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생산성변화와 생산성의 국제비교

저자 유진수 발간번호 91-1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1.08.20

원문보기(다운로드:68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함께 물질적 생활수준의 향상, 경제사회구조의 변화를 배경으로 국민적 수요의 다양화 그리고 경제의 서비스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소득증대와 여가시간의 증대에 따라 건강서비스업, 외식산업, 정서적 서비스업이 크게 성장하고, 기업환경의 변화에 대응해서 금융서비스, 정보서비스, 사업관련서비스 등의 필요성도 급증하고 있다. 서비스산업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89년에 47.0%에 이르렀고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89년에 42.9%를 차지하는 등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은 그동안 크게 증가하였다.

생산과 고용에서 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교역규모 또한 상품교역의 약 1/5, 그리고 GNP의 약 1/10을 차지하는 등 국제무역에 있어서의 서비스산업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생산, 고용, 국제무역의 면에서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증대되고 또 제조업의 경쟁력도 마케팅, 기획, 광고 등의 서비스적인 투입에 큰 영향을 받는 등 재화산업과 서비스산업과의 상호의존관계가 심화되어감에 따라, 서비스산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는 효률적인 경제정책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경제가 성장하고 국제경제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최근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자국의 상품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규제를 강화하거나, 상품무역과 상호연계하여 김융, 보험, 통신, 류통, 사업서비스 등 서비스산업 전반에 걸친 개방화와 자유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쌍무적인 시장개방 압력과 함께 최근 전개되고 있는 국제 교역환경 변화로 인하여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은 일대 전환기를 맞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서비스교역 자유화는 1970년대 초 도쿄라운드에서 제기된 이후, 1982년 각료회의시 미국이 서비스교역 문제를 다룰 실무작업반을 설치하자고 공식 제안함으로써 GATT에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OECD 국가들의 서비스교역 자유화 노력은 브라질과 인도 등의 개도국의 반대로 관철되지 못하다가 1986년 우루과이라운드(Uruguay Round) 다자간협상에서 농업과 함께 주요의제로 채택됨으로써 그 협상결과에 따른 우리나라 서비스시장의 개방은 부가피한 실정에 놓여 있다. 서비스시장의 개방은 선진기술의 도입을 촉진하고 산업내 경쟁을 촉진하여 기업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며 소비자에게 낮은 가격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국내영세업자의 도산, 외국문화의 무분별한 유입 등 부정적인 요소도 안고 있어서 서비스시장의 개방은 앞으로 어떠한 형태로든지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The service sector is gaining importance in the Korean economy, with its share of production and employment increasing 47.0 percent and 42.9 percent in 1989, respectively. As the Korean economy has grown, developed economies, the U.S. in particular, have strengthened regulations against imports to protect their the commodity market, urging for the overall liberalization of trade in finance, insurance, communications, distributions and business services. The liberalization of trade in services may result in improved productivity in other sectors, including manufacturing, due to the resulting access to a broader variety, better quality and lower input costs. Thus, the liberalization of services can bring potential gains in productivity in the service sector.

The study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ductivity in the service industry and gives implications for the liberalization of trade in services.
序 言

Ⅰ. 序 論

Ⅱ. 서비스産業의 現況과 構造의 比較分析
1. 서비스의 定義
2. 國內總生産의 成長과 構造
3. 産業別 雇傭構造
4. 産業別 資本스톡의 構造

Ⅲ. 서비스産業의 總要素生産性 分析
1. 生産性의 槪念
2. 總要素生産性의 測定方法
3. 總要素生産性 測定을 위한 投入 및 産出의 推定
4. 總要素生産性의 推移分析
5. 總要素生産性 變化의 要因分析

Ⅳ. 生産性의 國際比較
1. 美國 總要素生産性 推移와의 比較
2. 韓國, 美國, 日本의 勞動生産性 比較
3. 韓國, 美國, 日本의 單位勞動費用 比較
4. 韓國, 美國, 日本의 資本生産性 比較

Ⅴ. 要約 및 結論

參考文獻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