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연구브리핑

발간물

주요 연구보고서의 연구 목적과 내용, 정책 시사점을 정리한 20면 내외의 요약 리포트입니다.

목록으로

멕시코 경제환경 변화와 한·멕시코 경제협력 확대방안

■ 중남미 제2위의 경제대국이며 제1위의 교역국인 멕시코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적극적인 시장개방과 개혁정책을 토대로 안정적인 성장을 구가해왔음.
  - 특히 1994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출범은 멕시코 경제성장의 기폭제로 작용하였음.
  - 그러나 2000년대 들어 멕시코 경제는 최대 수출국인 미국경제의 성장 정체에 따른 수출 둔화, 각종 개혁정책 지체에 따른 경쟁력 약화 등의 요인으로 1990년대의 성장 동력을 상실하고 저성장세에 머물렀음.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멕시코 경제는 종전의 무기력증에서 탈피해 새로운 활력을 되찾으며, 중남미 경제의 새로운 성장센터로 크게 주목받고 있음.
  - 최근 멕시코 경제의 변화는 제조업 경쟁력 제고에 힘입은 미주지역 생산기지로의 빠른 부상과 페냐 니에토(Pena Nieto) 정부의 성공적인 개혁정책 추진으로 요약할 수 있음.


■ 먼저 최근 멕시코 경제가 미주지역 생산기지로 빠르게 부상하는 배경에는 대외적 환경변화에 기댄 측면이 큼.
  - 중국의 빠른 소득 증가에 따른 인건비 상승으로 중국과 멕시코 간의 제조업 생산비용 격차가 크게 줄어들면서 그간 중국과의 경쟁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던 멕시코가 제조업 생산기지로 새롭게 주목을 받기 시작했음.
  - 미국의 경제 회복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의 글로벌 전략 변화도 미국시장을 겨냥한 생산 기지로서 멕시코의 전략적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됨.
  - 대내적으로는 완만한 임금 증가와 안정적이며 경쟁적인 환율에 힘입은 제조업 생산경쟁력 확보, 비즈니스 환경 개선, 광범위한 FTA 네트워크 구축, 확고한 글로벌 가치사슬 편입, 산업클러스터의 발전 등이 제조업 생산기지로서 멕시코의 매력을 제고시키는 요소로 작용함.


■ 1994년 NAFTA 이후 최대 규모의 개혁으로 평가되는 니에토 정부의 성공적인 개혁정책 추진도 최근 멕시코 경제의 빠른 변화를 추동하는 중요 변수임.
  - 니에토 정부의 개혁정책은 에너지, 방송통신, 금융 등 산업구조개혁에서 교육, 세제, 노동 등 제도 개혁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함.


■ 니에토 정부의 개혁정책이 주목을 끄는 이유는 먼저 총체적인 개혁정책으로 멕시코 경제가 획기적인 발전의 전환점(tipping point)을 맞을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임.
  - 개혁정책으로 오랫동안 닫혀있던 에너지 및 통신시장이 개방되면서 막대한 사업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는 점도 니에토 정부의 개혁정책에 관심을 갖는 또 다른 이유임.


■ 이 같은 높은 경제성장 가능성에 힘입어 멕시코는 최근 들어 포스트 브릭스의 대표주자로 평가되어 왔음.
  - 골드만삭스는 2011년 한국, 터키, 인도네시아와 더불어 멕시코를 차세대 성장시장인 ‘믹트(MIKT)’의 일원으로 선정했음.
  - Financial Times는 멕시코를 2013년 초 동아시아의 경제기적을 이끈 ‘아시아 호랑이’에 빗대어 ‘아즈텍 호랑이(Aztec Tiger)’로 칭하기까지 했음.


■ 최근 멕시코 경제의 부상에도 불구하고 우리기업의 멕시코 시장 진출은 일부 투자 진출을 제외하면 2000년대 중반 이후 정체 상태임.
  - 빠르게 변모하고 있는 멕시코 시장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 FTA 미체결에 따른 차별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됨.
  - 멕시코 경제가 제공하는 막대한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정부 및 기업 차원에서 적극적인 협력 및 진출방안 마련이 시급함.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주지역 생산기지로의 빠른 부상과 니에토 정부의 총체적인 개혁정책에 힘입어 중남미 경제의 새로운 성장 센터로 주목받고 있는 멕시코와의 포괄적이며 전략적인 경제협력 확대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추진되었음.


■ 특히 본 연구에서는 멕시코 제조업의 발전 과제와 개혁정책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유망 협력 및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우리기업의 진출 방안 제시에도 주력하였음.

첨부파일

이전 다음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