. 다자원조 추진 현황 
다. 주요 특징 및 시사점 
3. 스위스 
가. 원조정책의 기본 방향 
나. 다자원조 추진 현황 
다. 주요 특징 및 시사점 


제4장 다자원조 관련 주요 현안 분석 
1. 다자원조 논의 동향 
가. 다자기구의 국별프로그램원조 현황  
나. 다자기구를 활용한 양자원조: ‘지정기여’ 
다. 위기 이후 다자기구 개혁 
2. 다자원조의 효과성 평가 
가. 논의 배경 
나. MOPAN과 COMPAS
다. 시사점 
3. 글로벌 펀드의 확산 
가. 현황 및 특징 
나. 파리선언과 글로벌 펀드
다. 새로운 글로벌 펀드: ‘녹색기후기금’ 
4. 다자원조 조달시장의 활용 
가. 개발원조 조달시장 규모 
나. 주요국의 민간 지원 프로그램 
다. 우리나라 참여 현황 및 문제점 


제5장 우리나라 다자원조 추진 전략과 정책과제 
1. 우리나라 다자원조 현황과 평가 
가. 다자원조 추진 현황 
나. 국제기구별 지원 현황
다. 다자원조의 문제점 
2. 다자원조의 기본 방향과 추진 전략 
가. 다자원조 정책문서 작성 
나. 다자원조 추진체제 확립 
다. 양자원조와 보완성 강화 
3. 다자원조의 정책과제 
가. 다자원조 재원의 안정적인 확보 
나. 다자기구 모니터링 및 평가 체계 구축 
다. 국제기구 인력 파견 및 조달시장 참여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7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Global Supply Chains in a Post-Covid Multipolar World: Korea’s Options 2022-10-2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벨라루스 디지털 경제 발전과 한·벨라루스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연구자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한ㆍ러 경협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과제 2021-12-24 ODA 정책연구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021-08-31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