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우리나라가 러시아(當時 舊蘇聯)와 修交한지 벌써 5년이 넘었습니다. 수교 이후 최근까지의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러시아와의 교류는 다양한 분야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우리는 수교 이전까지 未知의 세계나 다름없던 이 지역에 대해 많은 지식을 축적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경제협력의 대상국으로서 러시아라는 나라의 무한한 가능성을 고려할 때 우리는 보다 장기적인 眼目으로 러시아의 경제 전반에 대해 더욱 深度있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축적할 필요가 있다고 믿습니다. 특히 러시아는 최근 몇 년 사이에 경제와 관련된 거의 모든 제도가 근본적으로 개혁되고 있어 이러한 개혁의 근본적인 원인을 看過한체 皮相的, 個別的 관찰만을 통해 얻어진 정보만으로는 이 나라의 경제를 보다 깊이 그리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저희 對外經濟政策硏究院 地域情報센터는 그동안 러시아경제의 각 분야에 대해 체계적이고 세밀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여 왔으며, 러시아와의 경제협력을 확대하고 심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습니다. 러시아의 國家豫算과 財政分權制度를 분석한 본 硏究報告書 역시 당 센터의 이와 같은 노력의 一環이라 할 것입니다.
한 나라의 국가예산은 그 나라의 경제는 물론 전반적인 정치, 사회적인 樣相을 총체적으로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연구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연구대상 중의 하나입니다. 舊蘇聯의 解體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국가예산의 규모와 구조 및 제도의 변화를 분석한 본 보고서는 러시아 경제와 사회에 대한 총체적이과 체계적인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에 기여하리라 믿습니다. 특히 본 보고서는 러시아의 豫算制度 중에서도 財政分權制度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舊蘇聯의 해체 이후 새로운 聯邦主義의 확립이라는 문제는 그동안 新生 러시아 聯邦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가 되어왔으며, 경제적인 측면에서 이 과제는 새로운 財政分權制度의 확립이라는 문제로 歸結되었습니다. 러시아에서 제정분권제도의 개혁은 다른 분야에서의 개혁과는 달리 1994년 중반에 와서야 비로서 일단락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바, 본 보고서가 분석하고 있는 재정분권제도의 개혁과정과 현행 재정분권제도의 운용방식은 이 분야에 대한 궁금증을 상당 부분 해소시켜 줄 것입니다. 보고서 작성에 있어서의 시간적인 제약과 주어진 資料의 제약, 특히 지금까지 러시아에서 국가예산이 跛行的으로 운용됨으로써 야기된 각종 통계자료의 不備로 인해 본 보고서의 내용은 앞으로도 계속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국가예산의 개별 분야들과 개별 지방자치체들의 예산운용 제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더욱 深化되어야 할 것입니다.
본 보고서는 當 센터의 鄭余泉 博士에 의해 執筆 되었습니다. 보고서의 작성과정에 귀중한 助言을 해주신 러시아연방 재무부 산하 재정정책연구소의 R. Igudin 博士, 사하 共和國 재무부의 V. Sofranov 次官, 하바로프스크 경제연구소의 S. Leonov 博士 들꼐 감사를 드리며, 자료의 정리를 위해 當 센터 崔惠蘭 硏究助員의 수고가 있었음도 아울러 밝혀 둡니다.
1996년 3월
對外經濟政策硏究院
地域情報센터
所長 姜興求
한 나라의 국가예산은 그 나라의 경제는 물론 전반적인 정치, 사회적인 樣相을 총체적으로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역경제의 연구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연구대상 중의 하나입니다. 舊蘇聯의 解體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국가예산의 규모와 구조 및 제도의 변화를 분석한 본 보고서는 러시아 경제와 사회에 대한 총체적이과 체계적인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에 기여하리라 믿습니다. 특히 본 보고서는 러시아의 豫算制度 중에서도 財政分權制度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舊蘇聯의 해체 이후 새로운 聯邦主義의 확립이라는 문제는 그동안 新生 러시아 聯邦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가 되어왔으며, 경제적인 측면에서 이 과제는 새로운 財政分權制度의 확립이라는 문제로 歸結되었습니다. 러시아에서 제정분권제도의 개혁은 다른 분야에서의 개혁과는 달리 1994년 중반에 와서야 비로서 일단락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바, 본 보고서가 분석하고 있는 재정분권제도의 개혁과정과 현행 재정분권제도의 운용방식은 이 분야에 대한 궁금증을 상당 부분 해소시켜 줄 것입니다. 보고서 작성에 있어서의 시간적인 제약과 주어진 資料의 제약, 특히 지금까지 러시아에서 국가예산이 跛行的으로 운용됨으로써 야기된 각종 통계자료의 不備로 인해 본 보고서의 내용은 앞으로도 계속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국가예산의 개별 분야들과 개별 지방자치체들의 예산운용 제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더욱 深化되어야 할 것입니다.
본 보고서는 當 센터의 鄭余泉 博士에 의해 執筆 되었습니다. 보고서의 작성과정에 귀중한 助言을 해주신 러시아연방 재무부 산하 재정정책연구소의 R. Igudin 博士, 사하 共和國 재무부의 V. Sofranov 次官, 하바로프스크 경제연구소의 S. Leonov 博士 들꼐 감사를 드리며, 자료의 정리를 위해 當 센터 崔惠蘭 硏究助員의 수고가 있었음도 아울러 밝혀 둡니다.
1996년 3월
對外經濟政策硏究院
地域情報센터
所長 姜興求
目次
I. 序論
II. 러시아聯邦 國家豫算의 體系와 構造變化
1. 국가예산의 구분과 규모
가. 일반국가예산
나. 豫算外基金
2. 국가예산의 수입 구조
가. 경제체제의 전환과 조세개혁
나. 예산수입의 규모 및 구조변화
3. 국가예산의 지출 구조
가. 예산지출의 규모 및 구조의 變化
나. 개별 지출분야의 내용
III. 러시아聯邦의 財政分權制度
1. 재정분권화 문제의 擡頭와 개혁방향
가. 재정분권화 문제의 擡頭
나. 러시아에서 재정분권화 개혁의 기본방향
2. 현행 재정분권제도의 체계
가. 재정수입의 1차 배분제도
나. 이전지출을 통한 재정수입의 2차 배분
3. 현행 러시아연방 재정분권제도의 문제점
가. 지방재정 수입원의 不安定性
나. 제도적 未備點의 尙存
다. 지방별 차별적 적용의 尙存
라. 하위지방자치체들의 낮은 재정자립도
마. 재정지출 분권화 제도의 미비
IV. 評價와 展望
1. 러시아聯邦 國家豫算의 過渡期的 性格
2. 최근의 安定化 趨勢와 向後 展望
【참고문헌】
附錄
I. 序論
II. 러시아聯邦 國家豫算의 體系와 構造變化
1. 국가예산의 구분과 규모
가. 일반국가예산
나. 豫算外基金
2. 국가예산의 수입 구조
가. 경제체제의 전환과 조세개혁
나. 예산수입의 규모 및 구조변화
3. 국가예산의 지출 구조
가. 예산지출의 규모 및 구조의 變化
나. 개별 지출분야의 내용
III. 러시아聯邦의 財政分權制度
1. 재정분권화 문제의 擡頭와 개혁방향
가. 재정분권화 문제의 擡頭
나. 러시아에서 재정분권화 개혁의 기본방향
2. 현행 재정분권제도의 체계
가. 재정수입의 1차 배분제도
나. 이전지출을 통한 재정수입의 2차 배분
3. 현행 러시아연방 재정분권제도의 문제점
가. 지방재정 수입원의 不安定性
나. 제도적 未備點의 尙存
다. 지방별 차별적 적용의 尙存
라. 하위지방자치체들의 낮은 재정자립도
마. 재정지출 분권화 제도의 미비
IV. 評價와 展望
1. 러시아聯邦 國家豫算의 過渡期的 性格
2. 최근의 安定化 趨勢와 向後 展望
【참고문헌】
附錄
판매정보
분량/크기 | 112 |
---|---|
판매가격 | 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영-미 사례를 통한 미중 패권 전환 가능성 분석: 무역, 금융, 안보, 다자주의를 중심으로
2023-12-29
Working paper
Individualism and Political Stability
2023-12-29
연구자료
동남아·대양주 유권자들의 보호무역주의 성향 연구와 시사점: 필리핀, 태국, 호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2023-11-1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태평양 지역 경제안보: 주요국의 국내정치 동학과 한국의 경제안보전략
2023-09-13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국정운영에 관한 연구: 정부규제의 제도와 정책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단행본
메르켈 정권 16년: 주요 국제 이슈와 정책 평가
2022-09-0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유럽의 대미ㆍ중 인식 및관계 분석: 역사적 고찰과 전망
2021-12-30
단행본
미국 바이든 행정부 시대 미중 전략경쟁과 한국의 선택 연구
2021-07-20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Policy Analysis
The Income-led Growth in Korea: Status, Prospects and Lessons for Other Countries
2020-10-08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APEC Study Series
The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Global Value Chain Participation: Industry-level Evidence from APEC Member Economies
2020-12-04
연구보고서
신북방시대 한국·몽골 미래 협력의 비전: 분야별 협력과제와 실현방안
2020-11-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간 기술패권 경쟁과 시사점
2020-08-31
전략지역심층연구
체제전환국의 민간기업 및 기업가 육성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연구: 러시아,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2020-08-31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