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KIEP 세계경제 포커스

발간물

목록으로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동남아 정책 전망과 시사점

▶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오바마 정부의 동남아 중시정책을 계승하여 트럼프 대통령 임기 때 약화되었던 역내 리더십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전망됨. 
 - 바이든 정부는 아세안 정상외교 강화를 통해 동남아 국가들의 신뢰를 회복하는 한편, 안보적으로는 중국의 군사적 팽창, 경제적으로는 중국의 BRI(Belt and Road Initiative)를 견제하는 데 중점을 둘 것으로 보임.
 - 대부분의 동남아 국가들에서 미국의 대중국 강경기조가 완화되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에, 미국이 대중 강경기조를 유지하면서 동남아 국가들의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임.  

▶ 중국이 RCEP 체결과 BRI를 앞세워 동남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는 상황에서, 미국은 대동남아 교역·투자 확대를 통해 중국을 견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 
 - 미국으로서는 RCEP에 대응할 대안적 협정을 모색해야 하나 국내 경제회복 문제로 새로운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BRI를 견제할 자본과 추진 수단도 부족한 실정임.  

▶ 인권과 민주주의를 중시하는 바이든 정부의 가치 외교는 권위주의적 성향이 강한 동남아 국가들과의 협력 확대에 딜레마로 작용할 전망임.
 - 미국의 인권문제 제기는 태국, 필리핀, 베트남과의 군사·안보 협력 추진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이며, 동남아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려는 대외 전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미국의 신(新)인태 전략과 우리나라의 신남방정책 간 협력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아세안의 협력 수요를 반영하면서 한·미 간 시너지 창출 가능성이 높은 협력사업을 선제적으로 발굴해 미국에 제안할 필요가 있음. 
 - 인태 전략에 대한 동남아 국가들의 우려를 고려할 때, 동남아 내 한·미 협력은 전략·안보적 차원보다는 포용성에 기반한 경제협력 및 비전통안보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
 - 한·미 협력과제 발굴 시 아세안이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AOIP)’, ‘아세안 포괄적 회복 프레임워크(ACRF)’ 등을 통해 제시한 중점 협력 분야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 

▶ 미국의 대미얀마 제재, 베트남 환율조작국 이슈 등은 미얀마와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관련 이슈들을 면밀히 관찰해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미국이 미얀마에 대한 일반특혜관세제도(GSP)를 철회하고 금융제재를 가할 경우 미얀마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타격이 예상됨.
 - 최근 베트남이 환율조작국 지위에서 해제되면서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부담이 다소 완화되기는 하였으나, 베트남이 중국의 주요 우회 수출기지로 지목 받고 있는 만큼, 향후 베트남의 대미 무역 흑자 증가 추이와 이에 대한 미국의 대응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음.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