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정승호

  • 개성공단 진출기업 생산제품의 해외수출 가능성 및 확대 방안

    개성공단사업은 2000년 8월 현대아산과 북한 아 · 태평화위원회가 개성공업지구건설운영합의서를 체결해 사업이 개시된 이래로 많은 진전을 이루어 왔다. 개성공단사업은 남북경협의 시험장이라고 할 만큼 남북한 당국은 개성공단사업 개발 경험을..

    조명철 외 발간일 2005.12.30

    북한경제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개성공단의 추진 현황과 단계별 추진 전망
    1. 개성공단 사업의 의미
    2. 개성공단 사업의 경제적 효과
    3. 개성공단 개발사업의 추진 계획 및 체계
    4. 개성공단의 기업환경

    제3장 개성공단 제품의 원산지 판정 및 수출 제약요인
    1. 원산지 판정기준
    가. 일반적 판정기준
    나. 주요국의 원산지 판정기준
    1) 미국의 원산지 판정기준
    2) 일본의 원산지 판정기준
    3) EU의 원산지 판정기준
    다. 개성공단 생산제품의 원산지 판정
    2. 개성공단 제품의 수출 제약요인
    가. WTO 미가입에 따른 제약
    나. 다자간 전략물자 수출통제 체제에 따른 제약
    다. 양자간 경제제재에 따른 제약

    제4장 북한산 제품의 주요 국가별 수출여건
    1. 미국시장의 수출 여건
    가.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
    나. 북한산 제품에 대한 관세 차별
    다. 최근 북한의 품목별 수출 현황
    2. EU 시장의 수출여건
    가. 북한산 제품에 대한 관세 차별
    나. 북한산 섬유제품에 대한 규제
    1) 대북한 쿼터 적용품목
    2) (실질적) 수입금지품목
    3) 수입이 자유로운 품목
    다. 최근 북한의 품목별 수출 현황
    3. 일본시장 수출여건
    가.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
    나. 북한산 제품에 대한 관세 차별
    다. 최근 북한의 품목별 수출 현황
    4. 기타 시장의 수출여건
    가. ASEAN
    나. 중화권
    다. 구소련
    라. 중남미
    마. 중동 · 아프리카

    제5장 개성공단 제품의 품목별 시장여건 분석
    1. 의류
    가. 유럽지역
    나. 아시아지역
    다. 미주지역
    라. 기타 지역
    2. 신발
    가. 유럽지역
    나. 아시아지역
    다. 미주지역
    라. 기타 지역
    3. 가방
    가. 유럽지역
    나. 아시아지역
    다. 미주지역
    라. 기타 지역
    4. 주방용품
    가. 유럽지역
    나. 아시아지역
    다. 미주지역
    라. 기타 지역
    5. 식료품
    가. 유럽지역
    나. 아시아지역
    다. 미주지역
    라. 기타 지역
    6. 고무 · 플라스틱 제품
    가. 유럽지역
    나. 아시아지역
    다. 미주지역
    라. 기타 지역
    7. 완구류
    가. 유럽지역
    나. 아시아지역
    다. 미주지역
    라. 기타 지역
    8. 신변장신구류
    가. 유럽지역
    나. 아시아지역
    다. 미주지역
    라. 기타 지역

    제6장 개성공단 제품의 판로 확대방안
    1. 단기 판로 확대방안
    가. 기업차원의 전략
    나. 정부차원의 전략
    2. 중장기 판로 확대방안
    가. 기업차원의 전략
    나. 정부차원의 전략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개성공단사업은 2000년 8월 현대아산과 북한 아 · 태평화위원회가 개성공업지구건설운영합의서를 체결해 사업이 개시된 이래로 많은 진전을 이루어 왔다. 개성공단사업은 남북경협의 시험장이라고 할 만큼 남북한 당국은 개성공단사업 개발 경험을 공유하면서 경협활성화를 위한 통신, 통관, 검역, 출입 · 체류에 관한 합의서 등 많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왔다. 2005년 5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개성공단 개발사업은 당국간 제도적 장치 마련이란 과제와 함께 생산품의 판로확보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생략)
    닫기
  • 북한경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최근 한국과 국제사회에서는 북·중 경제관계의 급격한 성장을 놓고 크게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첫째, 현재 중국은 북한에 있어서 제1위의 교역과 투자 및 지원국가로 자리매김 되어 있다. 이것은 현재 세계에서 북한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

    조명철 외 발간일 2005.12.30

    북한경제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전제
    4. 연구의 방법

    제2장 북한과 중국의 상호 경제정책
    1. 양국의 경제관계에 미치는 주요 변수
    가. 양국의 경제발전전략과 그 변화
    나. 동북아의 정세변화
    다. 양국 내부의 권력관계 변화
    라. 양국의 경제력 수준
    마. 한국에 대한 이해관계의 증가
    바. 지도자간 이데올로기와 전통적 교감의 쇠퇴
    2. 북한의 대중국 경제정책
    가. 대중국 경제정책의 변화과정
    나. 새로운 대중국 경제정책
    3. 중국의 대북한 경제정책
    가. 대북한 인식변화
    나. 대북한 경제정책

    제3장 북한과 중국의 경제관계
    1. 최근 북한경제의 무역의존도 변화 추이
    2. 최근 양국간 경제관계 현황
    가. 무역
    나. 투자
    다. 원조
    3. 북한의 대중국 무역경쟁력 평가
    4 양국간 무역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가. 무역과 경제성장에 대한 이론적 배경
    나. 대외무역이 성장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다. 무역이 성장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제4장 북한 내부에서 본 대중 경제적 의존실태
    1. 생산 측면에서 본 대중국 의존실태
    가. 공장의 원자재, 설비 조달
    나. 군수공장의 기계·설비 조달
    다. 개인수공업의 원자재·설비 조달
    2. 상품유통 측면에서 본 대중국 의존실태
    가. 북한내 유통망과 중국상품 유입
    나. 화교 및 중국자본과 상품유통
    3. 서비스·수송 분야에서 본 대중국 의존실태
    가. 소규모 서비스업체의 확대와 중국상품 유입
    나. 수송 분야
    4. 금융 측면에서 본 대중국 의존실태
    가. 화교와 사금융
    나. 상품수출 조건부 금융

    제5장 한국의 대응과제
    1. 북·중 경제전망관계가 남북경협에 주는 시사점
    2. 북·중 경제관계 전망
    3. 북·중 경제관계 밀접화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가. 긍정적 측면
    나. 부정적 측면
    4. 정책적 대응과제
    가. 경쟁력 있는 제도 구축과 실질적 적용
    나. 물리적 연계분야에서의 경쟁력 확보
    다. 새로운 물류·통행·통신·통관체계 확립
    라. 남북한 자유교역의 추진
    마. 남북한 산업의존성 확대
    바. 중국의 경제정책과 경제개발전략 활용
    사. 남·북·중 3각협력 추진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북·중간 무역이 경제성장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분석

    Executive Summary
    닫기
    국문요약
    최근 한국과 국제사회에서는 북·중 경제관계의 급격한 성장을 놓고 크게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첫째, 현재 중국은 북한에 있어서 제1위의 교역과 투자 및 지원국가로 자리매김 되어 있다. 이것은 현재 세계에서 북한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이 가장 큰 나라가 바로 중국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이 어떤 이유로든 대북한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면, 북한이 받게 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대단히 클 것이라는 것이 공통된 주장이다. 그렇다면 현재 북한경제가 어느 정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가에 대한 현실 파악이 가장 중요한 문제제기일 수 있다. 여기에서는 교역 및 투자 의존도, 산업생산을 위한 에너지 및 원부자재 의존도,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중국의 경제적 영향정도, 북·중 경제관계가 북한의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증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략)
    닫기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