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향후 전개될 EU의 통상전략 중 명백한 특징은 소위 경쟁적 자유화(competitive liberalization)로 대변되는 미국의 FTA 전략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차원의 양자적 또는 지역적 통상협상을 시행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EU는 EU 회원국 이외의 국가들과 FTA를 통해 시장개방을 추진하는 측면에서는 기본적으로 미국의 정책을 답습하거나 다소 소극적 또는 수세적으로 대응하는 수준에 그쳐왔으나, 2006년 10월 신통상정책을 발표한 이후 보다 적극적인 형태로 FTA 추진전략을 시행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간 EU의 경우 EU 회원국들과 식민지배 경험을 가지고 있는 ACP 국가들에 주력하는 통상정책을 전개해 왔는데, 2000년대 들어 급속하게 전개되는 미국의 FTA 전략에 거의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각성이 고조되면서 2006년 10월 공표된 신통상정책을 전기로 미국의 통상전략에 대응하는 차원의 정책 시행을 명확하게 공식화한 바 있기 때문이다. (생략)
The European Union (EU)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members of the global trading system. The trade policy of the EU has therefore been the crucial element to construct the structure of the GATT/WTO system. In that regard, the 'New Trade Policy' announced in October 2006 set forth new policy paradigms for the EU and reflects various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This paper reviews the 'New Trade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orth America,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nd trie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multilateral as well as transatlantic economic relationships. (The rest is omitt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EU의 대(對)북미 통상 현황
1. EU와 북미 간 교역 및 투자구조
2. EU와 북미 간 통상 현황 및 현안
가. 국내법규의 역외적용(Extraterritoriality)
나. 비관세장벽
다. 투자 관련 조치
라. 기타
제3장. 2006년 신통상정책의 의미
1. 2006년 신통상정책의 내용
가. EU 경쟁력의 토대
나. EU의 대외적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실행계획
2. 2006년 신통상정책의 특징과 의미
제4장. 대(對)북미 통상전략의 주요 특징
1. 대((對)미 통상전략의 특징: 경쟁과 협력
가. 전략적 경쟁요인의 증가
나. 지속적인 협력의 필요성
2. 대(對)캐나다 통상전략의 특징
제5장. 정치·경제·국제관계 차원의 전략적 고려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제2장. EU의 대(對)북미 통상 현황
1. EU와 북미 간 교역 및 투자구조
2. EU와 북미 간 통상 현황 및 현안
가. 국내법규의 역외적용(Extraterritoriality)
나. 비관세장벽
다. 투자 관련 조치
라. 기타
제3장. 2006년 신통상정책의 의미
1. 2006년 신통상정책의 내용
가. EU 경쟁력의 토대
나. EU의 대외적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실행계획
2. 2006년 신통상정책의 특징과 의미
제4장. 대(對)북미 통상전략의 주요 특징
1. 대((對)미 통상전략의 특징: 경쟁과 협력
가. 전략적 경쟁요인의 증가
나. 지속적인 협력의 필요성
2. 대(對)캐나다 통상전략의 특징
제5장. 정치·경제·국제관계 차원의 전략적 고려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06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ODA 정책연구
Research on Household Consumption Patter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dia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2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1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인프라 정책 및 수요 분석과 한·인도 협력방안: 개발협력을 중심으로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향후 미얀마 국내 상황 및 주요국 미얀마 정책을 고려한 한국의 대미얀마 전략
2024-12-31
연구자료
홍해 위기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과 물류 회랑 다변화에의 시사점
2025-05-27
기타
2024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5-04-30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의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전략과 정책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