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구 발간자료
중국 선전시 지역혁신 분석과 시사점
- 저자 김홍원
- 발간번호16-11
- 발간일2016-09-21
▶ 선전시는 기술혁신 관련제도와 거버넌스를 갖추고 연구기관과 기업 간 혁신을 촉진하는 지역혁신체계가 구축되면서 첨단기술산업이 발전하고 경제발전 방식이 고도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선전시는 과거 저임금에 기반을 둔 가공무역 제조기지에 불과하였으나, 현재 첨단기술산업 규모와 R&D 투자가 크게 확대되는 추세
- 또한 화웨이, ZTE 등 일부 기업에 한정되었던 첨단기술산업의 진흥이 2000년대 들어 게놈연구분야 BGI, 초박형 디스플레이 전문기업 Royole 등 신생 혁신기업이 속속 등장하는 등 전방위로 확산
- 지역혁신체계 구축은 첨단기술기업의 출현을 촉진시키고, 관련산업 발전의 영향이 지역발전방식 전환에 파급되는 선순환구조가 형성
▶ 선전시 지역혁신체계는 정부 주도로 구축되었으며, 선전시에 혁신기업이 유입·집적되는 데 ①효과적인 정부 지원정책 ②혁신을 존중하는 연구 환경 ③생산 네트워크 강화 등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됨.
- 시정부 산하 과학기술혁신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기술혁신정책을 추진, 특히 기술사업화를 위한 보조금 지원과 우수인재 양성 및 유치에 정책역량을 집중
- 시정부의 노력으로 다수의 연구기관 및 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자유로운 연구 환경과 자율성이 보장된 정부 지원이 연구기관의 기술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파급
- 외주생산 네트워크가 전문화되어 짧은 납기로 다품종 소량생산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데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
▶ 선전시 혁신기업의 성공사례인 화웨이와 광치과학은 정부의 효과적인 지원과 기업 연구역량 강화에 힘입어 글로벌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냄.
- 화웨이는 시장개척 초기 21개 지방정부와의 협력관계 강화로 정부 수요가 절대적이었던 전화교환기 시장을 발판으로 급성장하였으며, 중앙정부의 수출 신용대출을 활용하여 세계시장 진입에 성공
° 또한 기업 스스로 국내외 R&D 네트워크 구축과 협업연구를 강화하면서 4G 기술표준을 선도하며 시장 지배력을 강화
- 광치과학은 우수한 연구능력을 갖춘 청년 과학자들이 설립한 메타물질 전문기업으로, 설립 초기 해외인재 유치 프로그램을 통한 시정부 보조금 수혜, 기업자문위원회 창설 등이 큰 효과를 발휘
° 이에 설립 6년 만에 메타물질 연구개발과 특허출원, 국가기술표준화사업의 핵심기업으로 성장하였으며, 중국 최초의 근우주 비행체 비행을 성공시키는 등 빠른 속도로 기술을 사업화하여 큰 성과를 거둠.
- 화웨이와 광치과학은 창업자 배경, 사업분야 선택, 글로벌시장 진출시기 등에서 상이한 패턴을 보이나, 기술개발과 글로벌시장을 중시한 공통점이 있음.
▶ 한국은 중국기업의 기술력 급상승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사업개발 단계에서부터 글로벌 마인드로 무장하고, 기업부설 연구소 활성화와 연구 자율성 강화에 힘쓰는 한편, 중국기업과의 글로벌시장 공동 진출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음.
-
16-11 지역기초자료.pdf (1.06MB / 다운로드 7,105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