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KIEP 북경사무소 브리핑

발간물

목록으로

중국 디지털경제 2018년 특징과 전망

▣ 디지털 기술의 혁신과 더불어 전통 산업과의 융합과 응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디지털경제가 중국의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으로 부상

 

▣ 2018년 중국 디지털경제 규모는 전년대비 20.9%(명목기준) 성장한 31조 2,934억 위안을 기록, GDP의 34.8%에 해당
 - 디지털경제의 비중 확대와 중요성이 커지면서 중국의 각 지방정부도 경제발전 수준에 적합한 발전 모델을 모색 중이며, 산업기반이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경제발전 수준이 낮은 중서부 지역에서 더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음.
 - 2018년 광둥성의 디지털경제 규모가 4조 위안을 넘어섰고, 구이저우는 2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발전 수준을 보여주는 GDP 내 디지털경제의 비중은 베이징이 50%를 기록

 

▣ 2018년 중국 디지털경제의 특징으로 △디지털 산업화(数字产业化) 분야 성장 △산업 디지털화(产业数字化) 규모 확대 △디지털경제 분야 거버넌스 강화 △일자리 구조 변화 등으로 꼽을 수 있음.
 - 중국의 디지털 산업화 규모는 6조 4,000억 위안이며,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서비스업, 인터넷 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5G 조기 상용화에 따라 통신업과 연관 산업도 고속 성장이 예상
 - 산업 디지털화 규모는 전년대비 23.1%(명목기준) 성장한 24조 9,000억 위안을 기록하였고, 보험, 방송․영화 제작, 금융 등 서비스 업종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
 - 디지털경제 비중 확대에 따라 효과적 관리감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플랫폼 책임 강화 △부처 합동 관리감독 강화 △업계 자율규제 능력 향상 등을 추진 중임.
 -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플랫폼, 공유경제, 크라우드 소싱 등 디지털경제 발전으로 인해 나타난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로 인해 고용구조에서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

 

▣ 중국은 디지털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빅데이터 관련 법규 제정 및 거래 메커니즘 구축 △데이터 보호 및 관리 강화의식 제고 노력 △산업인터넷 혁신 발전전략 실시 △네트워크 보안수준 제고 및 관리감독 강화 예정
 - 개인정보보호와 데이터보안 관련 법규의 제정과 거래소의 기능 강화 등을 추진할 전망
 - 산업인터넷 발전 플랫폼 구축 및 전용 앱 육성, 보안 시스템 개선 등을 추진할 예정
 - 데이터 및 네트워크 관리 강화를 위해 사이버보안법을 실시하고, 소비자 보호를 위해 통신사기, 지재권 침해 등에 대해서도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추세 

첨부파일

이전글 다음글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