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북경사무소 브리핑
「중국제조 2025」문건의 내용 및 평가
- 저자 북경사무소
- 발간일2015-06-18
▣ 2015년 5월 18일 중국 국무원에서 최근 부진한 중국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중국제조 2025 (이하「계획」 )계획을 발표함.
- 199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은 제조업의 비약적인 발전을 실현함으로써 세계 최대 제조대국의 입지를 다져왔으나, 질적
성장 측면에서 발달 국가에 비해 뒤처져 있으며, △ 혁신역량 부족 △ 에너지 효율 저조와 환경오염 심화 △ 정보 인프라
구축 및 응용 수준 낙후 등 해결이 시급한 문제들이 잔존해 있음.
-「계획」은 제조산업 내 문제점을 해결하고 구조 최적화를 추진함으로써, 제조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한 첫 번째 행동강령에
해당함.
▣「계획」은 향후 30년간 세 단계에 거쳐 산업고도화를 추진하는 전략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세부 전략 설정을
통해 10대 핵심 산업분야를 선정하는 한편, 5대 중점 프로젝트 계획을 명시함.
-「계획」은 △ 혁신능력 제고 △ 질적 개선 △ 친환경 성장 △ 산업구조 최적화 △ 인재 양성 등을 기본 방침으로 세부전략을
설정함.
- △ 차세대 IT산업 △ 고급 정밀 수치제어 공작기계 및 로봇 △ 항공 우주 설비 △ 해양 엔지니어링 설비 및 첨단 선박 △ 선진
철도 교통설비 △ 에너지 절약·신에너지 자동차 △ 전력 설비 △ 농업 기계 설비 △ 신소재 △ 바이오의약 및 고성능 의료기기
등을 10대 중점 산업분야로 선정함.
- 세부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 제조혁신능력 센터 건설 △ 스마트 제조 △ 공업기반 강화 △ 친환경 제조 △ 첨단 설비
등에 관한 중점 프로젝트를 시행할 예정임.
▣「계획」은 자원 집약형 전통산업에서 기술 집약형 스마트 제조 강국으로 성장하려는 중국 제조업의 비전을
제시함.
- 인터넷 기술과 전통산업 간 융합을 산업 발전의 새로운 동력으로 인식함으로써, 제조업에 인터넷기술을 접목시키는 스마트
제조 발전전략을 추진하고자 함.
-「계획」이 추진하는 IT와 공업 간 융합 발전에 에너지 절약 및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이 중요한 플랫폼을 제공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향후 중국 자동차 산업의 고속 성장이 예상됨.
-
15-09_중국제조 2025 문건의 내용 및 평가.pdf (806.94KB / 다운로드 4,252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