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중국 국경간 전자상거래 활성화정책의 거점지역 현황 및 시사점

최근 수입 및 B2C를 중심으로 국경간 전자상거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중국은 국경간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고 건전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세율 조정, 통관 관리 개선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항저우(杭州), 광저우(廣州), 정저우(鄭) 등을 시범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련 제도를 선도적으로 추진토록 유도

- 중국의 2015년 국경간 전자상거래액은 5.4조 위안으로 전년대비 28.6% 증가하였으며, 그중 수입액은 약 71% 정도 증가하였고 B2C 교역액은 약 두 배로 확대

- 국경간 전자상거래를 통해 화물 수출 시 부가가치세, 소비세를 환급해주고, 통관 전산화로 통관 효율도 개선

- 기존에는 B2C 수입상품에 낮은 세율을 적용하였으나 최근 일반무역의 약 70% 수준으로 세율을 조정하였으며, 수입 허용상품 목록(포지티브리스트)을 발표하고 위생허가를 의무화하는 등 관리도 강화

- 2012년부터 항저우, 광저우, 정저우 등 8개 도시를 국경간 전자상거래 시범도시로 지정, 20158개 시범도시가 포함된 13개 도시를 국경간 전자상거래 종합시험구로 지정

 

 

항저우, 광저우, 정저우에서 보세창고(備貨)’ 수입 방식을 허용함에 따라 B2C 수입 및 해외상품 O2O(Online to Offline) 체험점이 증가하고 있으며, ‘단일창구시스템 구축, 국경간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출 확대, 국경간 전자상거래 관련 기업 유치 확대 등이 공통적으로 추진

- 대량 운송으로 물류비용 절감, 배송시간 단축이 가능한 보세창고 수입 방식을 통해 분유, 기저귀 등의 영유아용품, 화장품, 식품 등이 많이 수입되었으나, 최근 B2C 수입상품에 대한 세율 조정, 위생허가 의무화 등으로 일부 영유아용품, 화장품 수입이 감소

- 각 지역의 보세구와 유통거점을 중심으로 온라인상에서 판매되는 해외상품을 직접 체험해보고 구매할 수 있는 O2O 체험점이 증가하고 있으며, 정저우에는 화장품을 중심으로 한 한국상품 비중이 50% 이상인 O2O 체험점도 개설됨.

-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를 중심으로 우수한 산업기반을 갖춰 중국의 첫 종합시험구로 지정된 항저우는 국경간 전자상거래 관련 법규 제정 연구, 국제 통용규칙 연구를 선도적으로 추진 중

- 광저우는 인접한 홍콩·마카오와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관련 전자인증서 상호인증, 세관 관리감독시스템 연동 등의 협력을 추가적으로 추진

- 전자상거래 산업기반이 취약한 정저우는 생활보조금 지급 등 우대정책을 통한 고급인력 유치 및 인력양성에 주력

 

 

중국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라 한국상품을 소싱하려는 전자상거래 기업 및 O2O 체험점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우리 수출기업과 물류기업은 이를 통한 제품 유통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진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 정책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함.

- 국경간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중국 내 법인이 없어도 입점이 가능해 중국 현지 유통망 구축이 어려운 기업이 선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을 보유하였으나 중국에서 아직 브랜드 인지도가 높지 않은 기업은 O2O 체험점을 통해 제품을 용이하게 홍보할 수 있음.

- 국경간 전자상거래 교역이 확대됨에 따라 물류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로, 국경간 전자상거래 인프라가 우수한 항저우는 대형 물류기업의 유치를 희망하고 신선식품 수입이 많은 광저우는 콜드체인 물류 수요가 많으며 공항경제종합시험구를 중심으로 항공물류산업이 발전하고 있는 정저우는 항공물류 관련 기업의 진출이 유망함.

- 20164B2C로 수입되는 분유, 화장품 등에 위생허가를 의무화한 조치가 5월 말 다시 유예되는 등 국경간 전자상거래 정책의 변동이 잦은 가운데서도 점차 제도화되고 있어, 우리 수출기업은 중국의 수입상품과 관련된 정책 변화 추이를 잘 살피고 유예기간 동안 화장품, 분유등 제품의 위생허가를 미리 받아두는 등 면밀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됨.

 

첨부파일

이전글 다음글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