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통일 후 동아시아 가치사슬 변화에 따른 러시아의 대한반도 경제협력 전략/Российская стратегия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с Объединенной Кореей в контексте меняющихся стоимостных цепочек в Восточной Азии 경제개발, 북한경제

저자 세르게이 루코닌 발간번호 16-07 자료언어 Korean/Russia 발간일 2016.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09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세계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지역이다. 따라서 이 지역은 기업 가치사슬의 발전과 변화의 역동성이 매우 높게 나타난다. 동아시아 가치사슬 네트워크에 가장 깊게 관여하고 있는 국가는 일본, 중국, 한국을 비롯해 일부 아세안 국가이다.
  가치사슬의 대부분은 중국에 고정되어 있다. 가치사슬을 창출하거나 가치사슬에 포함되어 있는 기업의 주목적은 비교우위를 확보하는 것인데, 현재 러시아, 일본, 중국 및 한국 기업의 대부분이 북한을 경쟁력 강화의 요인으로 생각하지 않고 있다. 러시아 기업은 동아시아 가치사슬에 아주 낮은 수준으로 개입되어 있으며, 러시아 대외경제 관계의 70% 이상이 EU에 집중되어 있다.
  현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가치사슬의 향후 발전 시나리오는 ‘Euphoria’, ‘WTO 2.0’ 및 ‘스파게티 볼(bowl of spaghetti)’ 등 몇 가지로 제시된다. 그중 어떤 시나리오도 한반도 통일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있지 않은데, 한반도 통일은 통합 과정(예: 인프라 구축, 훈련 등)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한국의 경쟁력을 일시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한반도의 통합이 한국의 공공투자를 희생하면서 이루어지면 향후 한국 기업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북한 요인을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예: 값싼 노동, 천연자원, 국내수요 증가 등). 

  현재 러시아에는 통일한국과의 경제협력을 위한 전략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이 협력에 대한 세부 사항을 담고 있는 국가 차원의 문서조차 없다는 점과 통일한국을 향한 러시아 기업의 기업전략에 대한 발표가 없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통일한국과의 협력을 위한 러시아 경제전략”이란 표현은 한국이나 일본의 가치사슬이 러시아의 개발 수준보다 높아서 시너지가 발생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주로 북한 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러시아 경제협력을 의미한다.
  중국 기업은 일대일로 정책 등을 포함하여 그들만의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있는 데다 대부분 개발 위주의 사업이어서 반드시 협력이 필요하지는 않다.
  한편 현재 북한 기업을 포함하거나 북한에서 시행하고 있는 러시아 기업의 프로젝트 (공동 가치사슬)는 그 규모가 작고 수도 적어 통일한국에 대한 러시아 경제전략의 정확한 척도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러시아의 비즈니스 및 학계는 북한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북한 기업도 참여할 수 있는 일련의 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프로젝트는 통일한국에 대한 러시아 경제전략의 기초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한국이 북한을 흡수 통일하는 조건이 선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내용은 러시아가 통일한국과의 협력을 위한 전략을 보유한 경우에만 실현될 수 있다. 이 전략은 다음 원칙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첫째, 북한 지역은 대한민국의 잠재적인 한 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둘째, 통일한국은 유라시아 지역 중 하나의 핵심 요소여야 한다.
  셋째, 통일한국은 러시아 천연자원의 중요한 잠재 고객이자 유라시아 물류 시스템의 한 요소여야 한다. 

  Asia-Pacific is the fastest growing region in the world. Accordingly, the corporate value chains’ dynamics of development and changes is very high. The most completely included countries in the East Asian value-added chains’ network are Japan, China and South Korea, as well as some of the ASEAN countries.
  Most of the value-added chains is locked on China. The main purpose of companies that create or are included in the value-added chains is to obtain competitive advantages.
  Currently, most of the Russian, Japanese, Chinese and South Korean companies do not consider North Korea as a factor of strengthening their competitiveness.
  The inclusion of Russian companies in the East Asian value-added chains is at a minimum level. Over 70% of foreign economic relations of Russia is focused on the EU.
  Currently there are several scenario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value-added chains in Asia Pacific: “Euphoria”, “WTO 2.0” and “bowl of spaghetti”. At the same time none of the scenarios considers the unification of Korea as a significant factor.
  However, the unification of Korea, rather, may lead to a temporary decrease in South Korean’ competitiveness, since it requires the investment in the integration process (creation of infrastructure, training, etc.).
  Moreover, if the integration of the South will take place at the expense of South Korean public investment, in the future the South Korean company will be able to use the North Korean factor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cheap labor, natural resources, increasing in domestic demand, etc.).
  At the moment, the Russian strategy for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Unified Korea does not exist. This is confirmed by the lack of state-level documents that would contain at least some details of this cooperation, there is also no published corporate strategies of any Russian companies towards the Unified Korea.
  The term “Russian economic strategy for cooperation with the Unified Korea” means the Russian economic cooperation mainly with the enterprises of North Korea since the level of development, for example, South Korean or Japanese value chains, higher than Russian and their synergy rather difficult.
  Chinese corporations are building their own value chains (including within the concept of “One Belt, one Road”) and at the level of development, that does not assume cooperation.
  At the moment, the scale and number of Russian companies’ projects (joint value chains), which include North Korean enterprises or implemented in North Korea is too small, and may not indicate the presence of Russia’s economic strategy towards the Unified Korea.
  Nevertheless, currently the Russian business and scientific community is discussing a number of specific projects, that can be implemented on the territory of North Korea, and could involve North Korean companies.
  In the future, these projects could become the basis of Russia’s economic strategy towards the Unified Korea.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main condi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uch projects is creation the Unified Korea on the basis of North’s absorption by South.
  In general, the above mentioned may be realized only in the presence of Russia’s strategy for cooperation with the United Republic of Korea. This strategy should be based on the following principles.
   1. Northern Territory is considered to be a potential part of the United Republic of Korea.
   2. United Republic of Korea - one of the key elements of a common Eurasian space.
   3. The United Republic of Korea - an important potential customer of Russian Natural Resources and element of the Trans-Eurasian logistics system.  

서언


국문요약


Executive Summary


Ⅰ. 도입


Ⅱ. 가치사슬 연구에 관한 이론적·방법론적 접근

1. 가치사슬 모델의 이론적 분석
2. 동아시아 가치사슬: 현황과 변화 전망


Ⅲ. 북한과의 정치 및 경제적 협력에 관한 러시아의 전략: 역사와 근대성

1. 러-북 관계의 정치 및 경제적 관점: 역사적 측면
2. 러-북 경제협력 현황


Ⅳ. 동아시아 가치사슬에서 통일한국과 러시아 극동 지역의 역할과 위치

1. 한반도의 통일 시나리오와 동아시아 가치사슬에서 통일한국의 역할과 위치 분석
2. 러시아 극동 지역: 경제상황, 주요 문제점 및 발전 전망


Ⅴ. 러시아 및 러시아 기업의 통일한국과의 미래 경제협력 윤곽

1. 한반도 통일 후 러시아 기업의 부가 가치사슬 변화 가능성
2. 통일한국과의 경제협력에 관한 러시아의 전략 전망


Ⅵ. 결론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92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북한의 관세 및 비관세 제도 분석과 국제사회 편입에 대한 시사점 2023-12-29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농업과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2022-12-20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Working paper Analyzing DPRK's Food Supply and Demand Condition with Food Culture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 경제·안보의 블록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ODA 정책연구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021-08-31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