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KIEP 북경사무소 브리핑
최근 위안화 국제화 현황
- 저자 북경사무소
- 발간일2014-10-23
▣ 위안화 국제화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부터 주변국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2009년 이후 본격적으로 발전
- 2009년 7월 위안화 역외 무역 결제의 시범 시행이 시작된 이후 업무의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
- 위안화 국제화는 경상계정의 발전성과가 가장 두드러지며 자본과 금융계정도 한도액 관리방식을 통해 발전
▣2013년 위안화 국제화 수준은 중국의 경제성장, 무역 규모의 증가, 금리 개혁, 역외 위안화 시장의 발전 등에
힘입어 안정적 성장 단계에 진입
- 위안화국제화지수는 2012년 말 0.87에서 2013년 말 1.69로 대폭 상승하였으며 위안화의 국제금융 결제 점유율은 동기대비
86.17% 상승한 2.08%를 기록
- 위안화 역외무역 결제가 증가하고 위안화 국제 채권과 어음의 규모가 급등하였으며, 위안화 파생금융상품의 종류도 확대
- 국제사회에서의 위안화 수용도가 커지고 중국과 다른 국가 및 지역의 통화스왑 계약이 증가
- 글로벌 외환거래소에서 위안화의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위안화 역외시장도 빠른 속도로 발전
▣ 다른 국가와 통화 스왑 계약 증가,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의 금융 개방, 브릭스 개발은행의 설립 계획 등이
위안화 국제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
- 통화 스왑 계약은 지역 금융협력을 강화하고 중국의 미달러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
-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는 서비스업 개방, 역외금융시장 건립, 위안화의 양방향 이동 확대를 추진
- 브릭스 개발은행은 위안화의 가치저장 기능, 회계단위로서의 기능, 거래매개 기능을 확장
-
14-10_최근%20위안화%20국제화%20현황[1].pdf (936.27KB / 다운로드 1,302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