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신만수
-
日本企業의 對中進出 : 主要業種의 成果分析과 向後展望
오늘날 일본기업은 21세기를 앞두고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일본기업의 대중투자는 시험적인 투자단계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글로벌전략의 일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일본기업의 투자동기, 산업, 지역 등도 여러 면에서 다양화되고 있다. 일..
신만수 외 발간일 1995.05.10
해외직접투자목차序 言닫기
Ⅰ. 序 論
1.1 硏究目的 및 硏究範圍
1.2 日本의 對中 貿易構造와 現況
1.3 日本의 對中直接投資 現況
1.4 對中投資의 세가지 形態
Ⅱ. 對中 日本投資企業의 巨視成果分析
2.1 日本子會社의 收益性, 賣出額, 現地化 등 成果分析
2.2 日本子會社의 輸出入 成果比較
2.3 日本子會社의 生産地 및 販賣市場 分析
2.4 日本子會社의 貿易 寄與度
2.5 産業別 誘致希望 分野와 日本投資分野 比較
2.6 投資地域別 日本企業의 投資成果
2.7 上位 250個 外資企業對比 日本子會社 成果分析
Ⅲ. 日本企業의 對中投資에 대한 産業 및 地域別 成果分析
3.1 資料 및 分析方法
3.2 標本 全體에 대한 總括的 現況
3.3 對中投資의 産業 및 地域別 特徵
3.4 日本企業의 對中投資에 대한 産業別 分析
3.5 日本企業의 對中投資에 대한 地域別 分析
3.6 投資撤收件數들에 대한 地域別, 産業別 分析
Ⅳ. 結 論
參考文獻국문요약오늘날 일본기업은 21세기를 앞두고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일본기업의 대중투자는 시험적인 투자단계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글로벌전략의 일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일본기업의 투자동기, 산업, 지역 등도 여러 면에서 다양화되고 있다. 일본의 국내외 여러 push요인과 중국시장의 pull요인으로 일본의 대중무역과 해외직접투자는 과거 수년간 크게 증가해왔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이러한 일본기업의 대중투자는 어떠한 성과를 가져오고 있는지, 특히 중국경제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기여를 하고 있는지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즉 중국경제에 수출, 고용 및 기술이전 등에 어떤 성과를 가져오고 있고, 어떤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 또 일본 자회사들의 경영성과가 다른 외국기업 자회사들과 어떻게 비교되는지 등을 분석해보는 것은 주요한 연구과제가 아닐 수 없다.닫기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일본기업의 대중투자의 현황을 기존 연구와 여러 관련자료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는 이 투자업체의 거시적 성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셋째는 중국 진출 일본기업의 진출패턴과 투자성과를 미시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92년과 1994년 자료를 비교하여 동태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리기업들에 대중투자측면에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대중투자의 특징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먼저 첫 단계 연구분석은 주로 일본기업 대중투자의 거시적 현황에 대한 내용으로 주로 JETRO 등에서 발행한 거시투자 통계자료와 최신 관련 기존 연구보고서 및 논문, 정기간행물 자료 등에 의존하여 전반적인 투자의 흐름과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두 번째 분석 단계는 일본기업의 해외직접투자 현황을 비교적 상세히 기록하고 있는 일본의 동양경제의 해외투자총람 92년도와 해외투자총람 94년도 기록을 산업별로 구분, 비교 분석하여 대중투자의 성과와 현황을 업종별로 파악하였다. 특히 이 기간은 제3차 중국투자붐이 일어났던 시기이므로 1992년과 1994년 두 시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성과지표에 대한 많은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관련 간행물 등을 통해 얻은 투자기업의 수익성, 수출규모 등 여러 성과 관련 자료를 보충적으로 이용하였다.두 번째 분석단계에서는 각 산업수준에서 다음의 여섯 가지 내용을 중심으로 성과를 분석하였다. 투자연수 투자규모 투자지분 현지 종업원수 일본 파견관리자수 매출액아울러 부차적으로 일부 지역별로도 투자성과 분석을 시도하였다.끝으로 세 번째 연구과정은 대중투자 일본기업들의 진출패턴과 투자성과를 미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1992년과 1994년 동안 일본의 복수투자기업들의 투자패턴에 따라 투자징수기업, 축소기업, 유지기업, 확대기업 등 네 가지 형태로 나누어 지역별, 산업별 특성을 동태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은 일본기업의 투자성과에 따른 직접적인 분석에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간접적 성과 분석으로서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