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SUN-KIEP EU센터 연구시리즈 The Belarusian Economy and its Economic Relations with the EU 경제관계, 경제발전

저자 Jeeyoung Hwang and Ji Sang Chang 발간번호 10-01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91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00년 이후 벨라루스 경제는 2008~09년 경제위기 이전까지 연평균 8%의 고성장을 이루어왔다. 이러한 벨라루스의 경제 성장은 러시아의 경제성장과 국제 석유제품 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가능한 것이었다. 특히, 러시아로부터 받은 각종 경제 혜택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원유 정제산업이 활성화된 데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벨라루스는 러시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등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EU와 연결되는 주요 교통 중심지로서 좋은 지리적 요소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여건이 향후 벨라루스 경제 성장의 주요 잠재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벨라루스는 아직까지 권위주의 독재체제를 유지하며 언론과 야권을 탄압하고 있는 탓에 민주주의와 인권 수호를 중요시여기는 EU로부터 지속적인 정치적•경제적 제재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벨라루스는 러시아와 석유 및 가스가격 인상 문제로 인해 관계가 악화되면서 그동안 지속되어온 러시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벨라루스는 자국의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외국인투자 유치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벨라루스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EU와의 관계 개선을 꾀하는 동시에, 대내적으로는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행정 간소화 및 세제 혜택, 세제 개선 등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벨라루스 정부가 EU와의 관계 개선을 도모하고, 외국인투자 유치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가 가까운 미래에 EU에 가입하거나 EU와의 FTA를 추진할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한 이유로는 먼저 EU 측에서도 EU 확대로 인한 피로감이 증대되어 더 이상의 통합은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경제위기로 인해 기존 EU회원국들도 재정악화와 경기둔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벨라루스 측에서도 별다른 유인 요소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첫째, EU 신흥가입국인 발트 3국이 EU가입 후 괄목할만한 경제 성장을 보이지 않고 있어 벨라루스로서는 EU 가입에 대한 동기 부여를 받지 못하고 있다. 둘째, 러시아와 카자흐스탄과 3국 관세동맹을 맺은 상황에서 EU의 가입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비록 현재 러시아와의 관계가 냉각상태에 있기는 하지만, EU보다는 러시아로부터 얻는 이익이 아직까지는 크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오랫동안 벨라루스와 러시아가 정치적•경제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배경 속에서 EU 국가들과 사회 구조적으로 괴리감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볼때, 향후 벨라루스는 현재 3국 관세동맹을 중심으로 친EU 정책과 친러시아 정책의 균형적인 대외 경제정책을 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기존의 협력 범위를 확대하여 중국, 베네수엘라 등과 에너지 및 경제 협력을 증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Belarusian economic growth over the past 10 years has been fueled primarily by high economic growth in neighboring Russia and the rise in world prices of oil products. In particular, the basis of Belarus’s robust economic growth was subsidized energy prices from Russia and increases in domestic petrochemical industry production on the back of sustained high oil prices. Like this, the Belarusian economy depends significantly on external factors, especially the relations with Russia and its macroeconomic conditions. However, the fact that Belarus is Europe’s last autocratic nation and with little freedom of speech puts some distance between Belarus and the EU. Recently, the government of Belarus has undergone subtle changes in its external relations and foreign investment policy since the crisis in relations between Belarus and Russia started. Belarusian government will maximize its own interests by attracting investment from the EU.
This paper deals with a rough sketch of the macroeconomic situation of Belarus and its economic structure, and addresses economic relations between Belarus and the EU in depth. Moreover, this study predicts future external policy directions of Belarusian government and provides its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viewpoint of foreign investors. Based on this study, although the government shows a favorable attitude in the foreign investment and relations with EU, Belarus’s accession to the EU or accession to a free trade zone with the EU does not seem likely to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First of all, the EU is not interested in expanding their borders due to the fact that it brings EU countries more trouble than advantages. Belarus also does not have any plans to join the EU or seek formation of a free trade zone with the EU. Firstly, after joining the EU, Baltic countries have lost control of their industry and agriculture, and became simply a market for European companies. Second, due to its special relationship with Russia, Belarus has enjoyed the lowest prices on energy sources among all EU countries and most CIS countries. Third, Belarus has a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which cannot be integrated into the European system, as they are distinguished from EU in the view of not only economic management, but also with respect to the role of state and government in society.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is much more possible for the Belarusian government to simply maintain a balance between pro-Russian and pro-European policies. The foreign policy of Belarus will be aimed primarily at expanding the level of FDI. To attract foreign capital, the government will seek to maximize several advantages of Belarus including geographical position, presence of free trade areas with Russia and Kazakhstan, cheap energy, well-developed infrastructure and skilled and cheap labor. Also, Belarus will try to expand its external relations to other countries, such as Latin America. Thus, from the viewpoint of foreign investors, it would be wise policy to keep an eye on Belarus’s subsequent external policies towards both EU and Russia.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General Survey on the Belarusian Economy 
2.1 Current Economic Situation 
2.2 Foreign Investment Climate in Belarus 


III. The External Economic Relations between Belarus and the EU 
3.1 Economic relations with the EU 
3.2 Political relations with the EU 


IV. Conclusion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58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ODA 정책연구 Assessing Vietnam’s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 Comprehensive Review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에너지 보조금 정책 개혁의 영향과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연구자료 Global Supply Chains in a Post-Covid Multipolar World: Korea’s Options 2022-10-2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베트남 경제·사회 협력 30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