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북경사무소 브리핑
후강퉁 시행 현황과 의의
- 저자 북경사무소
- 발간일2014-12-30
▣2014년 11월 17일 중국 내륙의 상하이 A주 시장과 홍콩 주식시장의 거래를 상호 연계시키는
시범적 제도인 ‘후강퉁’이 시행됨.
- 후강퉁은 4월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의 발언으로 처음 계획되어 6개월 이상의 준비 작업을 거쳐 시행을
시작하였으며, 홍콩 투자자가 상하이에 투자하는 ‘후구퉁’과 상하이 투자자가 홍콩에 투자하는 ‘강구퉁’으로 분류됨.
- 투자 대상·투자자 자격·투자금액 등의 방면에서 각각 일정한 제한규정이 존재함.
▣후강퉁은 상하이와 홍콩의 주식시장을 발전시키고 투자자에게 새로운 투자의 기회를 제공하며,
두 지역의 금융 기능과 지위를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음.
- 상하이와 홍콩 주식시장의 거래량이 증가하고 새로운 정보 서비스 시장이나 다양한 파생 금융상품이 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
- 상하이 주식시장의 국제화 수준이 향상되고, 홍콩의 역외 위안화 허브 및 국제 금융센터 기능이 강화됨.
- 한편 중국 내륙시장이 국제 자본시장 리스크에 더 많이 노출되고 홍콩의 외환 리스크가 증가할 가능성도 존재함.
▣ 후강퉁 시행은 중국 내륙과 홍콩의 금융 발전에 이정비(里程碑)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위안화 국제화를
가속하고 중국 금융개혁을 촉진할 수 있음.
- 후강퉁은 최소한의 제도적 비용으로 최대의 시장거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제도이며, 역외 위안화의 유동성
확장·투융자 기능 향상·환류 채널 확대 등을 촉진하여 위안화 국제화를 가속시킬 것으로 예상됨.
-
14-15_후강퉁 시행현황과 의의.pdf (969.38KB / 다운로드 1,567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