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전략지역심층연구 인도의 도시화와 한ㆍ인도 협력방안 경제개발, 경제협력

저자 조충제, 이순철, 이정미 발간번호 17-0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7.12.27

원문보기(다운로드:4,37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인도는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도시화가 급진전되어 2050년에는 도시인구가 현재보다 2배 이상 많아질 전망이다. 진전되는 도시화와 인도 정부의 도시화 정책에 따라 인도에서는 도시를 중심으로 전력, 용수, 대중교통, 통신, 쓰레기 처리, 주민편의 시설 확대는 물론 소비시장 확대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인도의 도시화 관련 국내 연구는 권기철(2002)의 ‘도시화가 여성문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가 유일할 정도로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인도 도시화의 진척 현황 및 도시화 정책을 분석하고, 도시화와 경제성장 간 관계, 도시화에 따른 소비 및 에너지수요 변화와 도시 인프라 투자의 변화에 대해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각 부문별 경제협력 방향을 제시하고 인도의 도시화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과 함께 정책과제를 발굴했다.
  인도 정부는 도시화를 경제성장의 한 동력으로 삼아 2022년까지 100개 스마트시티를 건설하고 기존 도시를 재개발(AMRUT)하는 등의 도시개발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또한 인도 정부는 주정부 및 시정부로의 권한분산 및 상향식(bottom-up) 도시개발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확대하는 등 기존 도시개발의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도시화와 경제성장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도시화가 경제성장을 유발하며, 특히 초대형 도시보다는 100만 명 이상의 중대형 도시들의 도시화가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도가 100만 명 이상 중대형 도시의 도시화를 촉진하는 전략과 함께 뭄바이, 델리, 콜카타, 첸나이 등 초대형 도시들의 비효율성을 개선하는 전략이 동시에 필요함을 시사했다.
  인도의 도시화가 가계 총소비와 에너지 소비, 인프라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Divisia 요인분해하고, 도시화에 의해 창출될 각 부문별 시장을 전망해본 결과, 2030년 소비, 에너지, 인프라 시장규모만 약 4,700억 달러로 나타났다. 주거 및 식품 분야 등 소비 시장이 2,000억 달러 이상, 석탄화력 등 에너지 시장이 약 2,600억 달러, 통신, 도로 등 인프라 시장이 약 70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됐다. 이는 2030년 한 해를 기준으로 추정한 것이며, 2030년까지 도시와 농촌의 소득비율을 현재의 비율인 65:35로 고정하여 추정한 것으로 도시소득 비율이 더 높아지거나 도시화 속도가 더 빨라지면 도시화에 의해 창출되는 새로운 시장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상과 같이 인도의 도시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엄청난 관련 수요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 및 기업이 이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중장기 협력방향을 제시했다. 첫째, 대인도 도시개발 상생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인도는 우리나라의 다양한 도시개발 경험을 활용하여 도시화 및 경제성장을 가속화하고, 우리 기업은 인도의 도시화로 창출되는 거대한 신시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양국간 정상회담, 분야별 장관급 회담, 한·인도 CEPA 개선협상 등을 통해 이 분야에 대한 양국간 협력기반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 둘째, 사업 성격별 협력 및 지원 형태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소비시장, 제품 수출, 병원 진출 등의 분야는 민간 중심, 철도, 신도시 건설, 원전 건설 등과 같은 인프라 및 대규모 금융조달이 수반되는 사업의 경우, 정부 및 공공기관의 전략적 지원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 셋째, 인도 주정부 및 도시별 네트워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인도는 29개 주와 7개의 특별시로 구성된 대륙 국가이다. 인도의 도시화를 활용한 경제협력이나 기업 진출을 위해서는 해당 주정부나 신도시 조성 가능성이 높은 Tier-1(인구 10만 이상), 2(인구 5만 이상) 도시들과의 네트워크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
  상기의 중장기 협력 방향과 함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첫째, 가칭 ‘한·인도 도시개발 협력 위원회’ 설치 및 운영이다. 현재 인도 연방상공회의소인 FICCI(Federation of Indian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내에는 도시인프라 및 스마트시티 위원회(Urban Infrastructure & Smart Cities Committee)가 구성되어 있다. 이 위원회는 도시화 및 스마트시티 사업에 대한 민간 및 해외 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각종 자료 및 정보 제공, 국내외 설명회, 대정부 알선 업무 등을 수행한다. 상기 위원회와 협력할 국내 협력 파트너를 물색, 양국 기관 간 협약 등을 통해 인도에서 전개되고 있는 각종 도시화 및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국내에 효율적으로 전파하고 우리 기업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해야 한다. 한국 측 협력 파트너는 대표성이 있으면서도 기업의 니즈를 잘 파악하고 해외협력 경험이 풍부한 민간단체, 예를 들면 대한상공회의소와 같은 기관이 적합할 것이다.
  둘째, EDCF를 포함한 금융패키지 조기 집행을 위한 태스크포스(TF)의 구성이다. 한국과 인도 간에 EDCF 10억 달러, 수출금융 90억 달러를 포함한 총 100억 달러의 금융패키지가 지난 2015년 정상회의에서 합의되었지만 지금까지 이를 활용한 사업이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수출입은행 등을 중심으로 TF를 구성하여, 조기 사업화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 TF를 통해 지원대상 사업을 발굴하고, 관련 부처 및 공공기관, 사업 참여 가능성이 있는 기업들을 참여시켜 개발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인도 정부 및 주정부, 시정부를 상대로 적극 추진해나가야 한다.
  셋째, 제조업 중심 한국형 신도시 개발사업 제안 및 추진이다. 스마트시티 사업은 모디 총리가 지난 2014년 델리 정상회담에 이어 2015년 서울 정상회담에서도 우리 정부에게 참여를 요청한 사업이다. 2018년 예정된 정상회담에서 모디 총리가 또다시 요청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 정부 및 공공기관, 민간의 역량을 결합한 팀코리아(Team Korea)를 구성하고, 인도 측은 물론 가능하다면 국제개발금융기관 등 가급적 많은 이해관계자를 포함시켜 개발 리스크를 최소화한 신도시 개발을 인도에 적극 제안해야 한다. 개념 설계, 타당성 조사, 관련 제도 및 시스템 정비 등에는 경제개발경험공유(KSP) 및 무상원조 자금 등을 활용하고, 신도시의 기반시설, 특히 인프라 개발 등에는 EDCF 및 수출금융 자금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적절한 규모의 신도시를 조기에 개발, 성공시켜 인도 전역으로 확산해나가는 식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Urbanization is expected to accelerate in India in light of the rapid economic growth that has proceeded in recent years. The urban population in India is estimated to grow more than twofold by the year 2050. As urbanization progresses due to the urbanization policies carried out by the Indian government, the cities are expanding their power consumption, water supply, public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waste disposal, and residential convenience centers, as well as expanding their consumption markets.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ocess of urbanization in India and its urbanization policy, going on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and economic growth. Then this study looks into the changes in consumption and energy demand and the urban infrastructure investment that accompanies urbanization.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research suggests political directions and tasks in the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India.
  The government of India is actively promoting urban development policies, such as building 100 smart cities by 2022 and rejuvenating existing cities (AMRUT), using urbanization as a driving force for economic growth. In addition, the Indian government is strengthening its efforts to resolve the existing problems of urban development by decentralizing power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state and municipal governments, and engaging in a bottom-up style of urban development.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and economic growth indicate that urbanization causes economic growth, especially more so for medium-to-large size cities with more than 1 million populations, rather than megacities. This suggests that India needs a strategy oriented toward promoting urbanization in medium-to-large cities, as well as a strategy to resolve inefficiencies of urbanization in megacities such as Mumbai, Delhi, Kolkata and Chennai.
  The research analyzes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total household consumption, energy consumption and infrastructure investment in India based on the Divisia model and estimates market size by sector expected to be created by urban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in 2030, the market size for consumption, energy, and infrastructure is expected to reach about 470 billion in dollars. The consumption market, including residential and food, is expected to reach over 200 billion dollars; the energy market, including coal-fired power, will grow to about 260 billion dollars; and the infrastructure market, including communication and roads, is expected to reach over 7 billion dollars. All results are calculated by fixing the ratio of urban to rural income to the current ratio of 65:35.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urban income rate grows bigger, or the urbanization rate faster, the size of new market creation by urbanization is expected to be even bigger. 
  As mentioned above, urbanization in India has generated enormous demand in various fields. In order for the Korean government and enterprises to utilize such demand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mid- to long- term cooperation directions. First, the two countries should strengthen their win-win cooperation in the urban development sector. India can utilize Korea's diverse urban development experiences to accelerate its own urbanization and economic growth, while Korean companies can take advantage of new Indian markets created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The two countries can utilize platforms such as bilateral summits, sector-based ministerial meetings, and Korea-India talks on improving the CEPA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urban development. Second, different types of support should be used for different projects. In fields such as consumption markets, overseas expansion of hospitals, and product exports,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at the center of cooperation. For projects that require large-scale infrastructure or huge financial procurement such as railways, construction of new town or nuclear power plants, 'Team Korea (a team including the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sector)' could take the lead in driving the project.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dian state and city networks. India is a continental country that consists of 29 states and 7 union territories. In order to utilize India’s urbanization in the forms of economic cooperation or business expans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elationships with Tier-1, 2 cities, which have a high possibility of establishing new cities.
  In addition to the three cooperation directions mentioned above,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licy tasks. The first is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India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Committee.' Currently, the Urban Infrastructure & Smart Cities Committee, under the Federation of Indian Chambers of Commerce & Industry (FICCI), is in charge of facilitating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and foreign companies in urbanization and smart city projec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ts counterpart organization in Korea, in order to circulate information on India’s urbanization and the smart city trend in Korea and promote Korean companies’ participation. A representative private organization with sufficient experience in overseas cooperation—such as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would be a proper candidate for the Korean counterpart.
  The second is creating a task force for the early execution of the financial package including the EDCF. In 2015, a financial package amounting to $10 billion, including $1 billion of EDCF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was agreed on during the Korea-India summit meeting, but so far no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should organize a task force to actively carry out related business projects.
  The third is the proposal to develop a 'Korean Industrial City' centered on manufacturing. In 2014 and also at the 2015 summit, Prime Minister Modi requested the Korean government to participate in the Smarty City Project. At the upcoming summit meeting scheduled for 2018, Prime Minister Modi will very likely repeat his request for Korea’s participation. In response, Korea should actively propose plans for a 'Korean Industrial City,' a new form of city development that is promoted as a collective effort (i.e. as “Team Korea”)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public entities and private developers. Towards this goal, as many stakeholders as possible should be included, such as international development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to minimize development risks. It is important to achieve success early on for a moderately sized city, and then spread the model far and wide throughout the whole of India.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한계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인도 도시화 과정의 특징과 정책
1. 인도 도시화 과정 및 전망
    가. 인도의 도시화 과정
    나. 인도 도시화의 특징
    다. 인도 도시화 전망
2. 인도 도시화 정책과 변화
    가. 인도 도시개발 정책 개관
    나. 인도 도시정책의 변화
    다. 최근 추진 중인 인도 도시개발 계획
3. 인도 도시화 리스크
    가. 인도 도시개발 리스크
    나. 인도 도시화 문제
4. 소결


제3장 인도 도시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1. 인도 도시화와 경제성장
    가. 이론적 배경
    나. 분석모델 및 자료
    다. 분석자료 및 기초통계량
    라. 분석 결과
2. 인도 도시화의 파급효과 분석 모델 및 자료
    가. 기본요인 분해
    나. 소득요인 분해
    다. 원인별 요인 분해
3. 도시화와 소비시장
    가. 도시화와 소비시장 변화
    나. 소비시장 전망
4. 도시화와 에너지시장
    가. 도시화와 에너지 소비 변화
    나. 에너지소비 전망
5. 도시화와 인프라 건설시장
    가. 도시화와 인프라 건설시장 변화
    나. 인프라 건설시장 전망


제4장 인도의 도시화와 부문별 협력방안
1. 소비시장
    가. 식품
    나. 의류 및 건강의료
    다. 자동차
    라. 여가 및 문화생활: 가전 및 화장품
2. 에너지시장
3. 인프라 건설시장
    가. 건축 및 인프라 개발 사업
    나. 신도시 개발 사업


제5장 시사점 및 정책과제
1. 정책적 시사점
    가. 소비시장
    나. 에너지시장
    다. 인프라 건설시장
2. 추진 방향
    가. 대인도 도시개발 상생협력 강화
    나. 사업 성격별 협력 및 지원 형태의 차별화
    다. 인도 주정부 및 도시별 네트워크 강화
3. 정책 과제
    가. ‘한·인도 도시개발 협력 위원회’ 설치
    나.  EDCF 포함한 금융패키지 조기 집행을 위한 태스크포스 구성
    다. 제조업 중심 한국형 신도시 개발사업 제안 및 추진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98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