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세계경제
발간물
오늘의 세계경제
아프리카 개발은행 신탁기금 현황과 시사점
▣ 아프리카 개발은행(AfDB: African Development Bank)은 지난 2007년 12월 7일 신탁기금(trust fund) 운용을 포함하여 이사회(Board of Directors) 승인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제안서를 발표함.
- AfDB는 다른 국제개발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행정체제, 비효율적 운영절차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기 때문에 이번 승인절차 간소화 제안이 받아들여지면 향후 신탁기금 운영체제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임.
▣ 최근 아프리카와의 경제협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정부는 2007년 10월 500만달러 규모의 한 .아프리카 경제협력(KOAFEC: Korea Africa Economic Cooperation) 프로그램식 기술협력 신탁기금을 추가로 출연한 바 있음.
- 국제개발은행(MDB)을 통한 다자간 원조로서 AfDB에 공여된 신탁기금은 한·아프리카 경제협력과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아프리카 지역을 대상으로한 정책 컨설팅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임.
▣ 아직 다자간 원조 실적이 미미한 한국은 AfDB와의 협력을 통해 개도국의 빈곤 퇴치 및 지속가능한 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뿐 아니라, 우리 ODA의 질적 수준 개선과 선진 원조체제의 경험 및 기술 습득에도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앞으로 AfDB의 신탁기금 개선 프로그램이 점차 확대될 전망인바, 신탁기금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우리 기업의적극적인 참여와 조달시장 참여율을 제고해야 할 것임.
- AfDB는 다른 국제개발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행정체제, 비효율적 운영절차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기 때문에 이번 승인절차 간소화 제안이 받아들여지면 향후 신탁기금 운영체제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임.
▣ 최근 아프리카와의 경제협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정부는 2007년 10월 500만달러 규모의 한 .아프리카 경제협력(KOAFEC: Korea Africa Economic Cooperation) 프로그램식 기술협력 신탁기금을 추가로 출연한 바 있음.
- 국제개발은행(MDB)을 통한 다자간 원조로서 AfDB에 공여된 신탁기금은 한·아프리카 경제협력과 한국의 개발경험 전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아프리카 지역을 대상으로한 정책 컨설팅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임.
▣ 아직 다자간 원조 실적이 미미한 한국은 AfDB와의 협력을 통해 개도국의 빈곤 퇴치 및 지속가능한 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뿐 아니라, 우리 ODA의 질적 수준 개선과 선진 원조체제의 경험 및 기술 습득에도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앞으로 AfDB의 신탁기금 개선 프로그램이 점차 확대될 전망인바, 신탁기금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우리 기업의적극적인 참여와 조달시장 참여율을 제고해야 할 것임.
첨부파일
-
제07-50호.pdf (546.98KB / 다운로드 1,794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